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7/25 13:12
흠, 그러니까 H614G가 모뎀이고 H724G가 유무선공유기인데 PC는 H614G로 연결되어 있고 무선디바이스(스마트폰) 등과 Wi-Fi 프린터는 H724G에 연결되어 있다는 진단인 거군요. 가능성은 있어보이네요. 장비마다 지원하는 세부기능이 달라서(이름은 같은 브릿지모드, 허브모드라도 어떤 제품은 A기능이 되고 B기능은 안되고 하더라고요) 현장 분들도 각 모델별 특징은 잘 모를 듯 싶습니다. 그냥 설정을 요래조래 바꿔가면서 테스트해보는 게 더 빠르죠. 그리고 더 단순한 방법은 PC까지 H724G에 연결시키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유무선공유기를 단자함에 넣어뒀어요. 어느 방에서나 패치코드로 연결할 수 있도록요.
21/07/25 13:23
일단 저도 그냥 이런 저런 테스트를 해봐야 할 거 같습니다 ^^; 이왕이면 맞는 방법(?)으로 한번에 하는게 속 편하긴 하니까 여기저기 물어보긴 했는데 이것저것 그냥 일단 해봐야 겠네요 ㅠㅠ 반기가는 역시 피곤하네요 ㅠㅠ 나중에 취업해서 돈 벌면 기가로 바꾸던지 해야 겠습니다 ㅠㅠ
21/07/25 13:29
반기가, 기가의 문제는 아닙니다… 기가 써도 구조는 같아요. 그리고 앞댓글에서 말씀드린대로 모드 변경 테스트 전에 H724G라는 장비로 PC를 연결해서 진행해보시기를 권유드립니다. 제가 써보기로 삼성 와이파이 프린터는 처음 프린터 설치(무선설정)만 동일한 네트워크 안에서 완료하면 그 뒤로는 브릿지모드로 연결된 장비에서도 출력이 가능했던 걸로 기억하거든요. 네트워크 장비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어서 일종의 시도로 해보는 수밖에 없긴 합니다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