::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3/07 14:36
천문대는 크게 세종류로 나뉩니다 (더 세분화 하면 네종류라고도 들은 것 같은데... 여튼~)
1. 시가지 안에 있는 천문대 대중교통만으로도 가기에 어렵지 않은 개방적인 천문대며 시에서 운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장점은 가기 쉽다는거고 단점은 자연적인 별 보는 것은 불리합니다 눈으로는 못 보고 망원경으로 봐야만 몇개 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2. 시가지 바깥에 있는 천문대 대중교통만으로는 가기 어려워 직접 차 끌고 가야 하며 보통 산 높은 곳에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당일치기하기에도 애로사항이 많아 보통 1박2일로 천문대 근처 펜션 잡고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장점은 별 보기에 있어서 최적의 위치다 보니 눈으로 봐도 동화같이 수많은 별들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무조건적이 아니라 시기와 날씨도 봐야합니다). 단점은 말 그대로 가기에 좀 멀고 귀찮고 당일치기로 갔다오기엔 좀 빡세서 펜션 묵는게 편하겠죠~ 3. 연구목적으로만 설립된 천문대 일반인은 방문할 수 없는 연구만을 위한 천문대입니다 일단 1,2번 중에 하나를 가야 하는데 어떤 형태의 천문대를 가고 싶어하시는지 글로는 모르겠네요 1번이시면 대충 어딜 가도 비슷할 것 같구요 2번인 경우는 제가 추천 드리고 싶은 곳이 두군데 있는데 이것도 미닛메이드님이 서울경기인천권 사셨을 때의 얘기네요... 두군데 다 직접 가봤으며 간단하게 설명해보자면 1.중미산 천문대 시가지 바깥의 천문대 중에서는 그렇게 멀지도 않으면서 나름 별보는데에 있어서 만족할만한 곳입니다. 2.조경철 천문대 국내에서 천문학계로 네임밸류 탑이라고 할 수 있는 조경철 선생님 이름을 딴 천문대이니 만큼 시설도 꽤 좋고 유명한 곳입니다. 거리는 중미산 천문대보다는 멀지만 다른 많은 천문대들에 비하면 서울 출발 기준으로 치면 아주 많이 멀지는 않습니다.. 다른 곳들은 훨씬 더 멀어서 가기에 많이 부담되거든요.... 그리고 천문대는 어딜 가느냐도 중요하지만 언제 가느냐가 더욱 더 중요합니다. 구름이 없는 맑은 날에 가야 좋다는건 당연히 아실테고~ 그믐날에 가셔야 반짝반짝 별을 더 많이 보실 수 있구요 그믐날이 아니면 별보단 달 관측을 하기 쉽습니다 또한 추울때 가는게 더울 때 가는 것보다 별 관측에 있어서 유리합니다 날씨가 더 포근해지기 전에 빨리 일정 잡고 가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16/03/07 15:52
22222 입니다.
경기권인데 주중에 연차내고 움직일꺼라서 지방도 괜찮을것 같아요 ^ ^ 다음주 날씨보고 추천 주신 곳 중 하나로 일정 짜봐야겠네요.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복 받으실꺼에요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정말 감사드립니다!!
16/03/07 17:46
제가 가본 천문대가 한 군데 뿐인데요, 개인적으로 참 좋았던 기억이라 추천드립니다. 강원도 영월에 있는 별마로 천문대입니다.
영월에 볼게 많아서 1박 2일 머물며 낮에는 영월 관광지 구경하고, 밤에 천문대 가서 별자리 얘기듣고 별보고 왔던 기억이 나요. 전 겨울이었는데 추웠는데도 오히려 하늘이 선명해서 잘 보고 왔었어요. 미리 예약하셔야 원하는 시간대에 가실 수 있구요, 차를 타고 천문대까지 좀 올라가셔야 하는데 주차장과 천문대는 가까워서 괜찮습니다~ 다음 날 먹은 곤드레 밥마저 맛있었어요!
16/03/07 18:24
전 영월인가 거기 근처에 있는 별마로(?) 천문대 갔다왔는데 그 깜깜한 길을 내려오는건 좀 힘들었지만 별도 예쁘고 설명도 매우 재미있었어요. 올라가는 길은 환해서 그나마 운전은 할만하던데 코스가 정말 좀 운전하기 어렵더군요.. 구글 평점은 괜찮은 것 같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