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7/08 20:55:18
Name msu
Subject [질문] 페미에 대한 언론의 대응이 이해되지 않아요
처음엔 jtbc만 특이 케이스라고 봤는데
최근들어서는 페미편파가 대부분의 언론으로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는 얘기를 자주 듣습니다.
그런데 언론에서 그렇게 하는 이유가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


- 추측1. 페미성향의 여성작가, 여기자들이 장악했다.
방송작가는 여초직종입니다. 그리고 방송작가는 성별을 떠나 방송권력서열에서 아래계층입니다. 정규직도 거의 없고 계약직이 대부분입니다. 아무리 강성페미여성작가진이 노력한다 해도 방송국의 논조를 쥐고 흔든다는 건 설득력이 없습니다.
신문사의 여성기자라고 해도 보수적인 데스크를 입맛대로 움직인다는 것 역시 아닌 것 같습니다. 그동네가 데스크 컨펌없이 되는 게 있던가요.

- 추측2. 페미는 돈이 된다.
어떻게 돈이 될까요? 시청률이 올라 광고수입이 늘어날까요? 딱히 시청률(구독수)와 연결될 거 같아보이진 않고, 설사 그렇게 해서 페미시청자가 늘어난다 해도 그만큼 잃는 반페미시청자가 있을테니 잘해봐야 트레이드오프일 것 같습니다. 뷰어십을 위한 어그로라면 차라리 반페미 쪽이 더 나을 것 같구요.

- 추측3. 지식인의 교조주의
정말로 작금 한국의 페미가 옳다고 믿는다...? 그래서 대의를 위해 약간의 편파는 언론인으로서의 사명이다...?


글쎄요... 어느 쪽도 딱히 와닿지가 않습니다.
진짜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절름발이이리
18/07/08 21:00
수정 아이콘
먹물들은 페미니즘에 (최소 남초 커뮤니티보다는) 호의적이죠. 따라서 3번에 가깝다고 봐야.. 1,2는 짐작하신 것처럼 크게 설득력이 없습니다.
운명의방랑자
18/07/08 21:29
수정 아이콘
'옳다고 믿는다'는 사실과 거리가 멀지 않나요?
절름발이이리
18/07/08 21:40
수정 아이콘
무슨 말씀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들이 사실은 옳다고 안 믿는다는 말씀인가요?
운명의방랑자
18/07/08 22:00
수정 아이콘
아뇨…왠지 저 얘기가 '옳지 않은 걸 (언론이) 애써 부정하려 든다'처럼 들려서요.
절름발이이리
18/07/08 22:03
수정 아이콘
그런 의미는 아니었습니다. 가치중립적으로 쓴 표현이었습니다.
운명의방랑자
18/07/08 22:04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정지연
18/07/08 21:02
수정 아이콘
일단 언론과 방송을 구분해서 생각해야 하는게 언론은 기본적으로 기자가 중심입니다.. 뉴스를 쓰는 것도 편성하는 것도 기자 및 기자 출신 편집장이 합니다.
언론하면 기본적으로 뉴스이고 뉴스에는 작가는 없거나 있어도 뉴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람은 아니고 기사를 싣는걸 정할 수 있는 편집장에는 여성이 아직은 영향력을 발휘하기 어렵습니다
언론으로 한정지어 보면 저 개인적으로는 3이라고 봅니다..
이호철
18/07/08 21:30
수정 아이콘
3이라고 봅니다.
18/07/08 21:35
수정 아이콘
일부 언론이 대중의 집중 포화를 맞아서 구걸까지 하면서도 논지가 꺾이지 않는 걸 보면 3이 정답에 가깝다고 봐야겠죠.
18/07/08 21:45
수정 아이콘
1
푸른발가마우지
18/07/08 21:49
수정 아이콘
3>1>>>>>>2 라고 생각해요
18/07/08 21:53
수정 아이콘
3이죠. 언론인들이 대학 다닐 때 성차별은 더욱 심했고, 페미니즘 주류는 비교적 순했습니다. "그들이 말하는 게 옳다", "방식은 옳지 않아도 남녀불평등이 있다"로 봐야한다고 보죠. 오로지 여성으로 태어났기 때문에 생기는 차별이 없다는 것도 거짓말이라고 봅니다. 다만 지금 메갈계열이 페미니즘 탈을 쓴 일베주의라서 문제인 거죠.
Rorschach
18/07/08 21:55
수정 아이콘
3이 제일 크죠.

내가 그랬었으니 젊은 너희들도 그렇겠지 or 잘못은 내가 했지만 책임은 젊은 너희들이 져라.
Arya Stark
18/07/08 22:34
수정 아이콘
저는 1,2,3 모두 아니고 기득권 남자들이 자신들의 약점을 타인의 기회나 권리를 희생시켜 지우고 있는거라고 봅니다.

20~30대 남성들 희생 시키는 거지 지들은 빨아먹을거 다 빨아먹고 페미 지원해도 피해는 안오거든요.
Semifreddo
18/07/08 22:38
수정 아이콘
자기들이 진 빚 남의 희생으로 갚고자 하는 이기주의를 3으로 포장하는 그림인 거 같네요
Lighthouse
18/07/08 22:51
수정 아이콘
그런 부분도 있고 페미니즘은 기본적으로 약자의 주장이고 존중받아야마땅하다 라는 의식이 전반적인 사회에 깔려 있는 것이 가장 큰 것같습니다. 20-30년전만해도 여성이 확실히 차별을 많이 받았던 시대였고 그래서 그들이 지금 부당한 주장을 해도 그때 차별을 받은 사람들이 많으니 어느정도는 그들의 주장을 이해를 해야한다 라는 의식의 흐름이요. 그런 생각을 가지고 그들을 바라보면 안쓰럽다고 생각하는 어른들이 많죠. 말도 안되는 소리입니다만..
FastVulture
18/07/08 23:54
수정 아이콘
언론이면 3입니다 1은 말도 안되구요. 2도 딱히...
18/07/09 00:31
수정 아이콘
언론판 용어로 기계적 중립이냐, 가치판단적 중립이냐 라는 말이 있습니다.
기계적 중립은 어느 한 쪽의 편을 들어주지 않습니다. 여당 입장 한 마디 나오면 야당 입장도 한 마디 나와야된다는 식이죠. 노동자가 시위를 하면 노동자 입장 한 줄, 그에 반대하는 전경련 입장 한 줄을 자기들 딴엔 공평하다고 담습니다.
이명박근혜 시절에 공중파 방송들이 대부분 이런 식이었습니다. 이런 식으로 보도하면 언론사의 입장이라는 게 사라지고 위에서도 문제 삼지 않거든요.

가치판단적 중립은 언론이 약자의 목소리에 더 귀를 기울여야한다는 입장입니다. 강자에 대한 비판, 약자에 대한 옹호 내지 지지를 기본 태도로 갖습니다.
물론 누가 약자인가? 라는 판단에 따라 편파적이라는
얘기도 나올 수 있는 문제가 있죠.
예컨대 과거 어느 시점에 민주노총 집회에서 참가한 노동자들 중 일부가 전경들을 먼저 공격해서 전경들이 다치는 사태가 났다고 칩시다. 이때 한겨레 같은 언론에선 그런 문제를 기사로 다루지 않거나 혹은 경찰의 과잉 진압이 그런 사태를 불렀다고 쓰곤 했습니다. 이건 한겨레가 민주노총을 사회적 약자라고 판단했고 그들의 목소리를 더 크게 담는 것이 옳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여성계 이슈로 보면, 아마 현직 기자들 대상으로
현재 한국사회에서 여전히 여성이 약자이고 억압받고 있는가? 라고 설문조사하면 그렇지 않다고 얘기할 사람 거의 없을 겁니다.
대부분의 언론은 여성들을 여전히 사회적 약자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들에게 가치판단적 중립 (똘아이들이 튀어나와도 실드쳐줌) 을 하고 있는 겁니다.
옛날에 노동자 투쟁하던 시절에 화염병 던져서 전경 죽어나간 걸 '대의를 쫓다 생긴 어쩔 수 없는 사고' 정도로 치부하던 것처럼 말이죠.
18/07/09 08:56
수정 아이콘
언론사 윗선 남성간부들이 방관 또는 지지하기 때문이라 생각하네요.
본인들 딴에는 부채의식을 해소하고, 자기들은 사회적으로 성공했기때문에 이제는 바뀌어야 한다고 여기겠죠
이미 가진사람들이기 때문에, 그들은 지금 남성들과는 다른 부류입니다. 물론 고생한것 다 압니다. 저희 아버지도 한국전쟁 전후 세대거든요.
하지만 없던 와중에도 여성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많이 누리고 살아왔습니다. 그리고 남자는 참아야한다. 라는게 지금은 안통하는걸 모르는것 같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2157 [질문] 윈도우 업데이트 진행이 안되네요. [3] K52052 18/07/09 2052
122156 [질문] 삼성페이 질문입니다 [6] 용노사빨리책써라2832 18/07/09 2832
122155 [질문] 한글 워드 문서 작업을 장시간 할때 생기는 문제가 있어 이에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9] 보로미어2193 18/07/09 2193
122152 [질문] 삿포로 숙소 추천부탁드려요 [7] 현실적인2403 18/07/08 2403
122151 [질문] 뱅앤올룹슨 E8 블투 이어폰 어떤가요? [8] JJakjin2856 18/07/08 2856
122150 [질문] 영어논문독해?를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3] I.A.L3431 18/07/08 3431
122149 [질문] lchf중 단 음식이 땡길때 먹을만한 음식 추천해주세요. [23] 삭제됨3268 18/07/08 3268
122148 [질문] 팟캐스트 추천 바랍니다 [3] 미스포츈1759 18/07/08 1759
122147 [질문] 제가 키우는 고양이 질병 질문 입니다. [5] 치토스1884 18/07/08 1884
122146 [질문] 페미에 대한 언론의 대응이 이해되지 않아요 [19] msu3533 18/07/08 3533
122145 [질문] 부산여행 숙박 및 맛집 질문입니다. [3] 부처2932 18/07/08 2932
122143 [질문]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임시인터넷 파일 볼수있는방법좀 알려주세요 [2] 벗이2735 18/07/08 2735
122142 [질문] 60-70년대 '냉차'라는게 있었다는데 어떤 맛인가요? [13] 삭제됨7158 18/07/08 7158
122141 [질문] 머리 컷트 질문입니다 [1] DAUM2376 18/07/08 2376
122140 [질문] 공무원 도청 근무 어떤가요?? [13] 전설의황제13658 18/07/08 13658
122139 [질문] 퇴직 통보 관련 질문 [4] 레드로키2393 18/07/08 2393
122138 [질문] [프듀48] 김민주 강혜원 구별하는 법 좀 [14] 재즈드러머4463 18/07/08 4463
122137 [질문] [프로듀스48] 다음주까지 투표 못하나요? [5] 아기상어1999 18/07/08 1999
122136 [질문] 노트북으로 할만한 축구게임 관련 질문드립니다. [3] 보라하라4292 18/07/08 4292
122135 [질문] 9월~10월 해외여행지 추천해주세요 [4] 류크2207 18/07/08 2207
122134 [질문] 태블릿을 데스크탑의 메인모니터로 사용할 수 있나요? [2] 오토나시 쿄코4033 18/07/08 4033
122133 [질문] 영어 회화 공부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6] 은하2625 18/07/08 2625
122132 [질문] 오사카 2박3일 여행 질문입니다(일본 전문가님들 도와주세요ㅜㅜ) [9] 삭제됨2698 18/07/08 269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