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2/10 14:56
한의원 가시는 것도 괜찮은 대안일 수 있겠지만, 그 전에 병원에서 검사부터 면밀히 받고 이상이 없으면 가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근육, 인대 손상 등은 초음파에서 보일 수도 있으니 그런 식으로 해서 기질적 이상이 없다는 확인부터 받는걸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물론 있다면 병원에서 그에 맞는 치료를 받아야 할 것입니다.
17/12/10 15:10
의사는 아니지만 비슷한 경험이 있습니다. 전문적인 의견을 바란건 아니실테니 쓰자면,
1. 무조건 MRI 밖에 답 없습니다. 엑스레이로 안잡히는건 뼈 문제는 아니고 근육/인대 문제일텐데 1차로 의사가 캐치못했으면 MRI 찍지 않는이상 안나옵니다. 동네에 스포츠 관련해서 본다는 정형외과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직접적인 근육손상이 아니면 어깨충돌증후군일수도 있는데 이건 그냥 시간이 해결해줍니다. 물리치료 받으면 좀 낫구요. 2. 어깨는 아니지만 발목 인대 때문에 한의원 다녔습니다. 효과는 있는데 드라마틱하지 않으니 시간이 걸렸습니다. 2주쯤 매일 다녔네요.
17/12/10 15:20
저도 저런게 오래 지속되서 MRI까지 다 받아서 확인했는데 어깨 어디가 삐져나와서 그런건데 완전 심한거 아니면 운동이 답이더라고요. 재활운동이요.
기본 3개월에 효과 보려면 6개월 이상 반복해야한다네요...
17/12/10 15:40
(수정됨) 지금 말해준 정황상 보면 유일한 치료는 휴식입니다.
호전될때까지 최대한 팔 사용하지 않으면서 진통조절하면 나아질텐데 그 전에 계속 무리하게 스트레칭하거나 무거운 물건 들면 악화만 될겁니다. 한의원이나 신경외과를 추천하는 댓글들이 있는데 한의원은 노코멘트, 신경외과는 어깨와 관련된 치료를 하는 과는 아닙니다. 정형외과 또는 통증의학과 진료를 계속 보시면 될것같네요. mri로 병변이 확인된다고 해도 휴식으로 치료하고 진통조절하는 것 외에는 없어보입니다. 아무튼 위에쓰여진 글로 유츄할 수 있는 결론은 유일한 치료는 휴식입니다. 아픈 자세를 피하시고 최소 2주이상은 조심하시면서 생활하시면 나아질겁니다.
17/12/10 16:36
(수정됨) 정확히 알려면 mri 찍어보시는게 답이긴 한데 사실 심한 증상 아니면 굳이 찍어볼 필요는 없어요. 판단이야 의사분이 하시겠지만...
그런상황이 아니면 사실 찍어서 확인하나 안하나 치료는 똑같습니다.
17/12/10 17:27
어깨 염증이 있어서 인대까지 손상됐던 경험에서 말씀드리면 팔을 들때 통증이 느껴지지 않는데 6개월쯤 팔을 예전만큼 들 수 있는데 1년 넘게 걸렸습니다..
정형외과에서도 딱히 해 줄 수 있는게 없었습니다.. 그냥 안 쓰고 쉬는게 답이었지요..
17/12/10 23:31
재활과 가시는것을 추천합니다. 저는 무릎때문에 고생을 오래 했는데 X-ray, MRI에는 문제가 없었던것을 재활하면서 많이 호전시켰습니다.
재활과도 의사마다 다른 경우가 많아서 혹시 안되더라도 두세군데 가보시는것도 괜찮을듯 합니다.
17/12/11 14:48
정형외과 한의원 시술이 병변부를 자극한다는 유사점이라...전혀 아닌것 같은데요?
저번 충격으로 생긴 회전근개 쪽 이상이거나 충돌증후군 가능성이 있어보이니 MR도 좋지만 일단 초음파 가능한 병원 가서 신체.검진과 초음파로 진료 보세요 충돌 증후군이면 활약낭 주사 놓으면 어느정도.해결이.될것이고 초음파로 충돌증후군 소견이.안보이거나 인대에ㅡ문제가 있어보이면 그걸로 진단이.되거나 MR 권유 할겁니다
17/12/11 21:25
위에도 비슷한 의견이 있지만 저도 휴식이 치료라 생각 됩니다.
보통 괜찮나 확인해 보려고 일부러 통증이 발생하는 자세를 취해보는 경우가 많은데, 그러면 통증이 더 오래갑니다.
17/12/12 00:43
엑스레이를 잘못찍어서 금간게 안나왔을 수 있습니다. 저희 어머니가 교통사고로 병원에 입원해있을때 같은 병실의 환자가 그런경우였어요. 사고 후 완치됐다고 병원에서 했지만 막상 본인은 한쪽 발등이 너무 아파서 못걷겠어서 회사도 휴직하고 남자친구가 엎고 다닐 정도였는데 검사하면 아무것도 안나왔었거든요. 그러다 치료 잘한다는 병원와서 검사했더니 발등에 금이 간걸 발견했대요. 발견 쉽지않은 부위는 그런 오진이 발생하나봐요. 스포츠 선수들이 골절당했을때
치료 하는 병원 가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