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9/23 22:46:15
Name char
Subject [질문] 코로나 백신 논란 어떻게 보시나요?
최근 미국 보건복지부 장관의 발표로 인해 코로나 백신에 대한 논란이 커졌는데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유튜브 댓글은 온통 '내가 이럴줄 알고 안맞아서 참 다행이다' '백신맞고 부작용으로 심장이 안좋아 졌고 주위에 죽은사람도 있다'라는 의견의 줄을 서고 있는데요.
처음엔 당연히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일축했는데, 생각해보니 전 이미 맞은상태라 내가 비중립적인 입장에서 놓치고 있는부분이 있을수도 있겠구나 싶더라구요.
많은 분들의 객관적인 고견 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無欲則剛
25/09/23 22:55
수정 아이콘
이런 문제는 내가 어떻게 생각하고 그런게 중요한게 아니죠. 바이러스와 백신의 비읍자도 쓸줄 모르는 일반인들이 생각해봐야 뭔 소용이 있겠어요.
공신력이 있는 과학기관 의학기관들의 주류의견을 채택하는게 현명한것이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과는 가족이면 몰라도, 남이면 굳이 길게 말을 섞을 필요도 없다고 봅니다.
덴드로븀
25/09/23 22:58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495818?sid=102
[코로나19 백신 접종 일주일 후 사망…法 "인과관계 인정"] 2025.09.22.
백신 접종 일주일 만에 뇌출혈로 사망
유족 "사망, 예방접종 때문" 보상 신청
질병청 "둘 사이 인과성 인정 어렵다"
法 "시간 밀접성, 백신 특수성 고려해야"

안그래도 코로나 백신 관련 사망 재판에서 처음으로 인정 결과가 나오긴 했습니다.
일반적인 백신이었다면 이렇게까지 가진 않았겠지만 국가 주도로 검증이 완벽하지 않은 백신을 써서 그런것 같으니 정부가 책임져라이긴 합니다.

그리고 코로나 기간동안 우리나라에서 코로나19 백신을 맞은 사람은 누적으로 최소 1억명 이상입니다.

0.01% 의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해도 1000명입니다.
타츠야
25/09/23 22:59
수정 아이콘
여왕의 심복님이 그동안 써주신 글만 봐도 됩니다.
25/09/23 23:14
수정 아이콘
현실에서 코로나 백신에 관한 음모론을 제기하면 거리를 좀 둘 것 같습니다
25/09/23 23:21
수정 아이콘
백신 맞고 산 사람은 티가 안나고
백신 맞고 아픈 사람은 티가 나죠
백신 때문에 아픈건지, 아픈데 백신도 맞은건지는 모르지만요
짭뇨띠
25/09/23 23:21
수정 아이콘
운좋게 백신을 빨리 맞았는데, 맘 편했습니다.
부작용의 리스크는 안고 갈 수밖에 없죠.
지나친 음모론자의 반의학/과학적인 의견은 무시하는게 편합니다.
파이어폭스
25/09/23 23:31
수정 아이콘
백신의 부작용은 과대평가하고 코로나의 합병증은 과소평가하는 것이라 봅니다. 그리고 그렇게 의도적으로 혹은 맹목적으로 받아들이는 집단이 있구요. 안티 백신 운동이 코로나 백신에 한정해서 벌어지고 있지도 않습니다.
아케르나르
25/09/24 01:51
수정 아이콘
비교적 급하게 만들어지고, 매우 빠른 속도로 보급된 백신이었죠. 부작용이 없을 수가 없습니다. 우린 그걸 감안하고 맞은 거죠. 부작용으로 고통받는 분들께는 안된 일이지만 백신이 없었다면 지금과는 아주 다른 사회가 됐을겁니다.
제 주변인들도 관련 얘기를 하던데요. 사실은 코로나가 독감 수준의 치사율을 가졌다더라. 백신 안 맞아도 됐을지 모른다. 오히려 부작용때문에 많이 죽었다.
지난 일이라고 너무들 쉽게 알하는 것 같습니다.
저는 다시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전염병이 퍼지고 또 부작용을 감안해야 하는 백신이 만들어져서 국가적으로 접종이 반강제되는 일이 생기면 마찬가지로 잘 맞을 겁니다. 그로 인해 내게 부작용이 생겨서 죽거나 피해를 입더라도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25/09/24 01:5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걸 왜 굳이 남들에게 물어보는지 그 의도부터 살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시비조 아닙니다)

무엇을 위한 걸까요? 남들 생각에 따라 자기 생각을 바꾸려고?
아니면 진짜로 순수하게 한 명 한 명에게 다 물어보려는 의도로? 추측이긴 하지만, 아마 매우 비슷한 그 의도로 유튜브 댓글을 이미 보고 오신 것 같긴 한데
그럼에도 또 다시 여기에 물어보는 의도가 뭘까요? 유튜브는 못 믿겠어서? 여기 사이트 사람들이 더 똑똑할 것 같아서?
과연 그럴까요?
------------------------------------------------------------------------------
그와 별개로, 과학적이란 건 뭘까요?
악감정은 없지만, 저기 맨 위에 있는 댓글의 사례를 적어보겠습니다

자기들 스스로를 지나치게 올려칠 필요는 없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남들 중고등학교에서 다 배우는, [기초적인 생명과학 지식이나, 과학 상식이나,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공통점/차이점이나, 백신 접종의 역사나, 항원 항체 작용의 원리 같은 것들을]

자기가 모른다고 해서 남들까지 모른다고 넘겨짚고서, '그냥 뇌 빼고 남들 생각에 자아의탁해라'
이게 맞는 소리일까요? 이게 과학적인 사고 방식일까요?

그렇다면 과학적이라는 게 뭘까요?
지구과학을 예로 들어봅시다
아마 절대 다수의 사람들이 과학 시간에 천왕성 다음 해왕성, 그 다음에 명왕성까지 태양계를 이루고 있다고 배웠고
그게 과학이라고 믿고 있었을 겁니다
2006년 이후로 우리가 알고 있던 그 '과학'은 '과학'이 아니게 되었고요

뭐 행성은 실생활과 관련이 없으니, 생물학이나 의료, 건강 쪽으로 예를 들어봅시다
모두가 다 상식적으로 알고 있겠지만, 1990년대나 2000년대까지는
지방을 많이 먹는 것은 건강에 나쁘고, 탄수화물이나 단백질 든든하게 먹는 것이 건강에 좋은 것이고, 우유를 많이 먹어야 몸에 좋은 것이
우리가 아는 상식적인 '과학'이었습니다, 학교에서 배우는 기술가정 교과서나 생물 교과서에서 그러한 상식적인 내용이 들어있었고요

지금은 세상이 바뀌어서, 지방의 조절보다도 오히려 탄수화물의 조절이 훨씬 더 중요하다고 여겨지고
우유도 마찬가지로, 소화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엔 오히려 장 운동에 방해가 되고 흡수가 제대로 되지 않아서
굳이 꼭 마실 이유가 없다고 여겨지는 게 상식이자 '과학'이 되었습니다

저 사례에서, 과연 어떤 게 '더 과학적'이고 어떤 게 '덜 과학적'일까요?
둘 중 하나는 '과학적이지 않은' 것일까요?

이번엔 상식적이지 않은, 좀 더 전문적인 사례를 찾아가봅시다
찾아보니 1950년대에 '탈리도마이드'라는, 독일에서 만들어진 신경안정제가 있었다고 합니다
동물 실험에서도 부작용이 없었고, 임산부에게도 해가 없다고 알려졌다네요
특히나 임산부들의 입덧 완화에 효과가 있다고 하여 인기를 끌었다고 하는데,
결론은 유럽에서 8천명, 전 세계에서 약 1만여명의 기형아를 발생하게 한 약이라고 결론이 났다고 합니다
이 '과학적인' 사실에서 과연 무엇이 잘못이었을까요?

우리가 다니던 거의 모든 학교에서 쓰였던 석면 (천장에 있던 그 직사각형 흰 자재)의 사례는 워낙 유명하니
길게 적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그럼 마지막으로, 사회과학적 요소가 강하게 섞였던, 그리고 남녀와 노소를 가릴 것 없이 한국인 누구나 다 알고 있는
그 황우석 사건을 한 번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백종원씨 이전에, 이 한반도 남한 땅에서 누구보다도 가장 영향력이 있었던 그 황우석씨 사건
우리가 알 수 있는 과학이자 상식이라는 건, 황우석씨가 복제 양을 만들어내고, 그 원리와 구조가 중학교 생물 교과서에 나와있고,
생물 복제 분야에서 한국 최고의 권위자와 우리의 영웅이 되어, 세상을 바꿀 수 있을 거란 믿음과 희망이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알고 있던 그 과학이자 상식은 2005년 어느 겨울날을 기점으로 더 이상 과학이 아니게 되었고요

그 외에 뭐 물리1 교과서에 있는 원자모형의 변천 같은 건 굳이 다 안 적어도 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 기나긴 댓글의 결론이 뭐냐?
'과학'이란 건 객관적이거나 확률 99.99%의 확고한 정답이라는 게 있을 수가 없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지금 유튜브에 한창 떠도는 무슨 트럼프 발언이나 뭐 코로나 백신 사기극 같은 걸 믿는다는 소리가 아닙니다)

당연히 이 세상 규칙의 기본이 되는 모든 중고등학교 물리 화학 생명 지구 지식들은 다 기본적으로 받아들이고, 최대한 이해하려고 하는 게 맞지만
그걸 넘어서는, 앞으로 우리가 살면서 겪을 모든 경우의 수들이 과연 과학일지 아닐지는
아무도 대신 말해줄 수가 없고, 장기적으로는 정답인지 오답인지가 갈리겠지만
단기적인 그 상황에선 자기의 주관적인 신념과 생각 이외에는 누구도 대신 답해줄 수가 없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거 가르치려고 물화생 교과서 맨 앞면에 과학의 역사 적혀있는 거 아닌가요)

그것조차도 혼자 생각하기가 귀찮아서, 저기 저 맨 위의 댓글처럼 '뇌 빼고 남들한테 자아의탁이나 해라' 하는 건
진짜로 세상에서 제일 한심한 소리 같네요
사실 저 맨 위에 있는 말이 트리거가 되서 이렇게 길게 적었습니다
jjohny=쿠마
25/09/24 07:4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맨 위 댓글의 "공신력이 있는 과학기관 의학기관들의 주류의견을 채택하는게 현명한것"

"뇌 빼고 남들한테 자아의탁이나 해라"
는 아주 다른 말인데, 이걸 동급으로 치부하시는 게 더 이상해 보입니다.

(과학의 역사는 그 차이까지도 우리에게 가르쳐주고 있습니다)
25/09/24 08:14
수정 아이콘
맨 위 댓글을 그렇게 요약하시면 왜곡입니다
난누구여긴어디
25/09/24 10:02
수정 아이콘
당연히 과학도 틀릴 수 있습니다.
다만 '과거의 과학'이 틀렸다 라고 하는것도 '미래의 과학'이 짚어내는 부분이지요. 과거의 자기를 부정 할 수 있는게 과학의 특성이기도 하고요.
어느 한 시점을 기준으로 그 시대의 과학이 모두 옳다는 것은 아닙니다. 그 중 일부는 미래에 틀렸다고 밝혀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를 살고있는 사람에게는 그 당시의 과학적 방법론을 따르는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합니다.
배고픈유학생
25/09/24 02:02
수정 아이콘
생수 먹은 사람들은 전부 죽었습니다. 급으로 생각합니다.
25/09/24 03:58
수정 아이콘
이게 안티백서의 진짜 나쁜 영향이죠...
동굴곰
25/09/24 07:02
수정 아이콘
그냥 미국 보건복지부 장관이 중증의 백신반대론자라서 입니다.
cruithne
25/09/24 08:48
수정 아이콘
유튜브 댓글은 머저리 집합소이고, 미국 보건복지부 장관은 또라이 음모론자입니다.
25/09/24 09:17
수정 아이콘
저희 가족중에 심각한 부작용을 겪은 사람이 있습니다. 말 그대로 죽을 뻔 하긴 하셨거든요.
대학병원 의사분 이야기가 백신때문이라고 단정은 못하지만 아마 백신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고 하시기도 했고요.
백신 무용론까지는 트럼프가 트럼프 했네로 보지만, 부작용 관련해서 좀 더 설명을 해야 한다... 까지는 맞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이게 미국이나 국내나 정치 묻다 보니 이상해진거 같아요.
25/09/24 09:44
수정 아이콘
백신이 잘못작용할 가능성은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 희박한 가능성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부분에서 의도한 성능을 발휘했겠죠. 사람이 평범한 일상을 살다가 죽을 확률은 있습니다. 높지 않을뿐이죠.
25/09/24 09:45
수정 아이콘
죽음보다 심각한 부작용은 없습니다
당장 미국 사망율만 보셔도
이부키
25/09/24 10:06
수정 아이콘
아주 간단합니다.

코로나 후유증 vs 백신 부작용

이거 두개를 저울질해서 판단하시면 됩니다.
WalkingDead
25/09/24 10:20
수정 아이콘
부작용이 없는 백신은 없겠죠. 다만, 대부분의 일반인들은 부작용 위험 대비 이득이 어느정도 되는지 저울질해보고 판단을 하는거구요.
Far Niente
25/09/24 10:54
수정 아이콘
0% 아니면 100%라고 생각하니까 판단이 흐려지는 거지
단기간에 수십억명의 사람이 수 회 이상 맞았는데 누군가에게도 부작용이 없다? 그럼 신의 약물이죠
절대다수의 사람에겐 꼭 필요한 빛도 극소수의 누군가에겐 알러지 유발 원인일 수 있는데 인간이 만든 약물 따위
오히려 짧은 시간에 만들어낸 약물의 부작용이 이 정도로 적은 게 인간의 힘을 보여주는 사례 아닐까 싶습니다
유료도로당
25/09/24 11:00
수정 아이콘
그거 없었으면 저희 부모님 세대에서 유의미한 비율로 꽤 많이 돌아가셨을거라 생각합니다. 여기 댓글 단 정도 인원이면 해당케이스가 있을 정도 되지 않았을까요?
쵸젠뇽밍
25/09/24 11:10
수정 아이콘
코로나 백신은 접종받은 사람 수가 워낙 많기 때문에 단기 부작용 케이스는 충분합니다. 충분히 검증됐다고 봐야하고요.
장기간 잠복 후 나타나는 후유증이 있을 수 있겠죠. 그건 모르는 거고요.
적어도 지금 사람들의 의문을 갖는 건 단기 부작용이 있었다는 건데, "둘 사이 인과성 인정 어렵다"가 현시점 답입니다.
FastVulture
25/09/24 11:24
수정 아이콘
백신 부작용으로 힘들었다면 - 그리고 그게 정말 코로나 백신 때문이었다면 - 아마 코로나 걸렸으면 목숨을 잃었을 가능성도 높다고 생각합니다...
25/09/24 11:27
수정 아이콘
백신 부작용이 하나도 없다는건 틀린 주장이 맞습니다. 다만 코로나 백신만이 아니라 대부분, 아니 모든 의약품은 부작용의 리스크가 있다는걸 무시한 주장이고

코로나 백신도 부작용 vs 백신 이득을 비교하면 후자가 압도적으로 우위라서 사용됩니다

제대로 백신 부작용을 평가하려면 백신 안맞아서 죽는 인원과 비교해야 하는데, 정량적인 비교는 지루하고 현학적이지만 [백신 부작용으로 사람이 죽는다] 한줄이면 도파민 뿜뿜이죠 크크
콩순이
25/09/24 12:18
수정 아이콘
기저질환자인데 코로나 접종 이후 코로나 걸리고나서 기저질환이 확 안좋아져서 죽다 살아났습니다. 여러 문제가 있었구요. 몇년동안 고생해서 이제 좀 낫습니다. 코로나 걸린게 문제인지 접종이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마는 그래도 연로하신 부모님은 코로나 접종 맞춥니다. 저는 안맞지만요.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고 저는 운이 좀 많이 안좋은 편이었다고 생각합니다.
평온한 냐옹이
25/09/24 15:45
수정 아이콘
주변에 심장에 문제가 생긴 지인이 있습니다. 그래서 논란은 충분히 있을수 있다고 보게되었네요.
나이스후니
25/09/24 16:02
수정 아이콘
부작용은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사치만 백신을 집단으로 다 안맞았으면 코로나로 죽을 사람들의 수가 더 많았을 겁니다. 코로나에 약한 체질의 사람들이나 노인들이 모두 죽고나서야 끝났을수도 있고요.
백신이나, 약이나 만능은 없습니다. 다만, 국가적인 입장에서 백신을 맞고 코로나로 인한 사망자를 줄일수 있다면 도입해야 하는 정책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1765 [질문] 프로리그 시즌 단위로 선수생활 제일 오래한 한국 야구선수가 누굴까요? [8] 업앤다운타운1433 25/09/24 1433
181764 [질문] 이번 정부의 대미 통화스와프 제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5] 옥동이1583 25/09/24 1583
181763 [삭제예정] 학교에서 전화가 왔습니다 [28] 최종병기그녀4908 25/09/24 4908
181762 [질문] 자급제+알뜰폰 개통 관련 질문입니다. [5] Healing2118 25/09/24 2118
181761 [질문] 머리에 부담이 거의없는 염색약이 있을까요? [7] 까만고양이2416 25/09/24 2416
181760 [질문] 코로나 백신 논란 어떻게 보시나요? [29] char2662 25/09/23 2662
181759 [질문] 아이폰 기종관련 질문 [15] 無欲則剛1679 25/09/23 1679
181758 [질문] 스위치 게임 추천 받습니다. [12] 어텀885 25/09/23 885
181757 [질문] 배틀그라운드를 다시 해보고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1] 자가타이칸684 25/09/23 684
181756 [질문] 갤탭 10+ 11중 뭐가 좋을까요 [7] 두드리짱1918 25/09/23 1918
181755 [질문] 게이밍 노트북 고르는 데 궁금한게 있습니다. [16] Winter_SkaDi1731 25/09/23 1731
181754 [질문] 할로우 나이트 질문입니다(버그) [3] 나를찾아서2542 25/09/23 2542
181750 [질문] 파타야 숙소 추천 부탁드립니다. [8] 완성형폭풍저그2959 25/09/22 2959
181749 [질문] 크림 중고 판매 [1] 솜사탕흰둥이3058 25/09/22 3058
181748 [질문] 컴퓨터견적 문의드립니다 [5] 라라 안티포바1946 25/09/22 1946
181747 [질문] 모니터 추천 부탁드려도 괜찮을까요 [6] Kizumi12058 25/09/22 2058
181746 [질문] 중고차 추천 부탁드립니다 [13] 채찍피티2303 25/09/22 2303
181745 [삭제예정] 결혼 앞두고 명절 전 여자친구 부모님 댁 방문하셨나요? [40] 루체른2653 25/09/22 2653
181744 [질문] 이 만화 제목 궁금합니다 [2] 수리검1293 25/09/22 1293
181743 [삭제예정] 추석 연휴때 할만한 게임 있을까요? [12] 삭제됨1539 25/09/22 1539
181742 [질문] 소비쿠폰 2차 이의신청 [2] 정공법1870 25/09/22 1870
181741 [삭제예정] 중학생 자녀 학원 거부 [44] 탄야2825 25/09/22 2825
181740 [질문] 웹툰 추천 부탁 드립니다. 강풀류? [2] 배려1000 25/09/22 100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