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2/27 20:58:18
Name 내딸채연이
Subject [질문] 이번 제천 화재사고를 보고 궁금한게 생겼습니다.
먼저 이번 사고 희생자분들을 애도하며..

이번 화재사고시에 최초 도착한 소방차가 불법 주정차 차량때문에 3~40분을 허비했습니다

CCTV를 보니 친절하게 견인차가 와서 끌고가더라구요..

혹시 이러한 상황에서는 그냥 불법 주차차량을 밀어버리고 현장 대응하기엔 후에 민원때문에 그냥 밀어버리지 못하는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페로몬아돌
17/12/27 21:01
수정 아이콘
밀어버리면 배상해줘야 한다고 합니다...-_-
내딸채연이
17/12/27 21:37
수정 아이콘
불법 주정차 차량은 밀어도 배상안해주게 바꿔야 되는 것 아닌가 싶네요..
17/12/27 21:08
수정 아이콘
국가에서 다 배상해줘야 하는데 그게 시일이 오래걸리니 민원이 전부 몰리고...
그래서 자비 배상 할수가 없으니 밀어버릴수가 없죠.
내딸채연이
17/12/27 21:38
수정 아이콘
불법 주정차는 벌금을 올리던지 해서 강력하게 할 필요가 있겠네요.. 특히나 상가 밀집지역..
17/12/27 21:42
수정 아이콘
그것보다 주차공간 확보가 안되면 건물 준공이 안되게 하는게 가장 쉬운 방법일겁니다.
소위 필로티 공법으로 만들어진 원룸이라고 해도 층당 보통 1인가구 5-6씩 들어가서 4층 5층 올리는데
층당 절반씩해도 4층같은경우는 12대 5층은 15대 주차공간이 필요한데 그 절반도 아마 채우지 못할거에요.
그러니까 노상에 불법주차가 늘어나는거죠.
17/12/27 21:11
수정 아이콘
법이 계류중이라 밀어버린다면 아마 소방관들이 돈모아서 배상하는 사태가 벌어졌을겁니다.. ㅠㅠ
트와이스 나연
17/12/27 21:18
수정 아이콘
현행법상 불법 주정차된 차량을 소방차는 밀 수는 있지만, 통상적으로 그 비용은 소방관 본인이 부담하는걸로 되어있는 말도 안되는 상황입니다..... 이를 국가가 보상하게 해주는 법안이 현재 계류중이라고 합니다.
내딸채연이
17/12/27 21:38
수정 아이콘
보상을 안해줬으면 좋겠는데 그건 안되나보네요..
17/12/27 21:41
수정 아이콘
일단 소방관이 공무원 신분이기 때문에 지금 법 상황으론 운신의 폭이 너무 좁습니다.
그래서 보다못한 시민들이 돌로 창문 깨서 사이드 풀고 밀었다는 이야기도 있죠.

그래도 관련 법 개정으로 소방관의 면책 범위가 넓혀질 예정이긴 합니다.
17/12/27 21:46
수정 아이콘
결국 국가가 얼마나 책임을 지느냐 -> 국가가 얼마나 돈이 있느냐 -> 세금이 필요하다 의 문제로 이어지긴 합니다.
우리나라는 더해서 '그런데다가 국가돈을 쓰면 강바닥은 무슨돈으로 파냐'는 함정이 섞여 있는거 같긴 합니다만..
17/12/27 21:58
수정 아이콘
1. 현재 소방관 개인의 민사책임 문제와 관련하여
소방기본법에 이런 규정을 신설하는 법안이 2017. 11. 24.자로 발의된 상태입니다.

제16조의5(손해배상청구소송의 피고)
소방공무원이 제16조, 제16조의2 및 제16조의3에 따른 소방활동, 소방지원활동 및 생활안전활동 중에 타인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 손해배상청구소송의 피고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 한다. 이 경우 소방공무원에게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이 있으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그 공무원에게 구상할 수 있다.


2. 저 법안이 발의된 시점에는 소방기본법 제16조의5라는 규정이 없었는데
2017. 12. 26.자로 소방공무원이 소방활동 중 경과실로 범죄(과실치사상 등)를 저지른 경우
처벌감경 내지 형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규정이 제16조의5로 신설되었던 바 있습니다.
이에 저 법안의 경우 조문의 순번이 뒤로 밀릴 것입니다.


3. 한편 위 법안은 국가배상법에 대한 대법원 판례이론에 따라
공무원이 고의-중과실이 있는 경우 국가(국가배상책임)와 공무원(민법상 불법행위책임)이 부진정연대책임을 지고
공무원이 단순 경과실이 있는 경우 국가만 국가배상책임을 부담함을 전제로
공무원의 과실수위는 오직 국가가 당사자가 되는 국가배상소송으로만 가리고
공무원 개인에 대해서는 민사상 조치를 취하지 못하도록 하자는 취지로 읽힙니다.
(기존 법리에 의하면 피해자가 국가-공무원 모두에게 소송을 걸어 과실수위에 대한 판단에 따라 승소범위가 갈리는 식이었음)

그런데 현재의 법안이 그러한 취지를 정확히 표현하고 있는지도 의문이고
공무원에 대한 '소송' 외 민사조치는 가능한 것으로 볼 여지도 있어 규율에 빈틈이 있어보입니다.
아마 이런 모양새로 법안을 수정해야 하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이때 소방공무원 개인에 대해 이뤄진 소 제기 등은 모두 부적법하여 각하하는 것으로 정리해야 할 것입니다.
(그런 취지를 보다 명백히 표현할 문안을 고민하거나, 최소 국회 검토보고서로 못박을 필요가 있음)

제16조의6(소방공무원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 행사의 제한)
① 소방공무원이 제16조, 제16조의2 및 제16조의3에 따른 소방활동, 소방지원활동 및 생활안전활동 중에 타인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 그 타인은 소방공무원에 대하여는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못한다.
1. 「민사소송법」에 따른 손해배상청구소송, 지급명령 신청 등의 제기
2. 「민사집행법」에 따른 압류·가압류 또는 가처분의 신청
3. 「민사조정법」에 따른 조정의 신청
4. 그 밖에 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경우에 준하는 행위
② 제1항의 경우 소방공무원에게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이 있으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국가배상법」에 따라 그 공무원에게 구상할 수 있다.


4. 한편 이렇게 문안을 손보더라도 이 법안이 헌법 제27조의 재판청구권을 침해하는 게 아니냐는 논란을 피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물론 이 법안은 기본적으로는 기존에 대법원 등에서 확립된 법리를 출발점으로 삼고 있기는 하지만
그걸 넘어서서 아예 공무원 개인에 대한 소송 등 민사조치를 가로막는 데까지 나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내딸채연이
17/12/27 22:09
수정 아이콘
상세한설명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3901 [질문] 연예인 인생역전급 케이스가 또 있을까요? [38] 트와이스정연4651 17/12/28 4651
113900 [질문] 고혈압 질문드립니다. [4] 보아남편1678 17/12/28 1678
113899 [질문] 모바일 게임 추천 부탁드려요~ [7] 0013201 17/12/28 3201
113898 [질문] 전기기사 자격증에 대해서 잘 아시는 분 계신가요? [8] 삭제됨4005 17/12/28 4005
113897 [질문] 프로그래밍 실력을 늘리는 법은 뭘까요? [36] Patrick Jane13004 17/12/28 13004
113896 [질문] 광진구에 괜찮은 횟집이 있나요? [4] 잉여의슬픔1619 17/12/28 1619
113895 [질문] 해축 자주보시는분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12] bye2335 17/12/28 2335
113894 [질문] '서울에 주유소가 몇 개 있는가?' 같은 질문의 취지는 무엇일지요...? [18] nexon5907 17/12/27 5907
113893 [질문] 영화 신과함께 관련 질문입니다.(강스포) [4] 원스2315 17/12/27 2315
113892 [질문] 헬스장 어디가 좋을까요? 집 or 회사 근처 [10] Lancer3476 17/12/27 3476
113891 [질문] 사진정리 프로그램은 어떤거쓰시나요? 기니피그1997 17/12/27 1997
113890 [질문] 숨이 자꾸 턱턱 막힙니다. [6] holland1755 17/12/27 1755
113889 [질문] 디아블로 1 하는법 [1] 삭제됨2871 17/12/27 2871
113888 [질문] 우리나라 아울렛 중에 규모는 어디가 제일 큰가요? [5] HateU11590 17/12/27 11590
113887 [질문] 이번 제천 화재사고를 보고 궁금한게 생겼습니다. [12] 내딸채연이2545 17/12/27 2545
113886 [질문] 노트북 구매 관련 질문입니다. Rorschach2317 17/12/27 2317
113885 [질문] 멜론 질문이요 [2] 린 슈바르처1608 17/12/27 1608
113884 [질문] 차량 블랙박스 고장인건가요? [1] 도도갓1636 17/12/27 1636
113883 [질문] [하스스톤] 등급관련 보상 질문 [4] 삭제됨1420 17/12/27 1420
113882 [질문] 협회나 협동조합에서 근무 해보신분 계신가요 [2] 해피팡팡1881 17/12/27 1881
113881 [질문] 동영상 재생이나 인터넷 방송 시청시 그래픽 카드의 영향을 받나요? [1] 한진오2751 17/12/27 2751
113880 [질문] 중고차구매시 연말정산관련한 질문입니다. 벼둘기2733 17/12/27 2733
113879 [질문] 노래 제목 질문 입니다 광개토태왕1172 17/12/27 117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