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8/21 16:23:10
Name 1차전탈락 ;;
Subject [질문] 토탈워 롬투 질문입니다
토탈워 삼국지가 내년에 나온다는이야기를 듣고 미리 좀 해보려고 스팀질렀습니다

관련카페도 잇어서 글좀 읽고 해봤는데 초반에 어케해야할지 잘 모르겟더군요 ㅠㅠ

초반에 뭐해야 할지 간략하게 설명해주실분 계신가요? 그냥 하긴 하는 중인데 이게 맞나 싶어서요

문명 삼국지 에펨정도 해봐서 거기에다가 비유하면

예를들면 에펨 시작하면 코치진 개편 스카우터로 영입리스트 설정하고 시작하고 영입 하고 전략 훈련짜고 진행

문명같은 경우는 초반에 과학 설정 뭐 체제설정 농부같은건 일시키고 확장할지 침략할지 결정

삼국지같은거는 뭐 없네요 충성도 다 올리고 내정 군사훈련정도 하고 인재등용해서 침략

이런식으로 극초반 할거하고 방향같은거 알려주실분 계신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류지나
18/08/21 16:39
수정 아이콘
거의 모든 토탈워 시리즈에 통용되는 보편적 이야기를 말씀해 드리자면

[1] 군사 지역 / 내정 지역 구분하기
토탈워라는 게임은 싱글 게임이고 (멀티가 있긴 하지만) 그 말은 상대가 AI라는 거지요. AI는 내정에서 여러가지 보너스를 받기 때문에 인간보다 훨씬 군단의 숫자나 규모가 큽니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은 우월한 컨트롤로 잡아먹거나, 아예 병력의 질적 고급화를 추구해야 되는데요.

해보시면 아시겠지만 병력 질적 향상은 쉽게 되는게 아닙니다. 군사 건물 티어를 높여야 되는데, 건설 비용도 많고 건설 턴수도 길고 연구를 끝마치지 않으면 해금이 안되는 등 많은 장애물이 있습니다. 거기에 고급 병종은 유지비가 비싸기도 합니다.

따라서 엄선된 특정 지역에 한해 병력 생산 기지로 지정해서 군사 건물을 올리고, 타 지역은 내정 위주의 건물을 지어서 경제력을 펌핑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2] 외교와 정치

돈 벌기 위해서는 무역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친한 세력이 많으면 좋겠죠.
그러나 너무 가까운 세력과 친하게 지내면 내가 침공할 지역이 없습니다. 따라서 원교근공의 원칙에 따라 먼 세력과 친하고 가까운 세력을 공격하는게 효과적입니다.

통상적으로 이 게임은 내정 수입은 나라가 어느 정도 크기 전까지는 쥐꼬리만하고 무역 수입의 영향이 큰 편이므로 외교 활동을 잘 해야되는데요.
역사적인 라이벌이나 천적 관계는 애당초 외교가 잘 안되는 등 역사적 사실도 반영되어 있음을 주목하시는게 좋습니다.

정치는 시리즈마다 다양하지만 롬2에서 기본적인 정치는 결국 내전입니다. 삼국지처럼 토탈워도 결국 내 세력이 압도적으로 커지면 뭘 해도 쉽기 때문에 후반부의 지루함을 없애기 위한 장치인데요. 이것은 경험해보면서 터득하는게 제일 좋습니다.
류지나
18/08/21 16:44
수정 아이콘
초반에는 주어진 기본 군대 + 기본 병력 보충 생산으로 1개 군단을 유지하여 얘네들만으로 공격과 수비를 감행하며 유지비를 아끼는게 좋습니다. 후반을 위해서 건물을 올리려면 초반에 다수 군단이나 고급 병종은 다소 사치거든요. 빠듯하게 초반을 버티면서 도시 성장이 어느 정도 끝났을 때 군단의 숫자를 늘리고 병종의 질적 향상을 노려가며 대제국 건설을 하시는게 좋습니다.
FRONTIER SETTER
18/08/21 20:42
수정 아이콘
식량 건물을 잊지 마세요... 돈이 고파도 더 중요한 것은 밥입니다... 어항을 지으심시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3817 [질문] 노인들이 운동하면 코인 같은 거 나눠주는 일본시 이름이 어떻게 되나요? [2] 송하나2635 18/08/21 2635
123816 [질문] 방탈출류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귀연태연3723 18/08/21 3723
123815 [질문] 창렬, 혜자 질문~~ [12] 표절작곡가2413 18/08/21 2413
123814 [질문] 연봉을 이야기할때 상여금을 포함하나요?? [6] 모어모어12254 18/08/21 12254
123813 [질문] 만화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42] 제드5478 18/08/21 5478
123812 [질문] 간헐적단식에 제로콜라 [6] ThisisZero11303 18/08/21 11303
123811 [질문] 토탈워 롬투 질문입니다 [3] 1차전탈락 ;;1831 18/08/21 1831
123810 [질문] 새폰에 데이터옮기기 질문드립니다 [1] 포프의대모험2614 18/08/21 2614
123809 [질문] 몸살 기운이랑 편도가 이상하리만치 지속되고 있습니다. [3] 구경남2485 18/08/21 2485
123808 [질문] 교토 첫 여행일정 질문드려봅니다 [6] Fysta1926 18/08/21 1926
123807 [질문] 삿포로 맛집 부탁드려요 [20] 품의서작성중2185 18/08/21 2185
123806 [질문] 게임도중 피씨가 재시작 되는 증상에 대하여 질문 드립니다. [23] 천사2818 18/08/21 2818
123805 [질문] 어렸을적 보던 양장커버 동화책 질문 [8] Shalami2033 18/08/21 2033
123804 [질문] 재작년 토익책으로 이번주 토익준비해도 될까요? [2] 쪼꼬2386 18/08/21 2386
123803 [질문] [WOW] 와우 세계관에서 전사의 강함은 어느정도일까요? [10] Lighthouse4600 18/08/21 4600
123802 [질문] 제주도 여행추천바랍니다.. (면허가 없어요..흑) [8] jinoya22370 18/08/21 2370
123801 [질문] [라이프 스포] 주교수는 어떻게 될까요? [14] 다혈질2091 18/08/21 2091
123800 [질문] 컴퓨터 견적 이륙 요청합니다!! [11] under 782882 18/08/21 2882
123799 [질문] 강남역 술집 괜찮은곳 추천 부탁드립니다. [6] 수박이박수2131 18/08/21 2131
123798 [질문] 지인에게 중고차 인수 질문드립니다. [4] 야광별2709 18/08/21 2709
123797 [질문] ps vita 질문 있습니다. [15] 이야기상자2186 18/08/21 2186
123796 [질문] 디젤차 사는데, 거부감 있는 분들 많은가요? [21] LG의심장박용택3259 18/08/21 3259
123795 [질문] 더불어 민주당 전당대회를 가보고 싶습니다 [1] 싸이코인가벼1803 18/08/21 180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