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6/18 20:28
(수정됨) 원론이기도 하고 선지보니 순수전략 내쉬균형만 따지면 되겠네요.
상대 전략 마다 자신의 payoff를 최대로 만드는 선택만 하면 됩니다. (만약 payoff 같을 때는 해당되는 선택 모두 ok) 1-1) B입장에서 : A가 up -> B는 left 할 때 payoff 더 높으므로 left A가 down -> B는 Right A입장에서 : B가 left -> A : up B가 right -> A : down equilibria : (3,3) (4,4) 솔루션이 잘못된듯... 1-2) A : 3>2, 3<4 B : 3>1, 2<4 강우월전략 없음. 2) 강우월전략 없는게 맞고, 1-1과 같은 방식으로 풀면 b
19/06/18 20:47
아 감사합니다. 답이 잘못됐나봅니다.
1-2) A : 3>2, 3<4 B : 3>1, 2<4 강우월전략 없음. 부분이 어떤걸 나타내는지 잘 모르겠는데 혹시 설명 가능하겠습니까?
19/06/18 20:55
a는 상대가 left를 선택했다면 무조건 up를 선택할 것이고(보상이 2에서 3으로 올라가므로), right를 선택했다면 up이 아니라 down을 선택할 것입니다.(보상이 3에서 4로 증대). 우월 전략은 상대가 어떤 전략을 선택하든 자신에게 최적이 되는 전략인데, 상대의 선택에 따라서 최적의 선택이 바뀌므로 강우월전략이 없다... 라는 말 같습니다.
19/06/18 21:00
(수정됨) 게임이론 교과서들을 보면 수학적인 정의가 따로 있긴 한데
쉽게 말하면 상대가 어떤 전략을 선택하든 상관없이 내가 선택했을 때 가장 높은 보수를 얻을 수 있는 전략이 강우월전략입니다. B가 left 하면 A입장에서 up 선택: 3 down 선택 : 2 -> A는 up선택 B가 right 한다면 A입장에서 up 선택: 3 down 선택 : 4 -> A는 down선택 up과 down으로 나뉘기 때문에 강우월전략은 없습니다. 만약 보수행렬에서 1행 2열이 [3.1] 이 아니고 [5.1]이면 B가 left 하면 A입장에서 up 선택: 3 down 선택 : 2 -> A는 up선택 (보수행렬 바뀐 부분과 무관하니 기존과 같음) B가 right 한다면 A입장에서 up 선택: 5 down 선택 : 4 -> A는 up 선택 ([5,1]로 인해 바뀜) 따라서 A의 강우월전략은 up입니다. 이게 숙달되면 3>2, 3<4 이렇게 쉽게 찾을 수 있는거구요
19/06/18 21:22
아 1번째 사진에 대한 설명이군요.
2번째 사진의 경우에는 b가 left 일때- a 는 down center - up right- middle a가 up 일때 - b는 left middle - right down - center 이니까 강우월전략 없음 까지는 이해가 되는데 그 다음은 어떻게 도출해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답이 middle- right라고 하셨는데 이걸 도출하는 과정이 a의선택지 b의 선택지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게 middle- right이라서 그런건가요?
19/06/18 21:33
네. 맞습니다.
직접 치신건지는 모르겠는데 풀이 축약한게 사진에서 각 보수에 쳐진 동그라미입니다. 플레이어 a,b 각각 입장에서 최적 보수에 동그라미가 쳐져있는거죠. 그리고 a,b 보수 모두에 동그라미 쳐져있는 middle-right가 NE입니다. 개념 이해가 되면 그냥 보수행렬에 있는 동그라미 치셔서 푸는게 더 안헷갈립니다. 제가 경제학과 본전공생인데 그냥 시험칠 때도 이정도 NE는 행렬 그려서 동그라미치는게 국룰입니다. 주관식이라도 채점에 불이익은 안 주시더라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