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8/23 23:22
평소에는 안드리고, 명절날 생일에 용돈 드립니다. 집의 세간을 제가 바꾸고 있기는 합니다 (올해 티비 냉장고 바꾸느라 얼추 400 쯤 썼네요)
18/08/23 23:48
대체로 부모님이 부유하면 결혼 후에도 용돈을 받고, 자식이 부유하면 결혼 후에 용돈을 드리고, 비슷하면 안드리는 편인 것 같더군요.
누나네는 시댁에선 용돈을 받고 처가엔 용돈 안드리고, 저희 집은 양가에 30만원씩 드립니다.
18/08/24 01:21
유부이고 한동안 양가 부모님께 30씩 드리다가 집사고나서는 쪼들려서 못드리고 있네요 ㅠ 그래도 생신 두 명절마다는 꼭 드립니다.
18/08/24 09:34
집바집...
보통 부모님이 더 잘 사시면 오히려 받을때가 많습니다 잘사는 집 자식이 더 잘살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땐 용돈 드리고 부모님은 그거 모아서 다시 돌려주시더라구요
18/08/24 10:19
40대인데 저포함 주변을 보면
부모님의 노후준비가 중요한거 같습니다. 안되어 있다면 정기적으로 드리는거 같고 어느정도 준비되어있다면 비정기적으로 드리는거 같아요.
18/08/24 14:28
정기적으로는 안 드리고 생신,명절,행사 20~30 정도 등에 드립니다 .
그 외 용돈은 아니지만 차 주유비, 차 세금,주정차위반 딱지 ㅠㅠ 냅니다 크크
18/08/25 15:34
기혼 맞벌이, 양가 30만원씩 매달 드리고 생신, 어버이날, 명절 등이면 추가로 30씩 또 드립니다. 신랑은 결혼 전엔 안드렸었고 전 결혼 전에도 매달 드렸었어요. 십일조 낸다(?)는 정도의 인식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