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7/06 11:27:44
Name 팬더곰
Subject [질문] 1996년도 쯤 초등학교 다니신분
안녕하세요

성인이 된 이후 부터 궁금했는데 갑자기 질문합니다.

제가 초등학교 4학년쯤(1996년)? 3학년쯤(1995년)?

학교에서 급식실을 설치한다고

전교생을 상대로 기본 10만원, 더 내고 싶으면 더 내라

라고 해서 전교생 돈을 걷은적이 있는데

지금생각해보면 말이 안되는거 같은데..

이런경험해보신분 계신가요

1997년 초등학교 5학년부터 급식했던걸로 기억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현직백수
18/07/06 11:28
수정 아이콘
더내고싶으면 더내라?????????????????????????
18/07/06 11:29
수정 아이콘
비슷한 때 학교생활 하셨네요.
저도 5학년땐가 처음 급식실이 생겼는데 그런 일은 없었습니다. 애초에 말도 안되죠...
어째 그건 누군가의 주머니로 쓱 들어갔을 듯한 느낌이
18/07/06 11:30
수정 아이콘
중학교까지 도시락이었고 고등학교 1학년 때 급식실이 생겼습니다. 돈걷기 같은 건 없었어요.
ThisisZero
18/07/06 11:32
수정 아이콘
가물가물하긴 한데 저는 초등학교 입학할 때 부터 급식비를 냈었던 것 같아요 (90년대 중반)
저 입학 전까지는 도시락이었는데 저 입학할 때부터 급식제를 도입하면서 전학년 급식비를 걷었는데
정작 급식은 초등학교 3학년때부터 먹을 수 있었죠.
1,2학년은 오전만 수업하고 하교하니 우유 말고 먹을 일이 없죠. 우유값 따로 냈던건 함정이지만.

그러다가 초등학교 2학년쯤 되서 교장선생님이 바뀌었는데
나중에 알고보니 그 때 받은 급식비 횡령하다 걸려서 잡혀가서 교장 바뀐거였다네요 크크.
교장 바뀐 뒤에 급식비를 냈는지는 기억이 안납니다. 물론 3학년 올라가서 급식먹을 나이 될때는 매달 냈구요.
야한남자
18/07/06 11:39
수정 아이콘
저와 같은 시기에 다니셨네요. 98년에 imf인해서 6학년임에도 불구하고 수학여행을 못가서 속상했었는데...
저희학교도 5학년부터 급식을 실시했었는데, 돈을 걷는 건 없었습니다.
그리고 현재 초등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고 있는데, 말도 안되는 이야기입니다.
18/07/06 11:42
수정 아이콘
저랑 나이가 비슷하신거 같은데 말도 안되는 일이네요.. 헐..
CoMbI COLa
18/07/06 11:46
수정 아이콘
공립이냐 사립이냐 차이가 있을 것 같은데 저는 공립이라 급식실 만든다고 돈 걷은 적은 없습니다. 급식비로 매 달 돈 내는건 있었지만요.
팬더곰
18/07/06 11:54
수정 아이콘
저도공립이었습니다
도토루
18/07/06 11:46
수정 아이콘
시골이라 그런가 ㅠ
99년도쯤에 급식 먹었습니다 (초, 중 도시락)
18/07/06 11:58
수정 아이콘
새롭게 급식실 설치하면서 식판 구매할거라고 첫 달에 몇 천원 더 걷은 게 기억납니다 10만원까지는 아니고요

근데 지금 생각해보니 기분나쁘네요. 그걸 교육청 예산으로 사는거지 왜 우리가 그걸 샀지....?
김호레이
18/07/06 12:31
수정 아이콘
공립인지 구립인지 모르겠습니다만...냈습니다..

구체적인 금액은 이야기 하지 않고 낼 만큼 내라 였는데...그 당시 최저가 3만원이었던걸로...

제가 반장이었는데...반장 부반장은 최소 5만원은 내라고 통보 받았었고...

그 당시 아는형이 같은학교 학생회장이었는데...학교에서 백만원 요구 했다고 들었습니다.
RedDragon
18/07/06 12:43
수정 아이콘
1990년대 시기는 뭐 교장, 교감, 선생들이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촌지 걷던 시절이라.. 100%죠 저건...
저는 5학년 담임이 그렇게 노골적으로 촌지를 요구했다고 하더라구요. (부모님썰)
Man in Love
18/07/06 12:50
수정 아이콘
저희도 그시기에 그랬던거 같아요
까우까우으르렁
18/07/06 13:37
수정 아이콘
전 국민학교 시절인데요. 이거 보고 든 생각이 북한이 금강산댐 건설하여 서울을 물에 잠기게 할 계획이니 우리는 평화의 댐을 지어서 그것을 막아야 한다. 건설을 해야 하니 반강제로 인당 500원~1000원 가량 걷어간 기억이 있네요. (그때 물가로 자장면1그릇이 500~700원이 었던걸로 기억합니다)
그때 돈은 대체 어디로 간건지 궁금하네요
간바레
18/07/06 13:54
수정 아이콘
아.. 아버님
신공표
18/07/06 14:16
수정 아이콘
급식인 지 아닌지는 모르겠는데, 그 즈음 아주 큰 금액은 아니지만 뭐한다고 얼마정도 걷어가고 그런 건 있었던 거 같습니다.
18/07/06 15:4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정확히 기억합니다.
1995년경에 제가 초등학교 6학년이었는데,(제가 1990년에 입학)
그 때 김영삼 공약이 초등학교 , 아니 그 때는 국민학교였죠. 급식의무화였습니다.
그래서 부랴부랴 급식실 설치해야 하는데 돈이 없죠. 그래서 학교에서 돈을 걷었습니다.
선생님이 할당된 돈을 걷어야 해서 학생들에게 공포분위기 조성하고, 저는 부반장이라 10만원 냈습니다.
그리고 졸업 바로해서 1996년 2월경에 급식은 2주 먹어보고 졸업했습니다 (...)
어린 맘에도 굉장히 불유쾌한 경험이었고, 큰돈내고(당시 저돈 큰돈이었습니다) 2주인가 급식 먹는데
그마저도 급식비를 또걷네 짜증나네. 싶었고, 어차피 졸업할 건데 그냥 버텨볼걸, 내가 부반장된게 선생이나 학교가 잘해줘서 그런게 아니라
내가 공부잘하고 인기 좋아서 된건데 왜 내가 돈을 내야 하나 이런 반감을 갖게 되고, 제 인격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 사건입니다.
18/07/06 16:03
수정 아이콘
1995>

► 1.16 학부모 교육용 교재 발간, 주 5일제 수업 올 해부터 시범 실시

► 1.17 교과서 검정제 전환 - 국어․국사만 국정 교과서 유지, 과목당 8종 제한 폐지

► 1.18 교육부-교개위, 유치원 공교육화, 국교 월반 허용 검토

► 2. 4 1996년부터 고교 영어교육 대폭 강화 발표

► 2.24 1997학년도부터 국교 4-6학년 영어교육 실시 추진 발표

► 3. 6 국교 ‘책가방 없는 날’, ‘점심 급식제’ 실시 결정, 「광주 민주화 운동」 국교 교과서에 첫 수록


김영삼 + 급식으로 검색하면 당시 대통령의 지시사항임이 드러납니다.
팬더곰
18/07/06 16:17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20년 넘게 사기 당한거 아닌가 걱정했는데. 그런건 아닌가보네요
18/07/06 16:46
수정 아이콘
95년 입학이고 입학할때 이미 급식이었는데
급식실이 따로없고 급식차를 교실에 가져와서 배식했습니다
軽巡神通
18/07/06 18:40
수정 아이콘
96년 입학생이었는데
이미 급식실이 잘 돌아가고 있어서 그런거 없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2073 [질문] 하스 복귀 문의드려요 [9] 그림속동화2587 18/07/06 2587
122072 [질문] 구급차 사이렌소리가 잘 들리시나요?? [13] 걸스데이민아2910 18/07/06 2910
122071 [질문] 동영상 편집 툴 좀 소개해주세요 ! [10] PEPE2235 18/07/06 2235
122070 [질문] 윈도우 미친듯한 데이터 누수 현상 대처방법....ㅠ [16] 돈키호테3427 18/07/06 3427
122069 [질문] 세티즌 중고거래 질문드립니다! [4] SooKyumStork2654 18/07/06 2654
122068 [질문] 비알레띠 모카포트도 인덕션에 작동되나요? [6] 여자친구6587 18/07/06 6587
122067 [질문] 여자친구 선물용 목걸이 좀 골라주세요ㅠㅜ(링크 有) [9] 사이시옷4845 18/07/06 4845
122066 [질문] 이어폰 단선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5] 軽巡神通1804 18/07/06 1804
122065 [질문] 고가의 이어폰을 사려고 합니다. [15] 나스이즈라잌2716 18/07/06 2716
122064 [질문] 1996년도 쯤 초등학교 다니신분 [21] 팬더곰3953 18/07/06 3953
122063 [질문] 여단장+참모 3명의 판단만으로 수도권 외곽 부대의 수도진격이 가능할까요? [6] 노스윈드3285 18/07/06 3285
122062 [질문] 서울 구로쪽에 목공 배울수 있는곳 문의 이세상은말야1417 18/07/06 1417
122061 [질문] 축구 몇몇 규칙 질문입니다 [12] 다크템플러3399 18/07/06 3399
122060 [질문] 판교~광교 범위에서 4가족이 모일만한 음식점을 찾습니다. [11] AIPA2313 18/07/06 2313
122059 [질문] JSP 기본적인 질문입니다. [10] 1llionaire2124 18/07/06 2124
122057 [질문] [프로듀스 48] 이 연습생 이름이 뭔가요? [7] 갓수2901 18/07/06 2901
122056 [질문] [연예] 음악방송 1위+점수 예측하는 곳? [3] 엄지1801 18/07/06 1801
122055 [질문] 체코여행 중 팁 질문입니다 [7] 샨티3641 18/07/06 3641
122054 [질문] 윈도우10사용자인데 사진을 연속해서 보는방법?? [7] 사는게젤힘드러23346 18/07/06 23346
122053 [질문] [수학] 한붓그리기가 불가능한 도형에 대하여 [4] bemanner3315 18/07/06 3315
122052 [질문] 8월 아시아나 항공 기내식 해결될까요 [10] 멜로3188 18/07/06 3188
122051 [질문] 비행기에서 볼만한 시리즈물 추천 받아봅니다. [4] Soviet March2584 18/07/06 2584
122050 [질문] 요가매트랑 폼롤러 추천좀 해주세요 [10] 태엽감는새5962 18/07/06 596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