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8/01 11:28
일반적인 가정용으론 최고사양급입니다.(게임까지)
램이 64기가면 i7보다 비쌀거같네요 크크 근데 램을 64기가나 넣는데 왜 i7이 아닌지는 의문이네요
18/08/01 11:58
메인보드만 저제품 말고 같은 Z370 칩셋 으로 된
ASUS GIGABITE MSI 등 브랜드제품으로 갈아타세요. 애즈락 보드는 싼맛에 사는 제품입니다~ 가성비 따질때요
18/08/01 20:12
아수스 상위 라인업이라면 모를까 이외는 거기서 거기입니다. 아니 오히려 애즈락이 이슈가 다른 회사에 비해 적었죠. 당장 z170 오버클럭 최고 명품보드는 애즈락 oc formula 입니다. 6700k 오버클럭 상위권 기록 전부 이 보드에서 나왔고 이후 asus 에서 오버클럭 특화 라인업인 apex 내놓으면서 밀려나긴 했는데 지금은 근소한 no 2 라고 봐도 되요. 기가바이트는 버전 바꾸면서 부품 창렬하는 버릇 아직 못 고쳤고 msi 는 전압강하 몇 세대간 해결 안 됬어요.
18/08/01 12:01
우선 PC 구매자가 오버클럭을 할 것인지 안 할 것인지가 중요하겠네요. 8600k를 고른 것으로 보아 오버클럭 안 할 목적인데 그냥 무난하게 가성비 좋아보이는 cpu로 고른 느낌이 들거든요. 1080ti라는 그래픽을 쓰고 오버를 하실거라면 8700k로 가는 것을 추천하고 그렇지 않으면 8700쓰셔도 됩니다.
파워는 850W는 되어야 안정적으로 돌아갑니다. 700W면 아슬아슬하고 연차가 1,2년 지나면 파워가 사망하면서 그래픽이나 보드, cpu 중 하나를 골라서 같이 가는 수가 있습니다. 램은 64g를 지금 굳이 쓰실 필요는 없어보이고 게임용이라도 32g면 현재로는 충분합니다. 메인보드는 Asrock 쓰실거면 히타치? 그 친구가 좋아보이고 아니라면 사실 B보드 중에 적당히 좋아보이는 거 쓰셔도 됩니다. 오버 안 하실거면 MSI보드들이 깔끔하고 무난합니다.마지막으로 쿨러가 안 보이네요? 오버를 안 하시더라도 적당한 쿨러 하나는 구입하시는 게 좋습니다. 개인적으로 공냉쿨러 쓰실거면 MUGEN쿨러 강추합니다. 마지막으로 사양은 아주 좋은 편입니다. 앞서 다른 분들이 말해주신 것 처럼 웬만한 게임에 옵션 타협이 필요없을 정도입니다. 사양 자체는 아주 좋은 사양의 컴입니다.
18/08/01 12:37
너무나 정성스러운 답변 감사드려요!!
오버는 조립 시 국민오버??를 부탁해서 한걸로 알고있습니다. 그 뚜따인가는 아니라고 알고있습니다.. 파워가 700도 모자라군요;; 보드는 위에 크림샴푸님께서 ASUS쪽 조언해주셔서 파워랑 보드는 조만간 바꿀것 같습니다. 그리고 쿨러는 제가 안적었는데 SCYTHE MUGEN5 대양케이스 이걸 추천해줘서 현재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행이 추천해주신거랑 같은것 같아서 다행이네요!! 램은 아마 욕심이 지나친것 같습니...
18/08/01 13:43
우선 전제를 깔고 시작하고 싶습니다. 컴퓨터 = 열과 먼지랑 싸운다. 특히 열을 얼마나 잘 잡느냐가 컴퓨터의 모든 것이라고 보셔도 됩니다. 국민오버라는 건 각 CPU마다 오버를 할 때 가지게 되는 셋팅입니다. 다시말해 국민오버로 해주세요 라고 하는 건 각 CPU에 맞는 설정값을 해달라는 거지 부품이 아닙니다. CPU에 K가 붙은 제품은 쉽게 말하면 '너희들 오버클럭이란 거 하고 싶으면 이거사' 라는 개념의 제품입니다 반대로 이야기 하면 오버클럭 안 할거면 K붙은 제품을 사는 것은 돈을 더 쓰게 되는 행위이고 실제로 K가 붙은 놈이나 안 붙은 놈이나 다중코어 작업(베그같은 고사양의 3D게임이 대표적)에서는 거의 똑같은 놈입니다. 그러므로 K가 붙은 CPU를 쓰실거면 오버를 웬만하면 하는 것이 그 친구를 제값주고 쓰는 것이고 그래야 합니다. 그리고 오버를 할 때 열을 잡아주기 위해서 뚜따라는 것을 필수적으로 하게 됩니다. 요약하자면 오버 안 하시고 8700 사시는게 가장 속 편합니다. 그래도 충분히 게임 잘 굴러가거든요.
파워는 클 수록 좋습니다. 말로만 700W라고 적혀있지 보통 적혀있는 것의 80%나 그 이하를 뽑아냅니다. 예를들어 700W면 실제로는 540W 정도라고 보셔야 하는겁니다. 540이면 위에 적으신 글카와 CPU를 다 돌리고 진짜 1자리 수 와트가 남거나 오히려 오버될 수도 있습니다. 아무리 낮게 쳐줘도 850정도는 쓰시는게 안정적이고 더 높을 수록 나쁠 건 전혀 없습니다. 참고로 파워 고르시다보면 실버, 골드, 플래티넘 등등이 붙어있는데 그건 효율입니다. 등급이 높을수록 80%가 아닌 그 이상의 효율을 뽑아냅니다. ASUS 쪽은 하이엔드 보드 아니면 개인적으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오버클럭을 하실거라면 개인적으로 ASUS MAXIMUS 나 ASROCK HIITACH 를 추천하고 그 이하는 오버클럭을 할 수는 있으나 정말 애를 많이 먹거나 엄청난 발열을 보실 수 있습니다. (둘 다 경험할 수도... ?) 반대로 오버클럭을 하지 않을 것이라면 MSI의 10만원 중후반 보드를 쓰셔도 충분합니다. 램은 쉽게 말해 책상입니다. 책상이 넓어야 여러가지 작업을 할 수 있듯 램도 용량이 많아야 여러가지 작업을 하면서도 무리없게 컴퓨터가 작동합니다. 여기서 일반인들이 하는 여러가지 작업이라고 해봐야 저처럼 듀얼모니터 쓰고 겜 하면서 트위치나 유튜브 틀어놓는게 고작일 겁니다. 저는 32G램을 쓰는데 스팀게임, 롤, 와우를 끄고 키기 귀찮아서 다 최소화 해놓고 한 모니터에는 유튜브와 트위치, 구글 크롬을 켜놓는데 한 번도 부족한 적이 없습니다.쉽게 말해 32G로 충분하다는 이야기입니다. 저도 올해 컴을 맞추면서 정말 여러가지 알아보고 이것저것 공부해서 얻은 지식들입니다. 부정확할 수도 있겠지만, 제가 직접 컴 사고 조립하고 지금까지 컴 잘 굴리고 있는 거 보면은 나름 쓸만한 지식이라고도 생각합니다. 더 궁금하신 것이 있으면 댓글이나 쪽지 부탁드리겠습니다. 제가 아는 것은 다 대답해드릴게요
18/08/01 14:12
너무나 자세한 댓글 진심으로 감사드려요!!
아무것도 모르고 맞춘거라 몇가지 부족한게 있는것 같습니다 ㅠㅠ(램은 높을 수록 좋다 이런것들..) 가성비는 나름 생각한다고 했었지만 꽝이었나보네요;; 추천해주신 보드와 파워들 한번 살펴보고 혹시라도 도움 요청드릴것이 생기면 바로!! 쪽지 드리겠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려요!!
18/08/01 13:38
(수정됨) 인간계 최강... 하지만 그위에 외계인들이 있죠. 어디 컴관련 싸이트에서 스팩자랑 할정도는 아니고 일반인들 사이에서는 최상위급 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딱 드레곤볼 크리링 정도급입니다.
그런데.. 왠지 조합이 언발란스라는 느낌이 드네요. 일단 파워는 윗분들이 말씀하신 것 과 비슷한데 제 생각으로는 마이크로닉스 파워도 다른것에 비에 급에 맞지 않는 조합이다 라는 생각도 들고, SSD의 경우 저정도라면 m.2 (혹은 NvME)를 왜 사용 안했으까 하고는 생각이 들고... 작년에 램값이 장난이 아니였는데 64G라면 다른스팩에 비해서 자나치게 오버였다는 생각도 들고... 아무튼 좋은것임에는 틀림없으나 뭔가 살짝 발란스가 좋은것은 아니였다 라는 느낌 입니다. 저라면 RAM을 32로 가고 NvME, power를 850정도에 상위티어 파워 정도 갔다면 가격은 비슷하게 갈수 있지 않았을까 합니다.
18/08/01 14:14
억 그런 SSD가 있는지도 잘 몰랐습니다;; 삼성이 제일 좋은거라고 막연히 생각하고 있었어서;;;;;;
보드와 파워뿐만이 아니라 SSD도 추가 장착을 고민해봐야겠네요. 자세한 답변과 고견 감사드려요!!
18/08/01 14:22
NvME랑 그냥 SSD는 사실 별 차이가 없습니다. 아니 차이가 크긴 한데 어짜피 인간이 체감할 수 있는 속도에서 기껏해야 3초 내외일거에요.
그렇다면 그냥 SSD가 나을 수도 있는게 1. 동일한 용량대비 가격이 싸다. 2. 동일한 용댱대비 면적이 넓다. - 열관리가 쉽다. 두가지 측면에서 그냥 SSD 쓰려고 하시던거 그대로 쓰셔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그래도 NvME가 뭐라도 나으니까 비싸지 않겠어? 하고 샀는데 똑.같.아.요
18/08/01 16:27
본문만 봤을 때는 '음 뭔가 군데군데 언밸런싱하군' 하고 댓글을 달려고 내렸는데
아타락시아1님 댓글을 보고 그냥 입다물고 저도 같이 배우기로 했습니다. 글 올려주신 애기찌와님이랑 댓글 달아주신 아타락시아1님 두분 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