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2/06 23:30
음... 사실 어려운 얘깁니다. 리스크를 얼마나 감내할수 있으신지 세세하게 따져볼 일이라서요.
그래도 좀 브로드하게? 말씀을 드려보겠습니다. 1) 스스로 해당 지식이 너무없다고 판단되시면 만만한 정기예금이나 정기적금 추천드립니다. 상품별로 물론 차이도 있지만 그냥 주거래 은행에 적당한 상품 추천받으셔도 됩니다. 2) 정기예/적금에 넣기엔 너무 입출금이 잦으시면, 대형증권사 CMA 통장 추천드립니다.(미래에셋증권 등) 여기까지는 원금 손실의 위험이 사실상 없는 방법이고요. 여기서 더 나아가려면 원금 손실 위험을 감당하셔야 합니다. 말씀하신 S&P500 이런건 원금 손실 위험이 무조건 따라오는데요. 그래도 직접 해보는 편이 장단점을 배우는데 좋다고 저는 생각하거든요? 안전성이 높고 간편한 방식부터 천천히 경험삼아 해보시는 건 나쁘지 않다고 봐요. 따라서 이쪽은 국내 상장 ETF(예: TIGER 미국S&P500)에 장기 분할 적립식으로 투자하시되 금액을 적게 하시면서 직접 한번 체험해 보셔요. 가령 월에 30만원. 뭐 이런식으로요.
25/02/06 23:45
사실 투자 경험이 없고 별 관심도 없었다면 예적금이 제일 무난합니다.
그리고 아파트 구매 예정이라면 청약저축도 넣으세요. 주식은 원금 손실 리스크가 크고 등락에 민감해질 수 있어서 추천하지는 않지만 적극적인 투자 없이는 돈 모으는건 속도가 많이 느릴겁니다. S&P500 이나 나스닥 지수 추종하는 국내 ETF 들이 있는데 여기 매월 소액(월10만에서 30만 사이)으로 넣어 놓고 1년, 2년 뒤에 수익률을 평가해보세요. 그리고서 금액을 늘릴지, 그만할지 정하시면 됩니다.
25/02/06 23:48
1. 1억 모을때까진 [예금/적금] 만 하세요.
2. 월급 받는 통장 은행 앱을 깔고, 거기에서 예금/적금 적당히 골라서 가입하면 됩니다. 3. 주식이 궁금하고 토스앱을 쓰신다면 토스증권 탭에 가서 가입하고 40만원 넣고 주식모으기로 [하루에 천원]씩만 [VOO] 라는걸 사도록 설정하세요. - 금액 키우기는 절대 금지
25/02/07 00:00
원금손실 위험이 있어서 자신이없으시다면 예적금만으로도 충분합니다. 남들이 이걸로 저걸로 투자성공했다는 말에 흔들리실 필요 없고 처음엔 예적금부터 천천히 시작하세요.
요새는 인터넷에서 검색해도 한번에 은행별 예적금상품 이율 다 확인 가능합니다. 다만 이것저것 우대금리가 포함되다보니 실제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몇개의 은행 및 상품을 먼저 고르신 다음에 해당 은행어플 설치하셔서 실제 이율 확인/비교하셔서 가입하세요. 만약 이 방법도 어려우시다면 현재 사용중인 은행 (급여통장) 에서 가장 이융 높은 예적금상품으로 가입하셔도 차이가 아주 크진 않을거에요.
25/02/07 00:14
그정도 근로소득이 있으시다면, 어설프게 재테크 하시는 것보다는 소비를 조절하는게 최고입니다.
아끼신만큼 큰 돈이 모이실거에요. 예금도 크게 신경쓰실 거 없고, 일단 목돈(1~2억)을 모으시고 생각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