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6/06 11:49
(수정됨) 유통기한이란건 말 그대로 유통, 판매할 수 있는 최종 기한이라는 뜻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유통기한 내라도 보관 방법이 잘못되면 (예 : 냉장, 냉동 식품을 실온에 보관한 경우) 상하게 되고, 유통기한 넘었더라도 보관을 잘하면 종류에 따라 한 달이나 심지어 1년도 넘게 보관할 수 있습니다. (예 : 미국 MRE. 3년 유통기한을 가지고 3년 되면 개봉 후 표본 검사를 통해 문제 없다 싶음 1년 더 보관한다고 합니다.)
김치는 흔히 알다시피 발효 식품에다 푹 익어서 묵은지가 되어도 요리를 해서 먹을 수 있는 품목이기 때문에 보관상태가 좋았다면 문제 없을겁니다.
21/06/06 13:22
유통기한은 상품가치가 보증되는 기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비비고 묵은지'로 판매하는게 아니기 때문에 묵은지가 되버리면 본래의 상품 가치는 없어지는거죠.
묵은지의 수요와는 별개로 말이죠.
21/06/06 18:15
유통기한은 판매가능기간으로 이해하면 편합니다.
상하지 않는 기간은 그것보다 길고 김치는 어차피 발효가 되는 기간에 따라 맛이 다 다르니 1년을 묵혀도 묵은지가 되니 맛있죠.
21/06/06 21:44
김치찌개....용으로 한 번 테스트 해보시고... 먹을만하면 드셔도 상관없을듯요...;;
솔직히.. 그냥은 못먹겠어요.(이미 유통기한을 안 순간부터.... 크크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