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2/11 22:14
i tried calling ( = to call) you [but you didn't answer] - 너에게 전화했지만 너가 받지 않았다. 라는 영어표현입니다. 미국에 나름 오래 살았지만, i tried to call you는 너한테 전화했는데 (어느 이유로 전화통화가 실제로 일어나지 않았다) 는 뜻이라고 생각합니다
17/12/12 10:04
제가 이해하기로는 한국에서 배우는 문법책에 따르면,
1. I tried to call you: 너에게 전화하기 위해 노력했다. (전화하는 것이 노력의 [목적]이긴 한데, 실제로 노력한 [행위]가 전화인지는 불명) 2. I tried calling you: 너에게 전화하는 것을 노력했다. (노력의 목적과 노력한 행위가 모두 전화) 로 직역이 되어 1, 2는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진다고 합니다. 완전히 다른 의미인지 사소한 뉘앙스 차이일 뿐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말이죠. 일단 댓글 적어주신 바에 따르면 calling을 쓰든 to call을 쓰든 문장의 뜻은 같다고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사실 예전에 미국에서 꽤 오래 살다온 지인으로부터 같은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거든요. calling과 to call에 따른 의미 차이는 [전혀] 없고, 설령 [문법적으로 엄밀히 따졌을 때] 차이가 있다고 할지라도 원어민들은 [실사용 측면]에서 차이를 두지 않기 때문에 이를 굳이 구분하여 가르치는 한국 문법책의 내용은 쓸모없다고요. 노바님도 미국에서 나름 오래 살다오셨다고 하여 한 번 질문드려봅니다. calling과 to call의 차이를 이야기하는 한국 문법책의 내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7/12/12 11:36
적으신 댓글에 답이 있네요.
[ calling과 to call에 따른 의미 차이는 [전혀] 없고, 설령 [문법적으로 엄밀히 따졌을 때] 차이가 있다고 할지라도 원어민들은 [실사용 측면]에서 차이를 두지 않기 때문에 이를 굳이 구분하여 가르치는 한국 문법책의 내용은 쓸모없다고요. ] --- 본문에 적으신 I tried to call you는 대부분 그냥, 전화했는데 안받더라? 뉘앙스로 쓰입니다. to 와 ing가 한국 문법책대로 쓰이는 경우도 있는데, 그게 꼭 책에 있다고 100% 맞는건 아니다. 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17/12/12 15:16
저도 동감입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문법이라는 개념이 제게 잡혀있기도 전에 미국에서 영어를 배우기 시작해서 [뭐가 문법적으로 맞고 뭐가 틀리다] 는 알지만 이게 "왜" 틀리냐에 대한건 설명을 전혀 할 수 없습니다.
가령 서울 한복판에서 지나가는 사람 붙잡고 문법적으로 틀린 문장을 들려주고 왜 이게 틀렸는지 말해줘라 라고 물으면 십중팔구는 문장이 틀렸다는걸 인지하지만 그게 왜 틀렸는지 문법적인 해설을 주지는 못할겁니다. 저도 비슷한 케이스구요. 하지만 여쭈어보신 to부정사와 동명사의 경우 예외적인 몇몇 단어를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단어는 의미의 차이도 없고 굳이 구분지어서 사용하지 않습니다.
17/12/11 22:30
위 노바님 코멘트에 +1하면서..
I called you도 통화가 안되었다는 의미로 하는 말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통화가 되었다면 We (have) had a call 따위로 말할 것 같아요. 일반적으로 과거형은 지금 시점 기준으로 어떤 부정(?)의 의미를 담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예: It rained - 비가 왔다 근데 지금은 그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