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5/22 12:23
제가 아는 연금저축에 대해서만 말씀드리자만.. 1. 연금저축의 경우.. 보통 세액공제를 목적으로 계설을 많이 하십니다만 10년 이상 유지를 하셔야지 혜택을 볼수 있습니다.. 가입할때는 보통 할수 있겠지 하면서 하지만 10년이상 유지 못하는 분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가입하시기 전에 내가 10년이상 유지를 할수 있을까에 대해 잘 파악하셔야 하는데.. 사람이 살다보면 별의 별 일이 다 있기 때문에 전직 보험사 직원으로서 연금저축의 경우 친구들에게 추천하지 안는편입니다..특히 결혼과 육아가 닥쳐오면 당장 빠지는 10만원 20만원도 아끼고 싶거든요.. 연금 유지하는거 어렵습니다. 특히 아직 결혼 안하셨다면 생각 잘 해보세요. 2. 연금수령시 연금소득세는 걷습니다. 이건 피할수 없고 비과세 말씀하신건 이자소득세 같네요. 과세 비과세를 가르는 가장 큰 사유가 바로 저 10년 유지입니다. 그밖에도 자잘한게 있지만 10년 유지를 할수 있냐 없냐가 가장 큽니다. 세액공제를 받는만큼 뱉어낸다는건 세액공제혜택을 받다가 중간에 혜지하는경우입니다. 3. 주식통장은 문제 없습니다.. 주거래은행과 상관도 없구요. 물론 거래은행에서 한다면 담당직원은 좋아하겠네요. 자기 성과로 들어가는 은행도 있거든요. 수수료가 무료라고 하지만 완전 무료는 아니고 증권거래소에 내야되는 일정금액은 빠집니다. 0.01프로였나.. 여튼 비대면계좌로 상위 증권사들도 많이 행사합니다.. 보통 주식거래시 부담되는건 세금이고 수수료는 큰 부담이 아니지만.. 적은 수수료라도 아끼시려면 비대면계좌로 개설하시는게 좋겠죠. 4. 과세vs비과세 구분하신거는 연금저축과 연금보험을 말씀하시는거 같기도 한데..연금보험쪽은 지식이 없네요. 크게 연금저축, 연금보험 종류가 두가지이고 저는 연금저축 한가지만 말씀드린건데.. 제 생각은 연금은 기본적으로 길게 가져가야되는 상품이니만큼 정말 생각을 잘 해봐야 한다는 거예요.
18/05/22 12:26
1. 가. 어차피 본인의 투자성향이 맞게 주식형 채권형 등 다양한 상품들 사이에서 고르는거라 큰 상관은 없을거같습니다. 아마 최근 1년 수익률 최근 3개월 수익률 다 보여줄거에요.
나. 연금저축은 400이고 퇴직irp 300까지 됩니다. 두개 합쳐 맥스로 700이라고 한거같네요. 다. 갑자기 헷갈리는데..과세는 아마 비과세 적용을 못받는경우(소득 요건 오버, 400이상) 일 경우를 말하는거같고요 비과세라고 해서 원본이 다른게 아니라 특별한 단점 없습니다. 라. 크게 상관 없어요 마. 연금저축이 하나에 몰빵이아니라 5개정도에 나눠넣는거라 골라 넣으시면 됩니다.
18/05/22 12:34
2. 가. 좋죠
나. 상관 전혀없어요. 사실 주거래은행... 아무 의미 없다고 생각합니다. 전세대출이나 주택담보대출 싸게 잘해주는 곳이 주거래죠. 다. 크게 신경안써도 되요 개인수수료도 낮고 금액이 낮을수록 더 낮아져서...
18/05/22 13:18
저 같은 경우 퇴직연금으로 700 넣습니다. 연말 정산때 한 95 정도 돌려 받는거 같아요.
그런데 운용 수익률 보면 한숨 나와서 연금 저축 400에 퇴직 연금을 300 할까 생각도 해봤지만 귀찮아서 그냥 퇴직 연금만 넣어요. 연말 정산때 돌려 받는 것만으로도 괜찮은 투자 상품이라 생각 중입니다. 저 같은 경우 무조건 유지 하고 연금 받을 거라 상관 없지만 30대 초반 이시면 앞으로 목돈 들어가야 될 부분을 미리 잘 고려 하세요. 아직 집장만 전이고 결혼 안하셨으면 보통 추천 안합니다만 수입이 높은 편이라 적금 외에 여유가 있으신 경우라면 미리 미리 넣으시는게 좋죠.. 연금이란게 중간 해지 하면 무조건 손해입니다. 주식은 수수료 너무 신경 쓰지 마세요. 주식은 주거래 은행 별 상관 없습니다. 주거래 은행 실적 올려 주고 싶으시면 연금 저축 들어 주는걸 젤 좋아라 하는데 경험상 뭐 혜택 받을일이 거의 없습니다. 그냥 가까워서 방문 편한 곳으로 하셔도 되요.
18/05/22 15:23
2. 몇 달에 한 번 거래한다고 하면 수수료가 크게 와 닿지 않으시겠지만 그래도 장기적으로 보면 중요하고 신경쓰는 것이 좋습니다.
- 대형 증권사는 대체로 수수료가 쎕니다. 주거래 은행과 연계된 증권사라고 해서 대단한 혜택은 없습니다. - (해당 증권사에 있어서) 생애 첫 계좌 개설인 경우 상당 기간 무료 혹은 [평생 무료] 이벤트를 몇몇 증권사들이 한시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모 증권사는 이번 달말까지, 다른 모 증권사는 다음 달말까지인데, 만의 하나를 위해 일단 계좌를 터 놓으시는 것도 좋다고 봅니다. - 증권사 계좌를 한 회사에만 개설할 이유는 없습니다. 증권사마다 잘 하는 것들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증권사는 HTS가 쓰기 좋고, 어떤 증권사는 수수료가 싸고, 등등 - 은행과 달리 주거래 증권사, 이런 것이 별 의미가 없지요. - 계좌도 한 증권사에 하나만 개설할 이유가 없습니다. 서로 다른 생각 혹은 전략으로 주식 투자 혹은 펀드 투자를 한다면, 계좌가 애당초 여러 개 있는 것이 관리하기 편합니다. - 결론적으로 이벤트를 확인하셔서 수수료가 저렴한 혹은 없는 계좌를 일단 확보해 놓으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개설할 때 미리 복수의 계좌를 신청하시는 것도 좋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