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8/24 08:42:07
Name purplejay
Subject [질문] 이번 태풍이 역대급 설레발이 된 이유가 무엇일까요? (수정됨)
20호 태풍 때문에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을 받지 못해 속도가 느려지고 동선이 꺾인 것은 이해가 되는데, 애초 언론이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공포분위기를 조성하고 대통령은 벙커에 들어가 상황을 총괄하는 상황에 비해 태풍이 맞나 싶을 정도로 너무 고요하게 지나가는 것 같습니다. 태풍이 이렇게 약해질 것을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것인지, 원래 예상이 안되는 것인지 궁금해서 혹 아시는 분들 있으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김티모
18/08/24 08:46
수정 아이콘
열돔 때문에 태풍이 제주도에서 힘을 다 뺀게 제일 크고요. 설레발이 아니고 대비를 잘 한거죠. 제주도는 대비를 했는데도 작살이 났습니다.
purplejay
18/08/24 08:59
수정 아이콘
제가있는곳은 설레발이되어서...제주도는 당연히 대비를 잘 했다고 봐야겠죠. 답변 감사드립니다.
완성형폭풍저그
18/08/24 08:46
수정 아이콘
예전에 창문에 테이프를 붙여라 신문지를 붙여라 하는 말이 유행이 될만큼 제주지역에 큰 피해를 입혔던 태풍이 서울와서는 미풍이 된 케이스도 있죠.
하지만 재난관련해서는 언제나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며 준비해야하니 맘편히 수도권 오면 늘 그렇듯 약해질테니 걱정말고 생업에 전념해달라. 라고 말할 수는 없을듯해요.
벙커에 들어가 상황파악하고 지시하는 건 좋게보면 꼼꼼하다고 볼 수 있고, 나쁘게 보면 보여주기식이라고 볼 수도 있겠죠.
개인적으로는 그럴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지만....
purplejay
18/08/24 09:00
수정 아이콘
벙커에 큰 의미를 두진 않았...ㅜㅜ 제가 있는쪽에서 너무 설레발을 쳐서 제가 피해 본 부분이 많아서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류지나
18/08/24 08:49
수정 아이콘
과소대비를 해서 재난에 손도 못 쓰고 털리는 것보다는 과잉대비를 했는데 생각보다 별거 없는 상황이 훨씬 나은거 같습니다.
오토나시 쿄코
18/08/24 10:40
수정 아이콘
+1
고란고란
18/08/24 08:50
수정 아이콘
태풍이라는 게 전형적인 것도 많지만 전혀 예측이 안되는 것들도 많은 것 같습니다. 이번 태풍이 확실히 위험했던 건 맞는 것 같아요. 제주도에 피해준 거나 강수량만 봐도요. 근데 20호 태풍이 가까이 있어서 영향을 받은 게 컸던 거죠. 6년만에 한반도를 직격하는 태풍이기도 했고.
18/08/24 08:53
수정 아이콘
어제 새벽부터 강변 주차장 차 전부 빼고 못들어가게 통제하더군요. 큰비가 내리지 않고 지금은 해가 떴네요.
결과론적으로는 행정낭비같은데 잘 모르겠습니다. 대비가 철저하면 좋긴한데 그걸 판단하는 지자체쪽은 늘 최악을 염두하니까
만일 반복되면 좋지는 않을것 같습니다.
purplejay
18/08/24 09:01
수정 아이콘
최악을 대비하는게 맞긴 맞지만 반복되면 그거대로 문제다.. 동감합니다.
ChojjAReacH
18/08/24 10:31
수정 아이콘
그러다가 그 최악에 버금가는 상황이 닥쳐서 피해입으면 어쩌려고 그러십니까.
간바레
18/08/24 13:37
수정 아이콘
그때는 또 대비 안했다며 비난!

실무자도 계획자도 아니면서 비난하기가 제일 쉽거든요 결과보고 이야기 하면 되니까
달달한고양이
18/08/24 08:54
수정 아이콘
한반도를 관통하는 태풍은 정말 오랫만이었고 바로 옆동네 일본은 올해도 태풍으로 엄청난 피해가 늘 있어왔기 때문에 적당히 수도권 근처로 지나가긴 하지만 뭐 큰일 없을 듯 이렇게 예상할 수는 없었을 것 같아요. 몇년전에도 수도권으로 온다고 그래서 창문에 테이프 다 붙이라고 언론부터 뭐 난리였는데 지나갔는지도 몰라서 당황했던 기억이...그렇다고 대강 준비하고 있다가 큰 피해나서 난리 나는 것보다는 과하다 싶게 대비했다가 뭐임 이게 다임 하고 까이는 게 백 배 나을지도. 그리고 설레발이라고 하고 넘기기에는 제주도는 피해가 아주 컸습니다.
우리나라 일본 미국 등등 여러 나라에서 경로와 규모 예측을 거의 실시간으로 하는데도 이동 속도와 위치조차 계속 바뀌는 걸 보면 예측도 쉬운 게 아니겠죠.
스타카토
18/08/24 08:56
수정 아이콘
재난에 대비함에 과잉대응으로 인한 설레발은 무죄라고 생각합니다.
말그대로 결과론적인것이죠~
특히나 이번 태풍은 한치앞도 예측할수 없었기에...
최선을 기대하되 최악을 대비하는것은 당연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렇게 과잉대응이다, 설레발이다 하는것은 오히려 반대로 그만큼 준비를 잘한 반증이었다고 생각합니다.
Cazellnu
18/08/24 09:15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과잉대응이 되는게 차라리낫습니다. 매미같은때를 생각해봐야죠
18/08/24 09:02
수정 아이콘
태풍 대비에 일이 많아졌지만 전혀 불만없네요.
무탈하게 지나가서 감사할 뿐입니다.
purplejay
18/08/24 09:04
수정 아이콘
많은 분들 답변 감사드립니다. 대비라는 것도 정도가 있는 법인데 제가 있는 곳에서의 너무나도 지나친 과잉 대응으로 피해 본 사람들이 많아서 드려본 질문이었습니다. 아무튼 큰 피해 없이 넘어가게 되어 다행입니다.
싸구려신사
18/08/24 17:42
수정 아이콘
어느지역에서 어느정도의 과잉대응으로 얼마나 피해를 본 것일까요? 조심성 과하다고 피해볼수도 있다는게 선뜻 이해가 잘 되지않아 질문드려봅니다.
18/08/24 09:27
수정 아이콘
근데 자연재해는 과도하게 대비해도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왕왕있어서 뭐라고 할수가 없습니다.
준비가 꽤 잘한다고 하는데도 제주도 타격장난 없거든요.
RedDragon
18/08/24 09:34
수정 아이콘
1) 과잉대응 했을때 생기는 피해
2) 무대응 했을때 생기는 피해
1) 은 기껏해야 약간의 행정적 낭비, 불편함 정도라면 2)은 재난 급입니다. 대비해서 나쁠 것 전혀 없죠.
타카이
18/08/24 09:49
수정 아이콘
국가적 재난으로 NSC 소집되고 그에 대통령이 자리를 같이 한거라 문제가 있는 건지는 모르겠네요.
NSC가 위기시에 소집되는 건 당연한거고 그 위치가 청와대 회의실(지하 벙커)인건데...
재즈드러머
18/08/24 09:51
수정 아이콘
일본은 태풍이 많은지라 매년 설래발이 많습니다.정확한 예측이 어렵거든요. 정확한 예보를 위해 위성을 엄청 띄워놨음에도요. 그리고 한번 제대로 오면 사상자가 엄청납니다. 조금이라도 가능성이 있으면 설래발치는게 맞다고 봅니다. 그마저 안치면 그 한번 제대로 들어왔을때 제대로 얻어터지는거죠.
18/08/24 10:03
수정 아이콘
일단 제주도 피해가 꽤나 심했던 데다,
경로변경도 제주도 피해 이후에나 이뤄진 거라서, 예측엔 어려움이 있었다 봐야겠죠.
18/08/24 10:04
수정 아이콘
열돔을 물리치는 효과는 가져온 듯해요.
18/08/24 10:04
수정 아이콘
우리 기상청만 틀린것도 아니고 일본이랑 다 틀렸던건데 뭐 이럴수도 있구나 해야죠 뭐.
ioi(아이오아이)
18/08/24 10:05
수정 아이콘
설레발이라고 표현하기엔 제주도 박살 나지 않았나요? 우리나라급 영토에서 제주도 정도 박살나면 설레발이라고 말하기엔 많이 터진 거 아닌가요?

뭐 물론 죽는 줄 알았는 데 알고보니 병원에 한 5달 입원하면 되는 격이긴 한데 보통 병원에 5달 입원하면 집안 분위기 장난 아닐껄요?
수타군
18/08/24 10:12
수정 아이콘
대비를 설레발이라고 표현하다니...
머라 드릴 답이 없네요.
정지연
18/08/24 10:15
수정 아이콘
태풍때문에 사람도 죽었고 재산피해도 많이 났는데 단지 수도권에 별 영향이 없었다고 설레발이라느니 과잉 대응이라느니 그것 때문에 손해가 났다느니...
김지원
18/08/24 10:18
수정 아이콘
아래지방 사람들은 지금 피눈물 흘리고 있습니다.
덴드로븀
18/08/24 10:23
수정 아이콘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9512402&memberNo=36765180&vType=VERTICAL
미국은 허리케인 온다고 560만명 대피시켰습니다. 이정도는 해야 설레발이려나요?
내가 좀 불편해지고 피해안입고 별볼일없이 지나갔다고 재난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자연현상에 대해 대비철저하라는걸 설레발이라고 하면 참 할말이 없어지죠.
18/08/24 10:26
수정 아이콘
큰 피해없이 지나간게 다행인거라 과잉대응이라고는 하지만 그 대응을 하지 않았고 실제 예측대로 왔을때 피해를 고려한다면 불편이 나왔다고 해도 이정도면 다행이라고 봅니다.

설레발이 아니어서 TV화면 한구석에 모금 전화번호 뜨고 그래야 했을만한 일이었어야 해결이 되는건 아니잖아요.
사악군
18/08/24 10:26
수정 아이콘
기상예보 실패지만 이런 건 원래 예측이 어려운거라 오차범위 안이죠.
주니엘
18/08/24 10:32
수정 아이콘
예. 수도권 사람만 사람이고 지방 사람은 사람도 아니죠.
그리고또한
18/08/24 10:37
수정 아이콘
농업 어업하시는 분들은 이런말 하시는 분들 보면 역정내실듯 하네요 흐
힘든일상
18/08/24 10:38
수정 아이콘
안전쪽이 이래서 어렵죠 무사히 지나가면 설레발이니 뭐니 아주 똥물을 뒤집어 씌워버리니..
확률이 얼마던 안걸리면 된다는 말은 예능에서나 할 말이지 이럴 때 쓸 말은 아니죠.
18/08/24 10:42
수정 아이콘
한반도를 관통하는 태풍은 정말 오랜만이지 않나요?

제주도는 작살났지만
킹-갓 열돔때문에 내륙지방은 피해가 덜한 상태고..

설레발이 좀 심한것 같았지만
이해는 가는 정도입니다.
멍청이
18/08/24 10:56
수정 아이콘
태풍이 한반도에 정통으로 온 것 자체가 오랜만이니까요.
18/08/24 11:02
수정 아이콘
대비해서 나쁠 것 없죠 뭐.

대비한답시고 정부 및 지자체가 이것저것 통제하고 귀찮게 해서 약간의 불편함이 생긴들, 혹시라도 태풍이 직격하여 초래할 막대한 피해에 비하면 조족지혈이니까요. 충분히 감수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괜히 대비안했다 매미꼴 나기라도 하면 지금 태풍대비
설레발 어쩌구 하는것과는 차원이 다른 수준으로 극딜당할게 뻔해서, 정부로서는 어쩔 수 없이 최악을 가정하고 대비를 하죠.
오토나시 쿄코
18/08/24 11:1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본문에 적힌 공포 분위기.
애초에 언론이 공포 분위기를 조성했나부터 따져야 할 것 같네요.
전 전혀 그렇게 느끼지 않았는데 공포 분위기로 생각하신 근거가 뭔지 궁금합니다.
위원장
18/08/24 11:20
수정 아이콘
설레발이라고 생각하는 사람 별로 없습니다
18/08/24 11:25
수정 아이콘
안.전.좋.아
정공법
18/08/24 12:12
수정 아이콘
당장 태풍으로인해 사람이 죽었는데요...............
Arya Stark
18/08/24 12:16
수정 아이콘
별일은 커녕 비도 너무 조금와서 벙찌기는 하는데 다행이죠. 별일 안생겨서
로제타
18/08/24 13:05
수정 아이콘
그냥 혼자 속으로 생각하시는게 나을뻔했네요.
자연재해에 설레발이 어딨습니까..
캡틴아메리카
18/08/24 13:06
수정 아이콘
전혀 과잉이나 지나친 대비 아닙니다. 마땅히 해야 할 대비죠. 애초에 설레발도 아니고요.
meramipop
18/08/24 13:24
수정 아이콘
신상 노출의 염려가 있어서 밝히지 않으시는 거겠지만
너무나도 지나친 과잉 대비가 어떤 것이며
그것때문에 구체적으로 어떤 피해를 입으셨는지 궁금하긴 하네요
간바레
18/08/24 13:38
수정 아이콘
나만 아니면 돼의 태풍버전인가요?
태풍피해 입으신 분들이 이 글을 보면 기분이 어떨까.. 참
주니뭐해
18/08/24 14:12
수정 아이콘
대비를 설레발이라고 하는 사람은 처음보네요
Liberalist
18/08/24 14:35
수정 아이콘
제주도 피해를 생각하면 설레발이라는 말씀을 함부로 하시면 안 되죠.
인생국수
18/08/24 15:31
수정 아이콘
제주도는 난리 났었습니다.
30세남
18/08/24 15:58
수정 아이콘
태풍이 말그대로 내륙관통코스였는데 이정도의 분위기도 조성안해놓으면 예보대로왔을시 님이 책임질수있었던 부분인가요?
상륙하면서 세력이 약해진걸 감사하게 생각해야지 이걸 설레발에 넣을줄을 생각도못했네요. 당장 제주도가 작살나고 사망자가생겼는데 설레발이라...
남해안만 훑고지나가도 제대로 작살났었던 매미때생각해보시죠.
18/08/24 17:16
수정 아이콘
설레발이라기보단
철저히 대비하겠다는 목표는 좋았으나
대응이 변동되는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것 같기는 합니다
착한아이
18/08/25 15:43
수정 아이콘
수도권만 사람사는거 아니잖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3927 [질문] 프로듀스48 한연생 일연생 비율관련 [8] 루윈1884 18/08/24 1884
123926 [질문] 영화 신세계 및 경찰에 관한 몇가지 질문입니다. [3] 불굴의토스2509 18/08/24 2509
123925 [질문] 캐드 글꼴 질문 [2] 조폭블루2380 18/08/24 2380
123924 [질문] 네이버에서 지메일로 보낸 메일을 발송 취소 가능할까요? [7] 어빈4645 18/08/24 4645
123923 [질문] FM 2018 세일 아직 안하죠? [6] LG의심장박용택2250 18/08/24 2250
123922 [질문] 우리나라에 맥스98 신어볼수 있는 나이키 매장 있나요?? [1] 스윗앤솔티1784 18/08/24 1784
123921 [질문] 이번 태풍이 역대급 설레발이 된 이유가 무엇일까요? [52] purplejay5524 18/08/24 5524
123920 [질문] C# 도서 및 강의 추천부탁드립니다. [3] 고전파5016 18/08/24 5016
123919 [질문] 동영상 재생중 검은 화면이 나오면 화면이 뜨지 않습니다... 도와주세요.. [1] 울랄라세션2201 18/08/24 2201
123917 [질문] 러브코메디 애니 추천 부탁드립니다 [17] 연어무한리필2835 18/08/24 2835
123916 [질문] 코레일 정기승차권 이용해보신분 계시나요? [2] 분당선2240 18/08/23 2240
123915 [질문] 김민재 선수 8강은 나오죠? [1] 레가르2682 18/08/23 2682
123914 [질문] 안구건조증 관련 [3] 아름답고큽니다1769 18/08/23 1769
123913 [질문] 2000년대 초반 고전게임 찾습니다. (파이프에 매달려 이동하는 계란) [5] jjohny=쿠마6845 18/08/23 6845
123912 [질문] 축구할때 머리 터치 [4] 파이리2214 18/08/23 2214
123911 [질문] 30대 직장인분들 부모님께 용돈 드리시나요? [38] 메티스8069 18/08/23 8069
123910 [질문] 팟플레이어 방송이 라디오모드(?)에서 어떻게 벗어나는질 모르겠습니다. [4] 별이지는언덕5378 18/08/23 5378
123909 [질문] 선글라스 추천 받아여! [1] 이명헌1445 18/08/23 1445
123908 [질문] 여러분은 남자 혹은 여자가 깰 때가 언제이신가요? [29] k`4628 18/08/23 4628
123907 [질문] DIY 공구들은 어떤 브랜드로 구입하는 게 좋은지요...? [11] nexon2308 18/08/23 2308
123906 [질문] 1월 넷째주 비행기 티켓 특가는 언제 뜨나요?_? [3] 부처1847 18/08/23 1847
123905 [질문] 법 조문삭제에 대하 궁금합니다 [3] 노예1606 18/08/23 1606
123904 [질문] (안드로이드) 재난 문자 안오게 못하나요? [3] 펩시콜라2441 18/08/23 244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