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8/25 12:55
약간의 지식만 있으면 손 쉽게 템플릿화 된 디자인 레이아웃을 바탕으로 만들 수 있는 프레임워크가 있습니다..흐흐
그 약간의 지식은 사이트가 돌아가는데에 있어서 관여있는 DB서버, FTP, 도메인, 호스팅 등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간단한 개념. 그리고 HTML,CSS. JAVASCRIPT가 어떻게 생긴 것이고 어떤 역할 하는지 정도에 대한 간단한 개념정도만 알면 될 것 같네요
18/08/24 17:24
요즘은 조금만 연습하면 쓸만한 앱이나 홈페이지 정도는 만드는것 같아요.
제가 국비교육으로 6개월 짜리 2개 과정을 해봤는데 전공자도 아니어도 이런 교육만으로 취직시키는게 요즘은 워낙 프레임워크가 잘되어있어서 간단한것들은 그냥 쓰면 되기 때문에 뭐 앱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이라던지 쇼핑몰 개발같은건 취미로도 충분히 만들지 않을까 싶내요.
18/08/24 18:19
Linux는 Linus Torvalds의 학창시절 취미/학업활동으로 시작된 OS입니다만.. Linux 외에도 apache 등 수많은 세계 제패급 오픈소스 프로젝트들이 특정인의 대학-대학원 시절 취미활동 내지 학업활동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18/08/24 21:46
취미의 영역을 어디까지로 볼까에 달려있는데,
사실 현존 세계 최대의 OSS라고 불리우는 리눅스도 본업을 따로둔 토발즈 씨가 취미로 만들고 업그레이드하고 있는 것입니다.
18/08/24 21:58
생각보다 열린 분야인가 봐요,
초등학교 때 덧셈뺄셈만 하다 말아서 가시적인 성과는 프로나 가능한지 알았거든요. 게임부터 자주 쓰이는 생활 앱이나, 리눅스까지 다양하네요, 가장 체험(?)하기 쉬운 게임 먼저 테스트 해보겠습니다 흐흐 다들 답변 감사합니다.
18/08/25 02:09
취미로 시작해서 성공하는 개발은 지식보다는 아이디어와 타이밍이라 생각합니다. 어디까지 가능한가는 결국 얼마나 시간을 투자하느냐이고, 일단 성공하는 길로 들어서기 시작하면 본인이 전문개발자가 되거나 전문가를 고용해야 그 프로그램이 쭉 좋은 길로 가는 것 같아요.
18/08/28 15:32
언더테일 같은 게임도 개발자가 아닌데 공부하면서 만든 게임이죠. 스타듀밸리도 혼자서 그래픽과 사운드, 프로그래밍까지 다 작업한 게임이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