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7/12 14:51:41
Name 히페리온
Subject [질문] SI쪽 회사에서 개발일 해볼생각 없냐고 연락이 왔는데 (수정됨)
우연히 친구 덕분에 올초에 알바를 했었는데요.

걍 개발 이런건 당연 아니고 걍 QA 업무였습니다.

거기 부장님(?)이 절 나름 괜찮게 보셨는지 연락을 주셨네요 앞으로 계속할 사람 뽑는데 생각 없냐고요.

여기 회사가 서울에 본사지만 제 지역에 지사도 있고 SI, ITO, 솔루션, 공공기관 요런쪽이네요.

제가 학과는 게임학과 나오긴 했는데 C/C++ 좀 배우긴 했으나 적성에 잘 안맞고 포인터에 막히고 그래서...

나중엔 보안쪽일도 하게 될거란 식으로 하던데 쌩판 개발 모르는 사람이 하기엔 힘들겠죠???

전에 알바할 때 다른 분이 자바 배우면 이쪽일 할 수 있는데 배워보라고 저하고 친구한테 얘기하긴 하던데...

암만 봐도 전 적성이 안맞아서 개발쪽은 자바는 당연 배워본적도 없고 ㅡ.ㅡ 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정지연
18/07/12 14:58
수정 아이콘
SI에 개발쪽이면 프로그래밍중에선 난이도가 낮은 편에 속합니다.
서버단은 주로 자바로 개발하는데 프레임워크가 잘 구현되어 있고 보통 대형 SI업체면 SW아키텍트가 만들어 둔 틀 내에서 공장에서 물건 찍어내듯이 코드를 찍어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화면단 개발이 조금 까다롭기는 한데 그렇다고 못할 정도는 아닙니다.. 요즘은 덜하지만 예전에는 비전공자도 뽑아서 교육시켜서 써먹기도 했을정도였으니까요..
다만 대기업 SI회사를 제외하면 대우는 그리 좋지 못합니다.. 작은 규모의 업체면 대기업SI업체의 협력업체로 일하는 경우가 많고 그럼 을도 아닌 병, 정의 입장인데다가 이쪽이 거의 공사판과 비슷한 분위기인데 몸을 쓰지 않는 일이라고 야근을 계속 돌리는 경우도 흔합니다..
52시간 근무가 본격도입돼서 덜할거란 기대는 있지만 그래도 당장 분위기가 개선되지는 않을거 같습니다..
히페리온
18/07/12 15: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고맙습니다 저도 알바할 때 보면 오픈 기간 얼마 안남았을 때는 개발자 분들 야근도 하고 주말에도 나오고 하더라구요. 알바할 때는 여러 회사에서 파견 나온 식으로 공공기관 1층에서 근무하고 그랬었는데 물론 제쪽 회사는 그쪽 근처에 건물이 있었구요. 직원분들은 괜찮았습니다. 솔직히 제 지역에 있는 회사고 부모님도 이왕이면 지역에 있는 회사 다니면 집에서 밥먹고 잠자고 하니 밥값, 방값은 덜들지 않겠냐며 돈도 더 모을 수 있다고 서울에서 다니는 것 보다 이런 얘기를 하시긴 합니다.

제가 대학교 때 C/C++을 배우긴 했고, 게임 프로그래밍 배우겠다고 서울에서 게임학원도 몇백씩 주고 다니긴 했는데 적성에 안맞고 넘 어려워서 2달 정도 다니고 그만둔적이 있습니다. 어렵더라구요 수학적인 지식도 필요하고 똑똑해야하고 좀 어느정도 타고나야 하고... 뭐 낼까지 연락 달라고 하셨는데 거절 의사를 전달할 것 같긴 합니다. 자바의 '자'자도 모르는 상황입니다. TT
18/07/12 15:25
수정 아이콘
그래도 재능이나 감이 좋아보여서 추천해주신게 아닐까요?
개발자 직업으로 괜찮은거 같아요. 꾸준히 공부해야 하지만 조금만 재능이 있다면 좋은 회사로 이직도 쉬운편인거 같고요.
개발자에 안좋은 인식, 소문은 대부분 SI회사들에서 생긴거 같아요.
Suomi KP/-31
18/07/12 15:27
수정 아이콘
적성에 맞으면 좋은 직업이죠.(...)
18/07/12 15:28
수정 아이콘
SI는 경험해보지 못한 개발자라 너무 좋게 생각 한거 같네요. 댓글들 보니 제가 현실을 모르는거 같네요.
Suomi KP/-31
18/07/12 15:29
수정 아이콘
현직 개발자시면 꽤 듣는거 많지 않으세요? 의외네요.
18/07/12 16:10
수정 아이콘
SDS 말고는 SI개발자 지인도 없네요. 들을때가 없는.. 그리고 SI는 갑질이 문젠줄 알았지.. 싸게 막 쓰려는 사장은 생각 못했네요.
Suomi KP/-31
18/07/12 16:14
수정 아이콘
아아, SDS쪽만 아시면... 이해가 가네요. 밑바닥을 볼 일이 없으실테니까요.
히페리온
18/07/12 17:46
수정 아이콘
다른 친구도 연락 왔대서 들어보니 전산관리 뽑는데 그거 하면서 거기서 프로그래밍 배워보라고 하네요.
CastorPollux
18/07/12 15:22
수정 아이콘
정말 현실적인 답을 하자면...
거기 부장님(?)이 절 나름 괜찮게 보셨는지 => 써먹기 좋겠다...
나중엔 보안쪽일도 하게 될거란 식으로 하던데 => 여러 잡다한 일 하게 될 거다..

개발자가 얼마나 많은데
개발경험이 없는 글쓴분에게 일 해 볼 생각 없냐고 할까요

저도 개발쪽 일 하는데 아닐 수도 있지만 글만 봐선 그냥 신입 데리고 와서 단가 후려칠려는거 같이 보입니다
히페리온
18/07/12 15:23
수정 아이콘
하긴 그럴 수도 있을 것 같아요
18/07/12 15:27
수정 아이콘
헛. 이럴수도 있겠네요. 위에 제 댓글은 너무 핑크 핑크하네요.
히페리온
18/07/12 17:47
수정 아이콘
전산관리 뽑는데 그거 하면서 거기서 프로그래밍 배워보라고 하는 거랍니다 친구가 연락 왔대서 못받아서 전화 했더니...
Suomi KP/-31
18/07/12 15:26
수정 아이콘
99%도 아니고 100% 단가 후려치기용 + 만만한 사람 하나 잡고 인건비 빼먹을려는 심산입니다.
혹시라도 프로그래머 길을 걷고자 한다면 그냥 좀 2~3년 고생하고 경력 쌓아서 다른 멀쩡한 곳으로 옮기라고 권해드리겠지만 이 길을 걸을 생각이 없으시면 그냥 "즐~" 하십쇼.(?!)
유리한
18/07/12 15:27
수정 아이콘
몇년만 구르시고 프리로 뛰시거나 이직하시는 것도 고려해보세요.
요즘 개발자 대우가 점점 좋아지고는 있습니다. SI야 뭐 한결같지만..
18/07/12 15:30
수정 아이콘
현직 개발잡니다. 두글자만 말씀드리겠습니다.
비 추
18/07/12 15:48
수정 아이콘
공공 SI란 단어만으로 그냥 비추입니다.
알카드
18/07/12 15:50
수정 아이콘
원래 개발할 생각이 있으셨어도 비추인데, 생각에도 없으셨던 것이니까 매우 비추입니다.
저도 개발자로 일하지만, si 경력 잘 안쳐줘요. 별도로 인터뷰 공부하는게 자기 경쟁력 올리는데에 훨씬 중요해요.
18/07/12 16:05
수정 아이콘
제가 아는 SI가 아니네요 다행..
히페리온
18/07/12 17:47
수정 아이콘
친구한테 들은 얘기인데 전산관리 뽑는데 그거 하면서 거기서 프로그래밍 배워보라고 하는 거라네요.
18/07/12 18:02
수정 아이콘
아예 대놓고 SI 프로그래머면 되게 힘드실수도 있는데, 관리하면서 배우는 개념으로 간다고 하면 나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관리라는게 기존 구축 솔루션 유지보수 하면서 고객지원하고, 그러면서 전반적인걸 관리하는 개념이면야 ... 괜찮으실수도 있죠.

근데 그러면 이제 급여가 보자... 음...
Cazellnu
18/07/12 18: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SI가 프로젝트 별로 다르지만
왠만해서는 업무량이나 강도가 힘들긴 합니다.

음 그런데 왠만한 회사(대기업등) 아니고서는 SI 단가보다 나은 회사가 별로 업을텐데요.
그리고 SI라고 해도 모두 업무강도가 쎄지는 않으니까 잘걸리면 뭐 편한 경우도 많구요

결론적으로 제가 말씀드린건 정규직이 아닌 단점은있지만 왠만한 대기업이나 증권 은행같은 경우가 아니고서는
SI뛰는게 낫다고 봅니다. 나이먹고 하기가 힘든 단점이 있는데 이건 뭐 그때 정규직으로 가도 되구요.
동네형
18/07/13 01:22
수정 아이콘
공공 금융말 피한다면야 그냥저냥 할만하다고 봅니다. 저는 쌩바닥권 업체 아니면
18/07/13 01:39
수정 아이콘
앞으로 개발자를 하고 싶다면야 가도 되겠지만, 적성이 맞지 않다고 생각되었다면 비추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2273 [질문] 면세점 시계 고민 [13] 우주견공2759 18/07/12 2759
122272 [질문] SI쪽 회사에서 개발일 해볼생각 없냐고 연락이 왔는데 [24] 히페리온5207 18/07/12 5207
122271 [질문] 축구에서 유효슈팅 기준 [6] 해태타이거7467 18/07/12 7467
122270 [질문] 현실적인 추신수 선수의 트레이드 가치는 어느정도인가요? [16] 바카스3674 18/07/12 3674
122269 [질문] 컴퓨터 비프음, 교체해야 할 부품은? [9] 도토루2416 18/07/12 2416
122268 [질문] 다키스트 던전 스위치 소식 아시는 분 있나요? [5] 이야기상자2486 18/07/12 2486
122267 [질문] 지네딘 지단은 역대 best11 에 포함될수 있을까요? [13] 마르키아르4307 18/07/12 4307
122266 [질문] 운전 연수를 해주려고 하는데 질문드립니다. [12] 감성2935 18/07/12 2935
122265 [질문] lchf 다이어트 식단 관련 질문있습니다. [5] mcu2303 18/07/12 2303
122264 [질문] KT 롤드컵 갈수 있을까요? [16] Maiev Shadowsong2632 18/07/12 2632
122263 [질문] 매스 이펙트3 해보신 분 있나요? 예니치카1299 18/07/12 1299
122262 [질문] 적당히 lol / 오버워치 중옵 정도만 돌릴 [4] 쭌쭌아빠1724 18/07/12 1724
122261 [질문] 배그용 조립 PC 견적 궁금합니다 [9] BlueSKY--2476 18/07/12 2476
122260 [질문] [스팀]다키스트 던전 DLC에 대하여 [6] 곡사포2240 18/07/12 2240
122259 [질문] 운동할때 스마트폰에 나오는 거리는 얼마나 정확할까요? AIPA1708 18/07/12 1708
122258 [질문] 티스토리 초청장 보내주실 분 있으실까요? [3] 글곰1619 18/07/12 1619
122257 [질문] 어머니 수족냉증 [12] 지금뭐하고있니2137 18/07/12 2137
122256 [질문] 인터넷이 안되는데 해결할 수 있을까요? [3] 서낙도1715 18/07/12 1715
122255 [질문] 서울에 있는 스타벅스 중 가장 전망 좋은 곳이 어디일까요? [7] 트와이스정연3793 18/07/12 3793
122254 [질문] 저탄고지 다이어트 질문좀 받아주세요 [8] 배고픕니다2284 18/07/12 2284
122253 [질문] 갤탭s2로 동영상 못 보겠네요. 동영상용 태블릿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6] 귀여운호랑이3381 18/07/12 3381
122251 [질문] lchf 질문드립니다. [8] 삭제됨1627 18/07/12 1627
122250 [질문] 원나블헌 같은 만화가 또 뭐가 있을까요? [26] 신공표3260 18/07/12 326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