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1/12 17:24:46
Name 피카츄백만볼트
Subject [질문] 고깃집 등 음식점 종사자분께 질문좀 드려봅니다.
https://pgr21.com/pb/pb.php?id=freedom&no=75403

이 글을 쓰고 피드백하던 중 마침 평소 가졌던 의문이 다시 떠올라서 질문드립니다.
직접 재료를 사다가 몇번 조리하면서 깨달은건데, 일반 음식들은 대체로 일반인이 같은 돈으로
재료 사서 조리하면 음식점의 두배 정도 분량이 나오는데, 유독 고깃집은 그 분량이 거의 4배 넘게
차이가 나더라구요. 백종원씨가 쓰신 표현을 빌리면 원가율? 그게 고깃집은 현저히 낮다고 느꼈습니다.

고기집이 무슨 독점산업도 아니고 폭리 씩이나 취하는게 가능할 리도 없으니 뭔가 산업적인 이유가
있는것 같은데 고기집이 가성비가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이유가 다른 음식점에 비해 있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1/12 17:35
수정 아이콘
그래서 고기집 사장님들이 돈이 많은가...
배글이
18/01/12 17:38
수정 아이콘
다른 음식들은 집에서 해먹기 귀찮다 재료 구하기 귀찮다 정도 선이지만
고기는 집에서 해먹으면 연기와 냄새때문에 꺼리게 되죠
그런거 걱정 없는게 하나
그리고 채소값이 꽤 비싼데
그런거 걱정없이 먹을수 있다 둘
정도 되지 않을까요
피카츄백만볼트
18/01/12 17:40
수정 아이콘
저도 이 생각은 했는데 이건 가정집에서 고기를 잘 안먹는 이유는 되겠지만 고깃집 입장에서 저 가격 밑으로 낮추기 어려워하는 이유는 아닌것 같아서요. 실제 고깃집 하다가 망한 친척분도 그렇고 동네 고깃집을 봐도 그렇고 망하기 직전까지도 가격 못내리고 망하는걸 보면, 애초에 그 정도 가격에 팔아야만 이문이 남는듯 한데 그 이유가 좀 궁금하네요.
정지연
18/01/12 17:46
수정 아이콘
회전율의 차이가 아닐까요.. 대체적으로 회전율이 높은 곳은 저렴하고 회전율이 낮은곳은 비싸거든요..
백반집은 기다리는 시간, 먹는시간 다 합쳐도 30분 안쪽에서 끝나지만, 고기집은 최소 한시간이상이니 회전률이 절반이하가 됩니다..
그럼 마진을 2배이상 늘려야 백반집과 비슷하게 수익을 낼 수 있겠죠..
피카츄백만볼트
18/01/12 17:47
수정 아이콘
아 듣고보니 설득력이 있네요. 확실히 회전률이 고기집이 훨씬 떨어지는데다가 백반집에 비해 점원도 이래저래 훨씬 자주부르는것 같으니 직원도 더 많이 필요한 느낌이고... 이게 클것 같네요.
18/01/12 18:30
수정 아이콘
찌개나 밑반찬이 많이 나오기 때문 아닐까요
이거때문에 고기집에서 비싸게 받아도 수긍이 가던데
개념은?
18/01/12 19:40
수정 아이콘
같은 장사를 해도 고깃집이 훨씬 힘듭니다. 손이 정말 많이 가서 인건비도 상당한 편이고요.
말씀하신대로 물류 마진율은 좋은편인데 결국 남는금액은 비슷합니다.
피카츄백만볼트
18/01/12 21:59
수정 아이콘
댓글들 읽다보니 이해가 좀 갔네요. 손이 많이 간다는건 저도 느끼긴 했었는데, 회전율 문제나 생각보다 비중 있는 쌈채소/밑반찬 문제 등...
짱짱걸제시카
18/01/12 19:53
수정 아이콘
1. 쌈채소랑 밑반찬 값 무시못함.
2. 잔손이 많이가는 업종이라 인원수 더 필요.
3. 노동강도가 높아서 시급 많이줘야 함.

고깃집 평균마진이 20~30% 정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4632 [질문] 컴퓨터의 전원이 잠깐 들어왔다 꺼지기를 반복합니다. [11] SevenStar3459 18/01/12 3459
114631 [질문] 부산/울산 사시는분, 월요일 오전 교통상황 여쭤봅니다 [6] Dwyane2004 18/01/12 2004
114630 [질문] 등산 중 들개 만났을 때 대처법 있을까요 ? [9] 프리템포4481 18/01/12 4481
114629 [질문] 고깃집 등 음식점 종사자분께 질문좀 드려봅니다. [9] 피카츄백만볼트3133 18/01/12 3133
114628 [질문] 수압 쎈 샤워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3] 꾸루루룩3222 18/01/12 3222
114627 [질문] 시력이 많이 나쁜데 복싱 괜찮을까요? [12] 기억의습작9532 18/01/12 9532
114626 [질문] 컴퓨터 견적 문의 [10] 정지호2686 18/01/12 2686
114625 [질문] 중고폰 구매 관련 질문드려요. [2] Sogno1423 18/01/12 1423
114624 [질문] 스텔라리스 뭘 사야 하나요? [3] 주전자5282 18/01/12 5282
114623 [질문] 옵치 지역연고제 의미가 있는 건가요? [8] Samothrace2077 18/01/12 2077
114622 [질문] 서울 공간 분리 되어 있는 회식장소 있을까요? [1] 기다1789 18/01/12 1789
114621 [질문] 스위치 일본 구매 질문입니다. [4] 정지연2128 18/01/12 2128
114620 [질문] [코인] 양지화 정책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7] 몽유도원3965 18/01/12 3965
114619 [질문] 국가직이신 분들 질문드려요. [2] 개망이2428 18/01/12 2428
114618 [질문] [코인] 상승 및 하락율 계산식은 어떻게 해야되죠? [16] 렌야2424 18/01/12 2424
114617 [질문] 개인간 자동차 중고 거래시 필요한게 어떤게있나요? [1] Lancer1642 18/01/12 1642
114616 [질문] crx마우스제스쳐가 잘 안 됩니다. [1] 안녕라비루나1909 18/01/12 1909
114615 [질문] 히오스 요새 어떤가요? [5] 유늘보2067 18/01/12 2067
114614 [질문] 보일러가 한파로 얼었습니다 도와주세요.. [12] 삭제됨2404 18/01/12 2404
114613 [질문] KT 요금제 관련 질문입니다(테더링,와이파이 에그) [5] 삭제됨2633 18/01/12 2633
114612 [질문] 강아지들 추위 타는 것에 대해 궁금합니다 [15] 캐모마일3584 18/01/12 3584
114611 [질문] [철권]ATL 시즌3 울산고딩선수가 3.3혁명급 이변을 만들수 있을까요?? [6] kogang20012533 18/01/12 2533
114610 [질문] 구형 산타페 엔진경고등 끄는 법 [4] 메피스토5946 18/01/12 594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