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8/07 19:30
마지막 문단은 글로서는 이해되지 않지만 대충 무슨 말씀을 하고 싶으신지는 알겠습니다.
그림을 배우려는 사람들이 처음에 하는 실수중 하나가 드로잉 테크닉이나 공식으로 시작하고 또 거기에 집착한다는 점입니다. 드로잉 서적에서 인체를 도형으로 단순화하라! 하며 나와있는 예제를 따라 그려볼땐 참 쉽죠. 문제는 실제 사진을 참고해 그리거나 머리속으로 구상해서 그려보려하면 제대로 적용이 안되네? 하실겁니다. 그리고 그게 당연합니다. 종이위에 도형 뚝딱 그려서 입체적으로 보이는 무언가를 구축한다는 것 자체가 내공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인체 드로잉에서(사실 모든 드로잉에서)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하는것은 인체공식이나 해부학적 지식부터 쌓는게 아니라 실제 인간을 관찰하고 분석하며 그려보는 과정입니다. 그 과정을 통해 그리고자 하는 대상에 대한 직관적인 이미지를 쌓고 그 이미지를 더 굳건하게 굳히는데에 각종 공식이나 기법, 해부학 지식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책에 나와있는 공식을 그대로 외워서 적용하는게 아니라 내 방식에 맞춰서 흡수하는겁니다. 이걸 절대 역전시키지 마세요. 삐뚤빼뚤해도 좋고 엉성해도 좋으니 일단 실제 인체를 따라 그려보세요. 그리고 그리면서 생각을 멈추지 마세요. 대략적인 무게중심이 어디일까? 무게를 지탱하는 쪽의 골반이 위로 올라가는구나, 이 자세는 위태위태해보이는데 균형을 잡고 서있을 수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 등등을요.
18/08/08 00:55
proko.com 많은 도움 받은 사이트 인데 지금 접속이 안되네요 사라진건지 지금만 안돼는지는 모르겠어요
나중에 혹시 확인해 보세요 그리고 저 사이트 안되면 유튜브에 proko 체널 등록하시고 구독하세요 기초 부터 잘 나와 있어요 한글 자막으로 하면 어색하지만 알아 듣게 배울 수 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