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6/09 13:57
우승이 준우승 숫자로 치환 될 수 있으면 준우승은 4강 숫자로 치환될 수 있고 4강은 8강 숫자로 치환될 수 있겠죠. 애당초 숫자로 해석하려고 하면 2등=꼴찌 쪽으로 가거나 우승을 아예 안보는 쪽으로 가는 길 밖에 없을겁니다.
18/06/09 14:15
어 그런가요? 조용호는 1회 우승 3회 준우승이라 당연히 홍진호보다 위라고 생각했는데요. 우승상대도 마조작이었고.
진짜 홍진호가 위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대부분인가요?
18/06/09 13:59
준우승도 매우 잘한 것이고 한번 준우승 한거보다 여러번 준우승한 게 훨씬 높은 업적이지만, 몇개를 모으더라도 우승이 될 수는 없는 거 같습니다..
준우승 몇개 당 우승 하나 이런 식으로 정할 수는 없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우승 1회 반짝하고 기량이 떨어진 선수보다는 준우승 5번한 선수를 더 높게 치고 싶네요.
18/06/09 14:02
경기력이나 기타 상황에 따라 다른듯...
2번만 준우승해도 1번 우승보다 높게 칠수도 있고 5번 준우승해도 1번 우승보나 낮게 칠수도 있고... 예를 들어 우리나라 축구 국대가 월드컵 3연 준우승하면 대부분 사람들이 1번 우승하고 잠수타는 나라보다 높게 치겠죠..
18/06/09 14:21
nba의 경우 르브론 제임스가 3회 우승 6회 준우승때문에 3회우승 0회 준우승보다 오히려 못하다고 평가하는 사람들도 있더라고요 큰경기에 약하다고
18/06/09 14:27
수치화하긴 힘들거 같아요.
질적으로 준우승 몇번을 해도 우승 한번만 못하긴 하겠죠. 그렇다고 한번 반짝 우승한 선수를 롱런하면 여러번 준우승한 선수보다 높다고 보는 사람도 거의 없을거고요. 박지수를 홍진호보다 높게 본다거나, 헬리오스를 스코어 보다 높게 본다거나 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테니까요.
18/06/09 14:48
비슷한 기록을 남긴 역대 최고의 선수를 비교할 때는 우승 0번 준우승 22번보다도 1번 우승한 게 더 가치있다고 생각하고,
그외에는 그 선수가 남긴 꾸준함을 기준으로 평가합니다. 분야를 막론하고 역대 최고인 사람이라면 어떤 핑계도 용납이 안되는 위치라고 생각해서요.
18/06/09 15:02
사실 준우승 100번 해도 우승 1번보다 아래입니다. 최강자라면 상대가 누구든지, 맵이 어떻든지 우승을 해내야 하거든요. 물론 심정적으로는 준우승 3번 정도 하면 우승자들과 어깨를 나란히 해도 된다고 생각해요.
18/06/09 15:05
우승1번을 하면 그 이후 아무리 못해도 결국 우승자 명단에 있는 바람에 역사에 어떤식으로든 기록이 되지만
준우승은 몇번을 하든 홍진호나 어윤수 정도가 아닌 한 잘 기억을 못하죠 신동원이 아무리 우스운자 소리 들었다지만 어쨋든 우승자출신이고 덕분에 신동원의 이름을 기억해주는 사람은 아직도 있지만 그떄 준우승한 차명환은 그 언급되는 빈도수나 기억해주는 사람의 숫자가 훨씬 적죠 그것만으로도 우승의 가치가 준우승보다 훨씬 크고 우승1번이 준우승 수번보다 낫다고 봅니다 홍진호 어윤수빼고요
18/06/09 15:07
준우승은 잘한거지만.. 준우승 아무리 많이 해도 우승 한번보다 잘한건 아니죠..
우승 한번은 '단 하루라도 당대 최강' 이였다는거지만 준우승 100번은 하루도 최강인 적은 없었다는 거라서..
18/06/09 15:08
우승이랑 준우승은 엄연히 다릅니다. 올림픽 국가 순위도 은메달 백 개 모아봐야 금메달 밑으로 치는 것처럼.. 일등만 기억하는 것이 너무 모질고 안타깝다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현실이 그래요
18/06/09 17:30
포인트로 치면야 물론 준우승 4~5회정도와 우승1회를 동치시킬수는 있겠는데...의미상으로는 좀 다르죠. 그 리그에서 가장 잘한 선수에게 주는게 우승인데...
황신에 대한 호평은 준우승횟수가 아니라, 저그 중 그 누구도 우승을 못하던 시절 (논란이 있지만 뭐 여하튼) 수년동안 저그를 이끌었고 매번 우승에 도전했던 모습에 대한 평가인거라고 봐야죠.
18/06/09 19:07
선수들에게 물어봐도 준우승이 얼마든 우승 1번을 택할거 같네요. 물론 우승외 아무것도 없다면 다수의 준우승으로 상금이라도 타먹겠지만 우승1번 4강,8강 여러번이라면 준우승이 몇번이든 그냥 우승 택할듯
18/06/10 03:21
우승보다는.. 누가 오래살아남느냐인듯. 어차피 우승해도 반짝이면 알아주는사람도없구요.. 마지막까지 더오래남고 커리어 많이쌓이면 준우승오래하는게 반짝우승보다 더 값어치 있다봄. 변길섭을누가.. 알아주나요 그냥 불꽃테란으로알지. 우승자인지 모르는사람이 태반일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