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7/01 21:22
우선 주민센터에 가보시기 바랍니다. 공무원이 알고 있는 범위 내에선 최대한 해결해줄겁니다.
조금 늦게 내도 된다던지, 현 상황에 맞는 경제적인 지원에는 어떤게 있는지 등이요. 그리고 일자리는 많습니다. 출퇴근버스 운용하는 공장도 있고요, 택배상하차보다는 공장이 더 나을겁니다. 적어도 몇몇 공장은 쿼터제를 운영하여 중간중간 쉬는시간이 있고, 단순한 일만 하다보니 적응도 빠릅니다. 택배상하차까지 알아보셨다면, 그 눈높이에서 (비하,비꼼 아닙니다.) 돈 더 주고 할 수 있는 일은 많이 있습니다. 갈곳이 없는게 아니라, 가도 힘드니까 그러는겁니다. 정말 일자리 많습니다. 지금이라도 이 글을 읽으면 당장 알바천국, 알바몬, 워크넷 전부 검색해보십시오 온통 일자리입니다. 꼭 잘 해결되길 바라겠습니다.
21/07/01 21:35
정말 4천원에도 일할생각이 있으면 윗분말처럼 알바몬 알바천국에 그냥 문자지원만하면 받아주는 공장들 차고넘쳤습니다
집이 어디신지 모르겠으나 집주변말고 공장 모여있는 산업단지 중심으로 검색해보세요
21/07/01 21:40
직장가입자에서 지역가입자로 바뀌면서 가지고 계신 집때문에 상당하게 나오는 걸로 보입니다.
그리고 공공근로 일자리에 해당하시는지 먼저 동사무소에 확인 먼저 해보세요.
21/07/01 21:55
(수정됨) 지역가입자네요...실직상태라도 3년간 직장가입에 준하게 처리하는것도 있긴 한데 이게 적용가능케이스일지는 모르겠군요...임의계속가입이라고...
사실 뻥튀기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지역가입자가 뻥 튀는게 일단 직장가입자일때는 온리 소득으로만 잡는데 거기서도 반은 직장이 내주니까요 원칙적으로는...거기에 지역가입자가되면 재산등까지 포함시켜서 산정해서...더 튀고...반을 다른 곳에서 내주는걸 안내니까 튀어오르는건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있긴 있습니다 일단 건보공단가서 그거 적용되는지 확인하고 아마 어지간하면 더싸게 내줄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거기에 맞춰서 해줄겁니다... 저같은 경우는 실직하고...건보료 나와서...임의계속이라도 할려고 건보공단가서...조치받고 차액환급까지 다 받았거든요...저같은 경우는 부모님 제 밑에 들어가있던거 직장있던 동생으로 옮겨가고...저 혼자 지역보험가입자가 되면 임의계속보다 싸서 그걸로 했었고요...집이나 자동차같은 자산이 없다보니... 국세청은 관할이 아닌게 건보료는 원칙적으로는 국내법상 세금이 아닙니다...준조세라고는 하지만 명목상으로 보험료니까요...건강보험공단이 주무기관이죠...아마 지역가입자 전환되면서 날라온 고지서에 임의계속가입내용 있었을텐데...제가 그걸 보고 공단에 간거거든요...
21/07/01 22:14
뭐 구직활동 이전에 그만 둔 사유가 자의에 의한건 아니여야하는게 더 중요하긴 하지만요...
계약만료라던가 그쪽에서 해고했다던가 식이면 백프로인데 아니면...이거 처리가 좀 빡빡할거같은데...코로나시국이라고 좀 풀린거 아니면...
21/07/03 05:03
(수정됨) 실직했을때 일시적으로 예외신청을 할수있습니다
https://kin.naver.com/qna/detail.nhn?d1id=6&dirId=6100402&docId=385797558&qb=7KeA7Jet6rCA7J6F7J6QIOyLpOyngQ==&enc=utf8§ion=kin.ext&rank=1&search_sort=0&spq=0 참고하세요 국민연금공단에서 직접 답변한 내용입니다 발췌 [다만 학생 또는 군인 등 소득이 없는 분은 27세 미만은 적용제외, 27세 이후는 납부예외 신청을 통해 해당 기간 동안 연금보험료를 납부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납부예외란 실직, 사업 중단 등으로 소득이 없게 되었을 때 공단에 신청하여 일정기간 동안 보험료 납부를 면제받는 것을 말합니다. 다만, 납부예외 기간은 가입기간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나중에 연금액 산정 시 가입기간에서 제외됩니다.] 적게라도 소득이 잡히면 신청할수없어요 적게라도 월세를 받거나 소득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안될거에요 전 이런거 모르고 소득없다고 안내다가 뒤에 한방에 엄청 많이 냈습니다 지역가입자 건보료는 그야말로 전투입니다 항의하고 알아보고 깎을수있는한 최대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서 싸워서 깎아야합니다 아니면 제멋대로 산정해서 어마어마하게 때립니다 직장인 유리지갑이니 받지도않고 떼어가니 불만이 많은데 진짜 나라에서 호구로 생각하는건 지역가입자입니다 프리랜서들 해촉증명서 떼랴 거래처 눈치보랴 겁나 힘듭니다 최초 실직이후에 엄청 고생해서 건보료에 대한 많은 정보를 물어보고 듣고 알아보고 찾아보고 하게되었습니다 이거 빨리하셔야 실직때부터 적용가능할거에요 일정기간 증명을 안하면 그 기간은 낼수밖에 없습니다 빨리 알아보고 조치하세요 그리고 요즘은 6개월만 다니고 짤리길 바라며 회사다니는 사람 많을정도로 실업급여받기가 쉽고 또 금액도 많습니다 실업급여도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실업급여 신청하면 건보료 납부도 해결하고 생활비도 일정기간동안 해결가능합니다 지역가입자 건보료는 real 전투에요 참고하세요 +) 밑에 표에 증명방법있네요 납부예외사유 - 사업중단,실직,휴직중인경우 확인방법 -> 실업급여 수령, 퇴직증명, 휴폐업사실 등 준비하셔서 전화하고 팩스로 보내시면 처리가능할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