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9/24 12:45:11
Name 옥동이
Subject [질문] 이번 정부의 대미 통화스와프 제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요구하는 투자금을 도저히 줄수 없는 상황이니  통화스와프 제안이 명분이 없는거 같지 않고 , 이재명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강한 워딩으로 통화스와프  안하고 투자시 imf 라느니 위기감 주려는걸 봐선  
정부입장에서 꼭  관철하겠다는 느낌이 드는데요
형님들  생각은 어떠신가요.. 미국이 제한적으로나마 응할 가능성이 있을까요.

투자자 입장에서 이런 이벤트는 정말 어렵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덴드로븀
25/09/24 13:07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563825?sid=104
[한국엔 그렇게 머뭇대더니…미국, 아르헨티나엔 통화스와프 먼저 제안] 2025.09.24.
美, 내달 아르헨 총선 앞두고 밀레이 정권 지원사격
아르헨 경제위기·정치 불안속 입지 좁아진 밀레이 힘실어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644757?sid=101
[한미 무역협상과 통화 스와프] 2025.09.24.
<한미 통화 스와프 역사>
1. 2008년 10월 : 글로벌 금융위기 관련 300억달러 규모 - 2010년 종료
2. 2020년 3월 : 코로나19 팬데믹 관련 600억달러 규모 - 2021년 종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656509?sid=101
[구윤철·베선트, 24일 뉴욕서 회동…한미 통화 스와프 논의할 듯] 2025.09.24

대규모 통화스와프 체결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봐야할겁니다.
옥동이
25/09/24 13:11
수정 아이콘
할려면 진작해줬다 느낌이네요..
빼사스
25/09/24 14:37
수정 아이콘
일단 아마 통화스와프는 안 해줄 겁니다. 우리도 협상 카드이지 정말 해줄 거라 생각 안 할 거고, 설사 해준다고 해도 그대로 3500억 불 낼 가능성은 0이고요. 그리고 일본과 자꾸 비교되는데, 일본 경우는 지불 비용 중 절반 정도는 미 국채인가 그렇고 여러 가지로 함정 카드를 넣어둬서 배째려고 하고 있는 상황이지요. 미국 너네 진짜 이 돈 다 줄 수 없는 거 알지? 이러면서요. 우리나라는 그럴 수 있는 여건이 전혀 안 되죠. 덩치도 적고, 엔화처럼 준기축통화도 아니고, 경제 규모도 1/3이고 외환보유고도 별로 없고요. 더군다나 우린 FTA였기에 0%에서 오르는 거고, 실제로 25%에서 15%로 준다고 해도 별 이득이 없는데다, 이미 50% 때려맞고 있는 품목도 있고요. 그러니 수많은 경제학자분들 말처럼 그냥 이대로 지지부진하게 25%보다 더 때려맞지 않게 협상하는 척 온갖 카드를 다 던지는 게 최선 같습니다.
안군시대
25/09/24 17:09
수정 아이콘
일본의 경우엔 이미 무제한 통화스와프가 걸려있기 때문에 그나마 상황이 낫죠. 우리나라는 외환보유고 한도 내에서 써야 한다는 게 부담이고요. 게다가 3500조는 우리나라의 총 보유 외환보유고의 70% 가까이 되는 큰 돈입니다. 그걸 현금으로 주면 이후에 원화를 달러로 바꾸고 싶어도 원화 가치가 폭락해버릴 가능성도 높죠. IMF도 결국은 외환보유고가 떨어져서 외국에 갚아야 할 차관을 갚지 못해 디폴트 위기에 직면하면서 터진거라, 아주 틀린 말은 아니죠.
짭뇨띠
+ 25/09/24 20:20
수정 아이콘
미국입장에서 생각해보면 호구딜 해줬는데 왜 봐줘야 할까 싶은데요?
위에 언급하신 분들 말씀대로입니다.
협의문 사인안하고 손해 감당, 장기적으로 버티기가 될 것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1765 [질문] 프로리그 시즌 단위로 선수생활 제일 오래한 한국 야구선수가 누굴까요? [8] 업앤다운타운1433 25/09/24 1433
181764 [질문] 이번 정부의 대미 통화스와프 제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5] 옥동이1583 25/09/24 1583
181763 [삭제예정] 학교에서 전화가 왔습니다 [28] 최종병기그녀4907 25/09/24 4907
181762 [질문] 자급제+알뜰폰 개통 관련 질문입니다. [5] Healing2118 25/09/24 2118
181761 [질문] 머리에 부담이 거의없는 염색약이 있을까요? [7] 까만고양이2415 25/09/24 2415
181760 [질문] 코로나 백신 논란 어떻게 보시나요? [29] char2661 25/09/23 2661
181759 [질문] 아이폰 기종관련 질문 [15] 無欲則剛1679 25/09/23 1679
181758 [질문] 스위치 게임 추천 받습니다. [12] 어텀885 25/09/23 885
181757 [질문] 배틀그라운드를 다시 해보고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1] 자가타이칸684 25/09/23 684
181756 [질문] 갤탭 10+ 11중 뭐가 좋을까요 [7] 두드리짱1918 25/09/23 1918
181755 [질문] 게이밍 노트북 고르는 데 궁금한게 있습니다. [16] Winter_SkaDi1731 25/09/23 1731
181754 [질문] 할로우 나이트 질문입니다(버그) [3] 나를찾아서2542 25/09/23 2542
181750 [질문] 파타야 숙소 추천 부탁드립니다. [8] 완성형폭풍저그2959 25/09/22 2959
181749 [질문] 크림 중고 판매 [1] 솜사탕흰둥이3058 25/09/22 3058
181748 [질문] 컴퓨터견적 문의드립니다 [5] 라라 안티포바1946 25/09/22 1946
181747 [질문] 모니터 추천 부탁드려도 괜찮을까요 [6] Kizumi12058 25/09/22 2058
181746 [질문] 중고차 추천 부탁드립니다 [13] 채찍피티2303 25/09/22 2303
181745 [삭제예정] 결혼 앞두고 명절 전 여자친구 부모님 댁 방문하셨나요? [40] 루체른2653 25/09/22 2653
181744 [질문] 이 만화 제목 궁금합니다 [2] 수리검1293 25/09/22 1293
181743 [삭제예정] 추석 연휴때 할만한 게임 있을까요? [12] 삭제됨1539 25/09/22 1539
181742 [질문] 소비쿠폰 2차 이의신청 [2] 정공법1870 25/09/22 1870
181741 [삭제예정] 중학생 자녀 학원 거부 [44] 탄야2825 25/09/22 2825
181740 [질문] 웹툰 추천 부탁 드립니다. 강풀류? [2] 배려1000 25/09/22 100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