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7/06 10:02:52
Name 다크템플러
Subject [질문] 축구 몇몇 규칙 질문입니다
질게에서 FM추천받고 깔았는데
타임머신 맞네요 왜 금요일이지...

이게 감독 눈에서 보다보니 생겨난 규칙의 의문점들이 몇개 있더라구요 크크

1) 교체 인원수제한에서 예외가 없는이유? 특히 3명 다 교체했는데 부상당하면 뒷목이;; 특히 골키퍼가 부상당하면 한숨나오더라구요 크크 최대수를 제한둔거는 롤로치면 6인로스터제한 느낌으로 이해할수있겠는데, 예외가 하나도 없다는게 신기하네요. 혹시 실축에서 3명다교체했는데 부상당해서 참고뛰는 경우도 있나요?

2) 왜 교체해서 나온선수는 재투입이 안되나요? 쉬었다가 들어가는 개념으로 써먹고 싶어도 재투입은 못하던데.. 이게 원칙상 어쩌다가 금지가 된걸까요? 악용의 여지가 있나요?

3) 챔스에서 원정다득점을 우선시하는게, 우주방어 막으려고 그런거 맞나요? 고원지역이나 중동같이 기후차이 심한곳이면 원정 불이익이 심할것같긴한데, 유럽 특히 빅클럽많은 서/남유럽은 기후차이가 크진 않을것같거든요. 심지어 유럽은 시차도 거의 없고. 응원차이+잔디차이? 같은게 그렇게 심한가요? 생각해보면 캄프누같은데서 우리만 야유하면 기죽을것같기도한데;; 실제로도 많이 차이가 나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조지영
18/07/06 10:09
수정 아이콘
1. 네 그 부분은 예외가 없습니다. 고래적에는 선수교체가 없었던 적도 있었으니까요.. 교체 다 했는데 부상당하면 참고 뛰거나 그냥 빠지거나 하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원래 선수교체는 부상자 발생을 구제하기 위해서 생긴거라서요..

2. 1번과 연계해서 생각하면, 부상으로 나온 선수가 다시 들어가는게 말이 안되겠죠?

3. 수비적인 축구와 연관이 있다기보다는 승부차기를 적게 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다가 나온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다크템플러
18/07/06 10:4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흐흐 교체가 애초에 그런목적이었군요
18/07/06 10:18
수정 아이콘
이건 여담인데, 글쓴분 같은 사고방식을 저희 딸에게도 알려주고 싶습니다.
규칙을 그냥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게 아니라 "왜 그렇게 된 거지?라고 자문해보는 게 참 좋은 모습으로 보입니다.
다크템플러
18/07/06 10:42
수정 아이콘
부끄럽네요 흐.. 감사합니다
Galvatron
18/07/06 10: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교체에 관해서는 예전부터 그래왔으니까라고밖에..... 실제로 교체카드를 다 써버린 상황에서 부상으로 한명 빠지게 되면 그냥 한명 적은 상태로 계속할수밖에 없습니다. 그랬던 사례들도 많았고. 만약 부상선수가 나온 케이스만 추가교체를 허용한다 그러면 체력소진된 선수가 나 부상이오하면 되는거라서 악용의 여지가 있죠. 이번 월드컵부터는 연장전에 추가로 4번째 교체카드를 주는 등 조금씩 변화하고 있기는 합니다.
재투입이 안되는것도 그냥 예전부터 그랬으니까라고 봐야되고, 실제로 교체카드 3장인 상황에서 한명 뺐다가 다시 넣는게 그렇게 좋은 선택인가 하면 미묘하기도 하구요. 뭐 축구도 농구처럼 데드볼상황에서 시계를 멈추고 총 경기시간 60분으로 하자는 제안도 나오고있는데 언젠가는 농구처럼 자유롭게 교체를 할 가능성이 미약하게나마 있다고 봅니다.
3에 관해서는 공격적인 경기를 권장하기위함이 맞구요. 홈구장의 이점은 뭐 날씨나 이런게 제외하고도 익숙함 분위기가 크죠. 비슷한 구조의 아파트라고 해도 친척집보다 우리집이 편한거니까요. 또한 연간 수십경기씩 하는 프로선수라고 해도 결국 사람인지라 홈팬들의 응원에 위축될수밖에 없구요. 그게 캄프누같은 8만명이 넘어가는 거대구장이면 더 할것이구요. 원정팬들이 적은 숫자임에도 불구하고 필사적으로 노래부르고 응원하는것도 우리 선수들 기죽지말라고 힘을 보태주는거구요.
여담이지만 홈팬들의 응원과 야유 구장의 분위기에 영향을 받는건 선수뿐만이 아니라 심지어 심판도 다를거없습니다. 홈팀에 기본적으로 유리한 판정이 많이 나오는 원인중 하나이구요. 그런걸 다 합쳐서 홈 어드밴티지라고 하는거고 실제로 무시할수없을 정도로 크죠.
다크템플러
18/07/06 10:44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생각해보니 부상도 연기가 가능하군요 크크 홈구장의 응원+야유는.허긴 2002년만 생각해도..
싸이유니
18/07/06 10:38
수정 아이콘
일반적인 축구룰을 그대로 가져와서 그렇습니다. FM에서도 리그경기는 교체제한이 있으나 친선이나 특별경기들은 교체 제한없이 할 수 있습니다.
1. 실제 축구에서도 발생합니다. 3명 교체 후 부상당하면 10명이서 뛰어야 합니다.
2. 실제 축구룰상 교체나온 선수는 다시 입장이 불가능 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3. 정확한 사유는 모른 대부분 원정 경기가 좀더 힘들어 하더라구요.
다크템플러
18/07/06 10:44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18/07/06 10:46
수정 아이콘
덧붙여서 원정은 응원이나 심판의 홈콜 등 심리적인 부분 외에도 현실적인 부분이 있습니다. 단거리라면 버스, 장거리라면 비행기를 타고 와야 하는데 돈도 돈이거니와 이동시간 자체가 선수들에게 피로를 누적시키고 컨디션을 저하시키죠. 홈팀이라면 원하는 때 아무렇게나 자기들 시설을 써서 훈련할 수 있지만 원정팀은 그것도 안 되고요. 익숙함의 문제도 있습니다. 예컨대 우리 구장 센터서클 부근의 잔디 상태가 나빠서 그쪽에서는 드리블할 때 조심해야 한다는 걸 홈팀은 알지만 원정팀은 모른다든지.... 그런 여러 가지가 복합되어 있습니다.
Proactive
18/07/06 11:51
수정 아이콘
1) 네 참고 뛰어야 합니다. 뛸만 하면 뛰지만 어쩔수 없는 경우, 포지션을 바꿔서 뛰기도 합니다.
2) 낙장불입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선수 교체를 많이 하면 경기흐름이 깨지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축구는 흐름이 중요한 스포츠입니다. 적정한 협의선이 3명이였는데 최근 들어 이를 늘린다는 이야기도 있거둔요. 다른 이유로는 감독이 선수교체로써 경기 자체에 미치는 영향이 강조됩니다.
3) 챔스의 경우 결승전은 제3의 도시에서 하고 원정 한번 홈 한번 번갈아가면서 합니다. 홈에서도 꼭 한번은 하기 때문에 많이 무시되는 편입니다.
스위스나 오스트리아와 같은 일부 고산지역에 팀이 있기는 합니다만 아무래도 콜롬비아같지는 않습니다. 원정 다득점이 공격적인 축구를 더 높이 쳐주는 것은 바른 말이고요. 축구 경기장이 규격이 있긴한데 상대적으로 느슨한 편입니다.(일례로 토트넘 구장 화이트하트레인이 엄청 작은 편이였는데, 공사에 들어가서 웸블리구장(-엄청 큰편)에 적응하느라 애먹었었죠) 이것과 더불어 관중석, 주변 환경등이 다 다르기 때문에 축구선수에게 심리적으로 미치는 효과가 아무래도 있는 편입니다.
18/07/06 18:16
수정 아이콘
1,2) 원래 축구엔 교체 자체가 없었습니다. 당시엔 부상당하면 참고 뛰던가 빼고 적은 인원으로 뛰던가였고 점차 룰이 바뀌면서 교체가 생겼지만 당시의 기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3번째 교체 카드는 신중하게 사용합니다. 보통 마지막 교체는 80분이 지난 후 사용하죠.

3) 각 구장마다 크기, 잔디, 바람, 빛에 이르기까지 차이가 크기 때문에 원정팀이 불리합니다. 때문에 페널티를 가지고 있는 원정에서의 득점을 높이 치는 동시에 원정 팀의 공격을 유도하는 효과를 줍니다.
Brasileiro
18/07/06 20:20
수정 아이콘
1. 당장 이번 월드컵에서 기성용선수가 멕시코전 도중에 부상을 당했는데,교체선수 3명을 다쓴 상황이라 풀타임을 뛰었습니다. 흔하게 있는 일이죠.

2.교체선수 제한이 있는것과 같은 이치죠. 에이스선수 체력 아꼈다가 다시쓰는 꼼수도 있을수가 있고..

3.원정경기의 어려움은 어마어마하게 큽니다. 경기장 규격도 조금씩 다르고, 공격이나 수비 자리잡을때 대충의 거리를 계산하기위해 광고판이나 구조물 등을 기준으로 하기도 하는데 그것도 다르기 때문이죠. 기후나 잔디상태는 말할필요도 없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2067 [질문] 여자친구 선물용 목걸이 좀 골라주세요ㅠㅜ(링크 有) [9] 사이시옷4844 18/07/06 4844
122066 [질문] 이어폰 단선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5] 軽巡神通1804 18/07/06 1804
122065 [질문] 고가의 이어폰을 사려고 합니다. [15] 나스이즈라잌2715 18/07/06 2715
122064 [질문] 1996년도 쯤 초등학교 다니신분 [21] 팬더곰3950 18/07/06 3950
122063 [질문] 여단장+참모 3명의 판단만으로 수도권 외곽 부대의 수도진격이 가능할까요? [6] 노스윈드3283 18/07/06 3283
122062 [질문] 서울 구로쪽에 목공 배울수 있는곳 문의 이세상은말야1417 18/07/06 1417
122061 [질문] 축구 몇몇 규칙 질문입니다 [12] 다크템플러3399 18/07/06 3399
122060 [질문] 판교~광교 범위에서 4가족이 모일만한 음식점을 찾습니다. [11] AIPA2312 18/07/06 2312
122059 [질문] JSP 기본적인 질문입니다. [10] 1llionaire2122 18/07/06 2122
122057 [질문] [프로듀스 48] 이 연습생 이름이 뭔가요? [7] 갓수2900 18/07/06 2900
122056 [질문] [연예] 음악방송 1위+점수 예측하는 곳? [3] 엄지1801 18/07/06 1801
122055 [질문] 체코여행 중 팁 질문입니다 [7] 샨티3640 18/07/06 3640
122054 [질문] 윈도우10사용자인데 사진을 연속해서 보는방법?? [7] 사는게젤힘드러23340 18/07/06 23340
122053 [질문] [수학] 한붓그리기가 불가능한 도형에 대하여 [4] bemanner3314 18/07/06 3314
122052 [질문] 8월 아시아나 항공 기내식 해결될까요 [10] 멜로3188 18/07/06 3188
122051 [질문] 비행기에서 볼만한 시리즈물 추천 받아봅니다. [4] Soviet March2583 18/07/06 2583
122050 [질문] 요가매트랑 폼롤러 추천좀 해주세요 [10] 태엽감는새5959 18/07/06 5959
122049 [질문] 2018 리프트 라이벌즈 예선 다시보기는 어디서 보나요? [4] 휘안3760 18/07/05 3760
122048 [질문] WCG 2018 안 열렸나요? [3] 及時雨2070 18/07/05 2070
122047 [질문] 비오는날 분리수거 어떻게하시나요? (빌라촌) [4] BestOfBest8777 18/07/05 8777
122046 [질문] 학사신공같은 무협소설 또 없을까요?? [6] 그시기8768 18/07/05 8768
122045 [질문] 처음으로 대출상담을 받아보려고 합니다. 경험자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2] zzzzz2029 18/07/05 2029
122044 [질문] 지금 블리자드 서버 터졌나요? [6] 낙원2144 18/07/05 214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