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6/09 13:54:15
Name 마르키아르
Subject [질문] 준우승 몇번을 우승한번과 비슷하다고 보시나요?


이건 정말 정답이 없고

개인의 가치관에 따라 케바케일꺼 같은데...

PGR 분이라면 누구나 아실..

홍진호, 어윤수 같은 경우도 있을꺼고..

우승 2번 한 선수가 높을지, 우승 1번, 준우승 4번 한 선수가 더 높게 평가 받을지 와 같은 경우도 있을테고..


어떤 종목에서 누적커리어 줄세우기를 할때..

준우승을 어느정도로 평가하시나요?



높게 평가하시는 분은

준우승 2-3번만 해도 우승 한번 보다 가치가 높다 라고 평가하시는 분도 계실테고


낮게 평가하시는 분은

준우승 10번을 해도 우승 한번 보다 가치가 낮다라고 평가하시는 분도 계실테고요


PGR 분들은 역대 선수 줄세우기를 할때..

준우승 몇번정도가 우승 한번과 비슷하다고 비슷하다고 평가하시겠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Ice Cream
18/06/09 13:55
수정 아이콘
준우승은 준우승일 뿐이죠.
18/06/09 13:56
수정 아이콘
준우승은 준우승이고 우승은 우승이죠.
18/06/09 13:56
수정 아이콘
준우승 연속 4번 하는동안 + 상대가 다 달랐으면
우승1번으로 이응지읒합니다.
응~수고
18/06/09 14:26
수정 아이콘
22222222
손금불산입
18/06/09 13:57
수정 아이콘
우승이 준우승 숫자로 치환 될 수 있으면 준우승은 4강 숫자로 치환될 수 있고 4강은 8강 숫자로 치환될 수 있겠죠. 애당초 숫자로 해석하려고 하면 2등=꼴찌 쪽으로 가거나 우승을 아예 안보는 쪽으로 가는 길 밖에 없을겁니다.
손금불산입
18/06/09 13:58
수정 아이콘
그렇다고 김윤환이나 조용호, 신동원을 홍진호보다 위에 두는 사람도 별로 없겠죠.
강미나
18/06/09 14:15
수정 아이콘
어 그런가요? 조용호는 1회 우승 3회 준우승이라 당연히 홍진호보다 위라고 생각했는데요. 우승상대도 마조작이었고.
진짜 홍진호가 위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대부분인가요?
손금불산입
18/06/09 14:25
수정 아이콘
제가 잠시 착각했네요. 조용호는 좀 이야기가 다르겠네요.
신공표
18/06/09 13:59
수정 아이콘
준우승도 매우 잘한 것이고 한번 준우승 한거보다 여러번 준우승한 게 훨씬 높은 업적이지만, 몇개를 모으더라도 우승이 될 수는 없는 거 같습니다..

준우승 몇개 당 우승 하나 이런 식으로 정할 수는 없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우승 1회 반짝하고 기량이 떨어진 선수보다는 준우승 5번한 선수를 더 높게 치고 싶네요.
18/06/09 14:02
수정 아이콘
경기력이나 기타 상황에 따라 다른듯...
2번만 준우승해도 1번 우승보다 높게 칠수도 있고
5번 준우승해도 1번 우승보나 낮게 칠수도 있고...

예를 들어 우리나라 축구 국대가 월드컵 3연 준우승하면
대부분 사람들이 1번 우승하고 잠수타는 나라보다 높게 치겠죠..
18/06/09 14:15
수정 아이콘
질적으로는 절대 같아질 수 없죠. 다만 포인트로 계산한다면 저 같으면 준우승은 우승의 2분의 1에서 3분의 1쯤 점수 주겠네요.
도라귀염
18/06/09 14:21
수정 아이콘
nba의 경우 르브론 제임스가 3회 우승 6회 준우승때문에 3회우승 0회 준우승보다 오히려 못하다고 평가하는 사람들도 있더라고요 큰경기에 약하다고
등산매니아
18/06/09 14:21
수정 아이콘
준우승은 꼴찌랑 같습니다. 1조번을 해도 아무도 기억해주지 않죠.
송하나
18/06/09 14:23
수정 아이콘
저도 4번 정도면...
18/06/09 14:25
수정 아이콘
준우승조차 없는 신이염 > 박성균 , 한동욱, 박지수 등 1회 우승자라는 평가를 봐도 그렇고 우승 1회야 뭐 운빨이 워낙 많아서
피지알중재위원장
18/06/09 14:27
수정 아이콘
수치화하긴 힘들거 같아요.
질적으로 준우승 몇번을 해도 우승 한번만 못하긴 하겠죠.
그렇다고 한번 반짝 우승한 선수를 롱런하면 여러번 준우승한 선수보다 높다고 보는 사람도 거의 없을거고요.
박지수를 홍진호보다 높게 본다거나, 헬리오스를 스코어 보다 높게 본다거나 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테니까요.
bemanner
18/06/09 14:48
수정 아이콘
비슷한 기록을 남긴 역대 최고의 선수를 비교할 때는 우승 0번 준우승 22번보다도 1번 우승한 게 더 가치있다고 생각하고,
그외에는 그 선수가 남긴 꾸준함을 기준으로 평가합니다.

분야를 막론하고 역대 최고인 사람이라면 어떤 핑계도 용납이 안되는 위치라고 생각해서요.
미카엘
18/06/09 15:02
수정 아이콘
사실 준우승 100번 해도 우승 1번보다 아래입니다. 최강자라면 상대가 누구든지, 맵이 어떻든지 우승을 해내야 하거든요. 물론 심정적으로는 준우승 3번 정도 하면 우승자들과 어깨를 나란히 해도 된다고 생각해요.
18/06/09 15:03
수정 아이콘
선수 평가는 우승타이틀 + 통산 승률 같이 봐야죠.
준우승 몇개가 우승 1번 쳐준다는 솔직히
웃기는 소리라고 생각해요.
18/06/09 15:04
수정 아이콘
준우승 100번해도 우승 한번이랑 비교할 수가 없죠
태연이
18/06/09 15:05
수정 아이콘
우승1번을 하면 그 이후 아무리 못해도 결국 우승자 명단에 있는 바람에 역사에 어떤식으로든 기록이 되지만
준우승은 몇번을 하든 홍진호나 어윤수 정도가 아닌 한 잘 기억을 못하죠
신동원이 아무리 우스운자 소리 들었다지만 어쨋든 우승자출신이고 덕분에 신동원의 이름을 기억해주는 사람은 아직도 있지만 그떄 준우승한 차명환은 그 언급되는 빈도수나 기억해주는 사람의 숫자가 훨씬 적죠

그것만으로도 우승의 가치가 준우승보다 훨씬 크고 우승1번이 준우승 수번보다 낫다고 봅니다 홍진호 어윤수빼고요
18/06/09 15:07
수정 아이콘
준우승은 잘한거지만.. 준우승 아무리 많이 해도 우승 한번보다 잘한건 아니죠..

우승 한번은 '단 하루라도 당대 최강' 이였다는거지만
준우승 100번은 하루도 최강인 적은 없었다는 거라서..
18/06/09 15:08
수정 아이콘
우승이랑 준우승은 엄연히 다릅니다. 올림픽 국가 순위도 은메달 백 개 모아봐야 금메달 밑으로 치는 것처럼.. 일등만 기억하는 것이 너무 모질고 안타깝다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현실이 그래요
18/06/09 15:11
수정 아이콘
기계적으로 몇회에 몇번이라 할수 없는 문제라고 보고 기본적으로 평가는 경기내용이 최우선이라 생각합니다.
18/06/09 15:12
수정 아이콘
우승1회>>>>>>>>>준우승 30회
지금뭐하고있니
18/06/09 15:21
수정 아이콘
이건 양의 개념이 아니라 질의 개념이라 결코 같을 수 없습니다
살다보니별일이
18/06/09 17:30
수정 아이콘
포인트로 치면야 물론 준우승 4~5회정도와 우승1회를 동치시킬수는 있겠는데...의미상으로는 좀 다르죠. 그 리그에서 가장 잘한 선수에게 주는게 우승인데...

황신에 대한 호평은 준우승횟수가 아니라, 저그 중 그 누구도 우승을 못하던 시절 (논란이 있지만 뭐 여하튼) 수년동안 저그를 이끌었고 매번 우승에 도전했던 모습에 대한 평가인거라고 봐야죠.
장바구니
18/06/09 19:07
수정 아이콘
선수들에게 물어봐도 준우승이 얼마든 우승 1번을 택할거 같네요. 물론 우승외 아무것도 없다면 다수의 준우승으로 상금이라도 타먹겠지만 우승1번 4강,8강 여러번이라면 준우승이 몇번이든 그냥 우승 택할듯
안녕하세요
18/06/10 03:21
수정 아이콘
우승보다는.. 누가 오래살아남느냐인듯. 어차피 우승해도 반짝이면 알아주는사람도없구요.. 마지막까지 더오래남고 커리어 많이쌓이면 준우승오래하는게 반짝우승보다 더 값어치 있다봄. 변길섭을누가.. 알아주나요 그냥 불꽃테란으로알지. 우승자인지 모르는사람이 태반일듯.
배주현
18/06/10 07:08
수정 아이콘
치환하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우승이 없거나 극 소수 + 준우승 숫자만 계속 늘어나면 큰경기에 약한 선수라는 이미지만 남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1044 [질문] 전시용 에어컨은 어떨까요?? [4] 혜우-惠雨4119 18/06/09 4119
121043 [질문] 캐나다 주정부이민/유학후 이민 가려는데 어느주가 제일 괜찮을까요?? [1] imemyminmdsad2227 18/06/09 2227
121042 [삭제예정] 웨딩홀 방문 상담 하러 갈 때 체크해야 할 사항 질문 드립니다. [8] 원스3534 18/06/09 3534
121041 [질문] [스타1] 플플전을 제일 못하는 분 있나요? [30] 샨티3438 18/06/09 3438
121040 [질문] 게시판 유투브영상 재생이 안됩니다 [3] 나름쟁이1839 18/06/09 1839
121039 [질문] 철권 7 하는데 메이크스틱 살 필요성이 있을까요? [11] 성세현4121 18/06/09 4121
121038 [질문] 오늘 페미니즘 시위에 대한 트위치 클립을 올리고 싶은데 [6] 삭제됨2934 18/06/09 2934
121037 [질문] 동아리에서 할만한 뮤지컬작품 따루라라랑1869 18/06/09 1869
121036 [질문] 스포츠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6] La La Land6170 18/06/09 6170
121035 [질문] 문재인 대통령이 페미니즘 응원한다고 하면 [53] 딴딴4607 18/06/09 4607
121033 [질문] 라면 끓이려는데 일본어 번역 좀 부탁드려요 ㅠㅠ [5] 깜디아2460 18/06/09 2460
121032 [질문] (배그) smg총과, 권총은 연사가 안됩니다... [7] 바둑아위험해2776 18/06/09 2776
121031 [질문] 6월 13일 선거일때요. [4] 레가르2652 18/06/09 2652
121030 [질문] 그런거 너무 싫어요... 연애상담 [13] 이명헌3619 18/06/09 3619
121028 [질문] 저렴한 집들이 선물 추천 부탁드립니다~! [5] 토폴로지2918 18/06/09 2918
121027 [질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괜찮은 거 있을까요? [6] 빠독이2968 18/06/09 2968
121026 [질문] 준우승 몇번을 우승한번과 비슷하다고 보시나요? [30] 마르키아르4079 18/06/09 4079
121024 [질문] 글룸헤이븐, 슬레이 더 스파이어 같은 겜 없을까요? [1] APONO3486 18/06/09 3486
121023 [질문] 폰으로 pgr접속시 유튜브가 재생이 안됩니다. [4] 어리버리질럿2063 18/06/09 2063
121022 [질문] 보통 시험공부할때 요약은 필수인가요? [14] 빵떡유나4168 18/06/09 4168
121021 [질문] 이 노래 제목을 아시는분이 계실까요 Fysta2059 18/06/09 2059
121020 [질문] 헬스 pt에 관련된 질문 [4] 스콩어2271 18/06/09 2271
121019 [질문] 컴포넌트 케이블 3선과 5선의 차이점은 뭔가요? [3] 자전거도둑4044 18/06/09 404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