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8/31 00:13:31
Name 박현준
Subject [질문] 일반인이 프로 골키퍼에게 패널티 킥 성공률?
안녕하세요. 회사에서 동료들이랑 조현우 선수 이야기 하다가 의견이 크게 갈린 주제가 있어서 어떻게 생각 하시는지 궁금하여 질문 올립니다.
제목 그대로 일반인 (그냥 학교 다닐 때 축구좀 좋아했었던 수준) 이 조현우를 상대로 패널티 킥을 10번 차면 단 한골도 성공 시키기 어려울 까요?
저는 단순하게 공이 풀파워로 잘 맞고 마침 그 공이 운 좋게 코너쪽을 찌르면 넣을거 같다는 의견인데. 동료는 일반인은 아무리 재수가 좋고 아무리 잘 차도 절대로 한골도 넣을 수 없을거라고 하네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지니쏠
18/08/31 00:17
수정 아이콘
100번차도 못넣을것 같은데요...
박현준
18/08/31 00:21
수정 아이콘
그런가요? 전 사실 축구를 보기만 하고 실제 많이 해보지 못해서 감이 없었나보네요.
지니쏠
18/08/31 01:03
수정 아이콘
저도 아무것도 몰라요.. 그냥 추측이에요. 흐흐.
지니쏠
18/08/31 01:25
수정 아이콘
https://www.youtube.com/watch?v=_63FiDnKUwQ
궁금해서 좀 찾아봤습니다. LA FC 라는 프로구단의 골키퍼 상대로 일반인들이 찼는데 생각보다 많이 못막네요. 10골이면 충분히 한두골 이상 넣을 수 있을 것 같아요.
치토스
18/08/31 14:18
수정 아이콘
일반인 중에도 조기축구 에이스급들은 충분히 구석으로 강하게 차는 킥이 되는데다가 애초에 페널티킥이 골키퍼가 무조건적으로 불리한 조건이라 그정도는 절대 아닐겁니다.
코돈빈
18/08/31 00:19
수정 아이콘
일단 일반인은 슈팅 속도가 너무 느려서 넣기 매우 어렵긴 합니다. 수준급의 프로 골키퍼가 일반인 슈팅 보면 굼벵이처럼 보일걸요...?
박현준
18/08/31 00:22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풀파워+사각을 찔러도 어렵나보군여.
치토스
18/08/31 14:20
수정 아이콘
아니요 위에도 썼지만 조기축구 에이스급들이면 못해도 10번에 한두번은 충분히 넣을수 있습니다.
원펀맨
18/08/31 00:21
수정 아이콘
Pk면 최소 두골은 넣을듯
펠릭스-30세 무직
18/08/31 00:21
수정 아이콘
조현우가 상대방이 일반인이란걸 안다면 감각으로 뛰는게 아니라 공 궤적 다 보고 뛸거 같긴 합니다.
박현준
18/08/31 00:22
수정 아이콘
보고 뛰면 늦는다는게 프로들 사이에서의 말이군요.
화염투척사
18/08/31 00:22
수정 아이콘
https://pgr21.com/pb/pb.php?id=bug&no=163250&page=126
예전에 비슷한 글이 올라왔던적이 있네요. 크크
올리버칸이 일본 유소년팀 상대로 10골 다 막았다는(골 하나당 유소년 축구 장학금주는 이벤트) 이야기도 있고 하니 학교 다닐때 수준이면 거의 막히지 않을까 싶네요.
박현준
18/08/31 00:27
수정 아이콘
아. 재밌네요. 감사합니다.
화염투척사
18/08/31 00:27
수정 아이콘
https://youtu.be/ihTfgoJnKz8?t=5m44s
이것도 한번 구경해보세요. 예전 질문글 답변에서 가져왔습니다.
18/08/31 00:28
수정 아이콘
일반인도 실력이 천차만별인데 제가 차면 못넣을 것 같습니다. 나름 축구 좋아하고 고3때 친구들과 내기 페널티킥 좀 해봤고요. 일단 최고 파워로 정확히 구석을 찌른다는게 어렵습니다. 강하게 차려면 정확성을 어느 정도 포기해야 하거든요. 무작장 세게만 차면 수십 번을 시도해도 원하는 구석으로 안 갈수도 있어요. 그리고 운좋게 구석으로 가더라도 그런 슛은 방향을 못속이기 때문에 준비동작부터 다 읽힐 겁니다. 페이크를 넣으려면 또 파워가 줄어들 수밖에 없고요. 선수출신 아닌 일반인은 100번에 한 번도 쉽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신공표
18/08/31 00:31
수정 아이콘
일반인의 범위가 너무 넓은데,

축구 좀 했었다는 일반인은 무조건 1골은 넣죠.
아오이소라카
18/08/31 00:31
수정 아이콘
차는 사람도 어디로 갈줄 모를정도로 그냥 냅다 때리다 보면~ 코스만 잘 맞으면 10번에 1번쯤은 드갈꺼라 봅니다.
꼬발로 때리면 순간 스피드도 엄청나고 어디로 갈줄도 모르고 하니~
박현준
18/08/31 00:34
수정 아이콘
제 의견도 ‘그냥 우연히 잘 맞아서 자기수준에서 최고의 속도가 사각으로 재수 좋게 간다면’ 들어간다 였는데. 회사동료는 그래도 보고 쉽게 막는다. 공이 느리다. 라고 하더군요.
아오이소라카
18/08/31 00:37
수정 아이콘
적어도 소시적에 축구좀 해본 일반인 이라면 정확도 다 팽개치고 걍 풀파워로 때린다 치면 거리상 코스만 좋으면 반응하기 어렵다고 봅니다.
손금불산입
18/08/31 00:34
수정 아이콘
매주 동호회나가서 꾸준히 축구하는 사람이라면 천운이 따라야 넣을까 말까 할텐데, 애당초 동호회 축구인이 평범한 일반인이라고 칭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네요. 일반적인 축구인이라면 모를까.
박현준
18/08/31 00:36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저는 축구를 몇번 안해봤는데 가끔 운 좋게 잘 걸리면 엄청나게 공이 빨랐던 기억이 있어서. 이건 사람은 못 막는다라는 착각이... 크크.
18/08/31 00:35
수정 아이콘
축구를 적어도 1주에 한번 이상 하는 사람을 제외한 선출제외 일반인이라면 0%요.
안채연
18/08/31 00:36
수정 아이콘
그냥 순전히 글자 그대로 '학교 다닐때 축구 좀 좋아했던 수준'이면 절대 불가능합니다. 축구 못해도 좋아할순 있잖아요. 그럼 축구 좀 좋아한 일반인의 평균수준이 엄청 낮아지거든요 크크
사나없이사나마나
18/08/31 00:38
수정 아이콘
프로선수가 어느 정도 괴수인지 몰라서 감이 잘 안 오네요. 개인적으로 저는 수비를 주로 봤지만, 프리킥을 좋아해서 대학 다닐때 정말 많이 연습해서 한 2골 정도는 넣을 수 있지 않을까 싶긴 한데 해보고 싶네요. 그런데 그냥 축구 잘하는 애들도 pk는 그닥 잘 넣는다는 느낌은 아니었습니다. 서 있기만 해도 위압감에 5개는 실패하지 않을까 싶어요.
bemanner
18/08/31 00: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반인이 조현우 앞에 놓고 킥 차면 일단 5개는 골대 밖으로 나가고 시작할 거 같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WSiY7g255rs&t=455s
조현우가 셔틀콕 막는 거 보면 제 다리로는 저만큼 못찰 거 같은데 그래도 곧잘 막네요..
FastVulture
18/08/31 00:41
수정 아이콘
3부리그만 되어도 슛 파워가 일반인이랑 차원이 다릅니다..... 진짜로... 막다가 손 나감...
일반인 슛파워는 약해서 안될거에요
Chandler
18/08/31 00:54
수정 아이콘
내가 일반인 인걸 모르는 상태에서 파넨카 하면 들어갈 확률이 조금은 있지 않을까요 크크
Chandler
18/08/31 00:55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니 파넨카도 파넨카 나름이겟네

내가 찬 똥볼은 역동작 걸리고도 막을듯
류서방
18/08/31 01:00
수정 아이콘
학교 다닐 때 축구 좀 좋아했던 수준이면 파워도 파워지만 일단 궤적자체도 문제 같은데요
동호인도 힘든걸 일반인이 될리가요
그말싫
18/08/31 01:07
수정 아이콘
나 조차도 방향을 알 수 없게 코발로 그냥 냅다 후리면 5개 중 1개는 들어갈거 같습니다.
페로몬아돌
18/08/31 01:44
수정 아이콘
패널트킥 거리에서 코발로 차면 다 막힙니다. 코발은 근거리 아니면 위력이 넘 약해요.
공업저글링
18/08/31 14:46
수정 아이콘
일반 동호인들 중에 코발로 냅다후리면 무회전 처럼 나가는 사람들도 많아요.
저역시나 그냥 일반인중에 축구 많이 좋아하는 정도인데 고등학교떄 까지 골키퍼 했던 선수출신한테
코발로 PK 차봤는데 못막더라구요.

일반인중에 그래도 기본 킥 되는 사람들은 정확도가 떨어질뿐이지 슛 괘적이나 속도는 더 빨라요.
페로몬아돌
18/08/31 01:45
수정 아이콘
일주일에 하루는 무조건 공차는 그리고 축구 잘하는 공격수 일반인은 운좋게 10이 하나 걸리고... 나머지 일반인은 100의 하나도 못 합니다.
18/08/31 01:51
수정 아이콘
슛 할줄 아는 사람이면 열번에 한번은 들어갈 것 같네요
18/08/31 02:30
수정 아이콘
어쩌다 발에 잘 걸려서 진짜 사각으로 깔끔하게 맞아 들어가는거 아닌 이상 나머지는 다 막히거나 골대로 못 갈거라 보네요
곰성병기
18/08/31 04:03
수정 아이콘
링크영상보니까 김병지선수는 아예 디딤발 보고 방향을 예측해서 그런지 일반인들이 차는건 그냥 다 막을거같네요.
아저게안죽네
18/08/31 04:51
수정 아이콘
일반인이 상대라면 조현우 선수가 역으로 압박 줄수 있어서 넣기 힘들것 같습니다.
조현우 정도 되는 기럭지의 골키퍼가 앞으로 전진하며 심리전 걸면 일반인은 어버버하다가 제대로 차지도 못할 겁니다.
18/08/31 07:23
수정 아이콘
무도 전성기였으면 해봤으면 좋을 만한 주제네요 크크
18/08/31 07:24
수정 아이콘
아예 슛 연습이 하나도 안된 성인 남자라면
인사이드 아웃사이드는 똥뽈로 나갈게 뻔하고
일단 코뿔로 구석을 향해 있는힘껏 차보고
정확도 따위는 개나 줘버리고 야신의 사각지대로 가기를 기도하면
10번중에 한번은 들어가지 않을까요?
카와이
18/08/31 08:10
수정 아이콘
일반인이 조기축구 수준이라도 꾸준히 해온 사람이라면 한번은 들어갈꺼 같은데 완전 일반인이면 무리 아닐까요? 페널티킥을 그냥 골 안에 넣는 것도 외곽으로 쏘면 쉬운게 아닐텐데요.
싸구려신사
18/08/31 08:24
수정 아이콘
예전 고딩때 반대항 축구전에서 축구좀 한다던 애들이 있는 반끼리 붙을 때 승부차기까지 갔었는데.. 그들끼리차도 5~60퍼 정도 뿐이 안되더군요.
걍 일반인이라면 못넣을듯합니다.
교자만두
18/08/31 08:36
수정 아이콘
1. 구석으로 넣을줄 모름->무조건 가운데 -> 막힘
2. 구석으로 시도 -> 파워 약함 느림 -> 막힘
3. 에라모르겟다 너의 특기는 강슛입니다 -> 골대 넘어감
ioi(아이오아이)
18/08/31 09:18
수정 아이콘
조현우가 진짜 패널티킥 상대하는 것처럼 팔 붕붕 휘두르면서 앞으로 살짝살짝 나오면서 압박 주면 맨 정신으로 공 차기 쉽지 않을껄요?
파핀폐인
18/08/31 09:23
수정 아이콘
10번은 다 막힐 수 있어도
100번중 한 번은 들어가지 않을까요?
위원장
18/08/31 09:28
수정 아이콘
100번이면 한번은 들어갈거 같은데
YORDLE ONE
18/08/31 10:14
수정 아이콘
그런가요? 생각보다 잘 먹힐거같은데
박현준
18/08/31 10:33
수정 아이콘
덧글 흐름이 쟁점에서 조금씩 벗어나는거 같으데. 이건 일반인이 잘 찰수 있냐가 핵심이 아니라. 일반인이 자기 수준에서 잘 찼다고 가정 (속도와 방향이 일반인 수준에서 뽀록으로 나올 수 있는 수준) 했을 때 골키퍼가 막을 수 있느냐 하는것이 논쟁의 핵심이었습니다!
18/08/31 13:06
수정 아이콘
프로가 페널티킥 하는걸 떠올려보면 아시겠지만, 프로도 페널티킥을 전력으로 때리지는 않습니다. 진짜 전력으로 차면 방향을 읽히기가 쉬우니 페인트 모션을 넣어야 하는데, 그런 모션이 들어가면 애초에 전력으로 차기가 어렵죠. 페널티킥에서 최우선 요소은 속도가 아니라 정확도이니 어쩔 수 없이 파워를 희생하는 면도 있고요. 그래서 비교적 강하게 때린 페널티킥이라 하더라도, 가끔씩 보이는 비정상적으로 빠른 중거리 샷이나 프리킥의 속도에 비하면 현저히 느립니다. 보통의 페널티킥이라면 전력과는 완전히 동떨어진 것이 많으며, 심지어 일반인 샷보다도 현저히 느린 속도로 차는 것도 은근히 있습니다.

프로의 페널티킥 (비교적 강하게 찬 것이 많은 영상)
https://youtu.be/lJ1nxUr9Vvw

프로의 페널티킥 (대놓고 느리게 찬 영상)
https://youtu.be/QKupgIXur6Q

일반인의 속도는 그냥 딱 봐도 공이 굉장히 빠르다 싶은 사람이면 25-30m/s쯤이고, 그보다 약간 느린 20-25m/s 속도는 훨씬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축구팀 없는 고등학교에서 1등권 학생). 물론 이건 프로의 전력샷보다는 많이 느리고, 아주 강하게 찬 프로의 페널티킥보다도 꽤 느리기는 합니다만, 그래도 보통의 프로 페널티킥과는 별 차이가 없는 속도이고 살살 찬 페널티킥보다는 확실히 빠른 속도입니다. 즉 이런 속도의 공이 정확하게 구석으로 들어오면 프로의 평범한 페널티킥보다 적어도 공의 궤적/속도 자체는 더 까다로운 것이고, 일단 궤적을 보고 추후 반응하는 방식으로는 절대 못 막는 속도입니다.

페널티킥 막기는 -완전 느린 공이나 얻어걸리기를 제외하면- 어디까지나 최소한의 사전방향예측이 맞았을 때에나 가능한 것인데(페널티킥 슬로모션을 보시면 발이 공에 접촉하기 전에 키퍼가 먼저 움직이기 시작합니다), 일반인이 전력으로 슈팅을 하면 자기가 생각한 방향과 실제 공의 궤적 사이에 별 관계가 없는 수준이고(즉 심리예측을 통한 궤적예측 불가), 슈팅 모션과 히팅포인트도 찰 때마다 달라지는 수준이니(즉 모션을 보고 궤적예측 불가), 궤적을 미리 예측할 방법은 없고 그냥 랜덤으로 맞춰야 합니다. 경우의 수가 좌중우 3가지이고, 좌중우 사전예측이 맞으면 무조건 막을 수 있다 하더라도 전체의 1/3만 막을 수 있죠. 사전예측을 9방향으로 맞춰야만 막을 수 있다면 1/9만 막을테고요.

근데 일반인은 파워를 최우선으로 하여 슈팅을 하면 애초에 구석으로 정확하게 가는 공이 거의 없으니, 그렇게 제대로 찼을 때만을 따지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나 싶습니다. 일반인이라면 전력으로 열번 차서 그 중 한번을 골대 구석에 못 보내는 사람이 부지기수일 것이고, 키퍼가 아무짓도 안해도 (아무짓도 안할 예정이라는 것을 사전부터 알고 있었던 경우가 아닌 이상) 알아서 골대 밖으로 날려버리는 공이 한두개가 아닐테니까요. 물론 높은 속도가 나오면서 궤적이 어느 정도 조정되는 일반인도 있고(축구 말고 페널티킥 혹은 슈팅에만 관심이 있어서 맨날 그것만 연습하는 사람도 있으므로), 이런 사람 중에는 프로보다도 더 강한 페널티킥을 차는 사람도 있기야 합니다만(골프 장타대회에서 500+야드 치는 인간이 있는 것처럼), 이런 사람은 전혀 일반적인 수준의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일반인으로 포섭시키는 것이 부당하다고 봅니다(물론 프로/일반인이라는 이분법 하에선 일반인이지만).
나막신
18/08/31 13:24
수정 아이콘
그냥 곡괭이로 무조건 쎄게만 차도 100개중 1개는 넣겠죠..
공업저글링
18/08/31 14: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킥 어느정도 되는 일반인들은 10개중에 2-3개는 넣을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거리도 가까운편이고..
흔히 말하는 꼬발이라고.. 크크. 냅다 후려차면 코스 알아도 막기 힘들어요.

아예 축알못에다 공도 원하는대로 못맞추는 분들은 10개 다 막힐수도 있을거 같구요.

저만해도 그냥 일반적인 조기축구하고 축구 좋아하는 사람인데,
고등학교때 까지 키퍼 했던 친구랑 10개중에 절반 내기 하고 찼는데 7개 넣었거든요.

덧 붙이자면 인사이드로 양쪽 사이드 겨냥하면서 깔아서 세개 차면 생각보다 어려워합니다.
오히려 세게찬다고 발등이나 뭐나 공 뛰우면 무조건 막히기 쉽고요.

우스갯소리로 진짜 근 10년동안 조기축구에서 PK나서 오른쪽 사이드 구석으로 깔아서 계속 차고 있는데,
한번도 막힌적이 없어요....
18/08/31 15:16
수정 아이콘
엄대엄 일줄 알고 들어왔는데 댓글반응보니 제가 틀렸네요..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4229 [질문] 김포에서 서울로 자차로 출퇴근 많이 막힐까요? [9] 개미2422 18/08/31 2422
124228 [질문] 충전 연결하면 화면 안켜지게 할수 없을까요.... 갤럭시 입니다~ Secundo2791 18/08/31 2791
124227 [질문] 진격의 거인 어떤가요? [9] 설이2477 18/08/31 2477
124226 [질문] 어제 ksl 이제동 vs 정윤종 스포없이 다시 보는 법 있을까요? [4] 기억의습작2149 18/08/31 2149
124225 [질문] 미니멀한 통기타 추천부탁드립니다. [2] Syncnavy1605 18/08/31 1605
124224 [질문] 이 ssd 어떤가요? [18] 능숙한문제해결사1865 18/08/31 1865
124223 [질문] 아이들 게임기 구매 질문 [8] cloudy2172 18/08/31 2172
124222 [질문] 조립PC용 부품 구매 질문 [3] 걱정말아요 그대1702 18/08/31 1702
124221 [질문] 아이폰 해외구매 모델 관련 질문 [6] Dwyane3684 18/08/31 3684
124220 [질문] 동대문엽기떡볶이 런던 배달 가능할까요? [11] 한량기질5735 18/08/31 5735
124219 [질문] 롤 1:1 을 꼭 이겨야 합니다 질문있습니다 [30] 승뢰19020 18/08/31 19020
124218 [질문] 핸드폰을 바꿔야하는데 최신기종제외하고 어떤 거로 바꾸는게 좋을까요? [9] 세오유즈키2320 18/08/31 2320
124215 [질문] [엑셀] 불특정 다수가 셀 안에 그림 넣는 방법 있을까요? [2] 김철(33세,무적)2398 18/08/31 2398
124213 [질문] pc바탕화면에 위젯을 직접 만들수는 없을까요? [6] 도토리해물전2002 18/08/31 2002
124212 [질문] 윈도우xp에서 윈도우7으로 데이터 살린채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한가요? [1] 삭제됨1235 18/08/31 1235
124211 [질문] 윈도우 설정 하나 질문드립니다. 달팽이1440 18/08/31 1440
124210 [질문] 시험 전날에 컨디션 조절 어떻게들하시나요?? [24] 光海3639 18/08/31 3639
124209 [질문] 윈도우 디펜더만 사용해도 상관없는거죠?? [9] I.O.I3097 18/08/31 3097
124208 [질문] 일반인이 프로 골키퍼에게 패널티 킥 성공률? [51] 박현준5369 18/08/31 5369
124207 [질문] sd카드 리더기 추천~ [1] 까우까우으르렁2129 18/08/30 2129
124206 [질문] 4k tv 구입하려는데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5] 삭제됨1666 18/08/30 1666
124205 [질문] 이런 경우 자동차 보험은 어떻게 드는 게 좋을까요? [1] Philologist1717 18/08/30 1717
124204 [질문] 헬로모바일 유지기간 관련 질문입니다. [1] JinX1848 18/08/30 184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