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7/12 14:43
저도 이거 궁금해서 질문해볼까 했었는데 크크크
피파 홈페이지 공식 데이터를 살펴보니까 (https://www.fifa.com/worldcup/matches/match/300331522/#match-statistics) 잉글랜드의 경우 11회 시도 온타겟 1, 오프타겟6, 블락4 로 기록되어있는데 수비수 맞은건 "Blocked"로 기록이 되는 것 같습니다. 저도 연장의 헤딩 같은 경우는 유효슈팅으로 봐야할 것 같은데 일단 기준은 수비맞고 나가거나 튕겨나오면 따로 분류가 되는 것 같아요.
18/07/12 15:06
앞에 수비수가 있음에도 무리하게 슛으로 연결한 것들은 제외됩니다. 아무리 골대랑 가까워도 정면에 수비수를 두고 하는 슛들은 그다지 의미가 없는 셈이죠.
골키퍼에 의해 제지되지 않았을 때 골대안으로 들어가는 것들이 유효슈팅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런 이유로 골대 맞은 슛도 유효슈팅이 아닙니다.
18/07/13 02:17
그럼 [유효슈팅 수 - 실제 득점 수 = 키퍼선방 수] 가 항상 성립하는 것인가요?
프리킥이나 코너킥에서 양쪽 포스트에 수비수들이 붙어있다가 막는 것도 키퍼가 막은 게 아니어서 블락으로 처리되는지 궁금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