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1/23 12:20
(수정됨) 3년까지는 약 두배정도?
기름값이야 비슷하고 소모성부품이야 보증내에서는 무상교환가능하니까요. 보험료는 사람마다 다르니 그냥 손쉽게 가상견적사이트에서 본인 정보 넣고 x3넣고 견적받아보시면됩니다. 아마 보험료가 약 2배정도 나올거같네요. (투싼이 한 50~60나오는 분이라면 x3는 한 100~120정도 나오실듯합니다. ) 3년 이후는 케이스바이 케이스인데.. 소모품은 사설 이용해도 투싼보다 많이 비싸긴합니다. 소모품 이외 주요 부품이 고장나면 한번 고장날때 몇백씩 깨진다고 보시면되요. (근데 이것도 복불복이라 고장안나는 분들도 있음..)
17/11/23 13:01
감사합니다. 그럼 3년까지 2배라고 하신건 보험료 때문이라고 보면 될까요? 그리고 소모품 외의 부품 고장률이 다른 차보다 높은 건 아니겠죠? 운행거리가 적어서 그런지 몰라도 투싼 7년 타면서 엔진오일, 필터류 외엔 정비해본적이 없어서요 ^^
17/11/23 13:12
네. 2배정도라고 한건 제일 크게 나가는 보험료 때문이고,
소모품이야 X3가 보증내 무상교환이긴한데, 투싼 엔진오일 필터 교환비용 해봐야 주행거리에 따라 다르겠지만 거의 1년에 한번정도 수준이고 10만원 언더라 큰 차이 없습니다. 손세차를 맡겨도 외제차라서 돈 더 받는 등 여차저차 돈을 더 쓸 구석이 알게 모르게 있습니다. 비엠이 고장률이 다른차보다 높다거나 낮다거나 하는건 통계를 보지 못해서 모르겠지만, 고장이라는건 복불복이라서 쉽게 예판할 수 없네요.
17/11/23 13:30
x3이 디젤인가요? 고급유 주유해야하는 차종이 아니면 유류비는 비슷할 겁니다. 보험료가 좀 오를 겁니다.
유지비는 체감상 그렇게 차이 안 날 거고요 대신 사고났을 때 돈이 좀 듭니다. 차종은 다르지만 이번에 범퍼 긁어서 교체했더니 180만 원 나오더군요.
17/11/23 13:40
저는 딱히 국산이랑 차이를 못 느끼겠습니다. 볼보 xc90 타고 있는데 엔진이 2000cc 미만이라 세금은 오히려 적게 나오고, 연비 괜찮고, 보험은 제가 잘못하면 제 돈 내고 고칠 생각에 자차를 안 들었거든요. 참고로 서비스는 5년 10만으로 알고 있는데 BMW도 마찬가지일꺼에요.
17/11/23 15:29
(수정됨) 10년 타신다고 하시니 적어봅니다.
제가 수입차 10년 훨 넘게 타고 있는데, 보증기간 끝난 후 수리비/유지보수비만 3000만원 이상 들었습니다. 고장도 몇 번 안 났어요... 차들은 튼튼하게 잘 만들어서 고장 잘 안나고 동호회 다른 차들 대비 정말 고장 안 난 편이라 운도 좋았고 났던 고장도 별 것들 아니었고 또 고쳐 주면 다시 잘 다니고 하니 그건 좋은데, 문제는 정말 사소한 거라도 한 번 고장 나면 백수십~몇 백만원 금방 깨집니다. 정식 사업소 기준 아니고 단골 정비소에서 제 차 잘 봐주시는 데도 그렇습니다. 보증기간 끝나는 순간 수입차 유지비는 국산차랑은 절대 비교조차 되지 못합니다. 12만km 정도 넘기 시작하면 언제 어디가 고장나도 이상하지 않구요, 미션 오버홀이라든지 엔진 누유라든지 하체 부싱이라든지 반드시 손봐야만 하는 부분도 생깁니다. (운좋게 수리하지 않는다는 일은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남들보다 더 많이 고치냐 아니냐의 문제일 뿐이지.) 운이 좋으면 돈은 많이 들어도 즐겁게 타겠지만, 운이 없으면 스트레스 받아서 차 팔 정도이니 잘 생각해보세요.
17/11/23 16:31
고장/사고 같은 특수한 경우 제외하고는 차이 거의 없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고는 뭐 복불복이고.. 고장은 뽑기 운 오래되서 고장나는거는... 보통 그 전에 차를 바꾸죠
17/11/23 19:44
(수정됨) 실사용기준만 말씀드릴께요.
520d와 z4를 타다 얼마전 520d를 떠나보냈는데, 미션같은 경우 30만 쯔음가면 한번 갈아줘야 합니다. 부품값이 상대적으로 더 들긴 하는데 엔진오일교체같은 메세지가 제때 갈아주기만 하면 큰 수리비는 들지 않았습니다. bmw의 경루 연비가 의외로 꽤나 잘나오는 편이라 고속도로 기준으로 520d는 1리터당 24전후, z4는 일반 휘발유로 시속 120~130 유지시 13전후로 연비가 나왔습니다. 520d는 사정없이 풀악셀 밟고 다녀도 10키로는 넘게 연비가 나와줍니다. bmw가 쓰는 zf미션이 2단부터 락업이 걸려 효율이 좋아서 힘도 좋고 연비도 좋더라구요. 일단 무게배분도 bmw가 기가막히게 잘 조절해놔서 모든 차종이 바퀴별로 25%씩 무게가 들어가니 투싼같은 전륜차와 똑같은 브레이크를 써도 덜밀립니다. 예전에 물이 도로에 콸콸 쏟아짐 + 그걸 코너 에서 발견 + 근데 또 급내리막길 + 속도 120이상에서 급브레이크 + 2차선에 차있어 여유공간 전혀없음. 이런 상황이 연출된 적이 있었는데, 뒷바퀴가 끌리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근데 다행히 휘청일려는걸 잘 잡고 안전하게 갔어요. 투싼 같이 앞에 엔진미션 다있어 앞이 무거운 차였으면 100% 밀리면서 옆차와 사고났을껍니다. 법인명의라서 비교차량으로 코란도스포츠, 포터2, 프라이드, 폭스바겐 투아렉, 벤츠 gle,레인지로버, z4, 520d를 타보았는데, 전부 최소 500km 주행이상,3일이상 타보았습니다 확실히 유지비가 더 들더라도 내가 살수 있고, 유지비를 커버할수 있으면 무조건 내구성이나 안전성에서 외제차를 타는게 낫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집도 그렇지만, 차도 분명 돈값을 한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17/11/23 23:46
답 주셔서 감사합니다. 10년 풀로 타더라도 주행거리는 7만을 안넘길거 같아요. 연 5천킬로를 넘어본 적이 거의 없거든요. 속도 내는 거 좋아하긴 하는데 운전 신경써서 하는 편이라 차 관리 잘할 자신도 있어서 접촉사고만 당하지 않으면 엔진오일, 배터리, 타이어교체 말고는 정비소 들어갈 일 거의 없지 않을까 하는 예상과 희망이 있네요. 지금까지 탔던 현대차들은 그래왔습니다. ^^;
차는 10년 채우기 전 8~9년 사이에 바꾸려고 하는데, 그 사이에 자잘한 수리비가 몇 천 깨진다면 완전 부담이긴 하네요. 7년간 5~6만 정도 타는 수준이라도 그 사이에 수리비가 천만 단위로 나오려나요?
17/11/24 09:44
저는 Z4와 520D, 투아렉을 케어했는데, 520d기준으로는 2011년 봄부터 올 가을까지 만 6년동안 대략 500~700정도 들었습니다.
Z4는 5년정도 되었는데, 이것은 대략 400~500만원 들었습니다. 투아렉은 12년 탔는데 이건 800만원 전후로 들었네요. 차마다 복불복이 있어서 뭐라 말은 못하겠지만, 저는 대략 이정도 되었습니다.
17/11/24 12:08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외제차는 입고하면 아무리 작은 거라도 기본 100은 깨진다더니 유지비가 세긴 하네요. 5~6년 타신 차량들은 주로 어떤 이유로 정비하신 건지 여쭤도 될까요?
17/11/24 15:41
(수정됨) 엔진오일, 브레이크 디스크와 패드 같은 기본적인 걸 했습니다. 가솔린엔진은 점화플러그도 포함했고...라이트 불이 않들어와 바꾼것같은 기본적인거였어요.
다만 특이사항으로 z4는 문 열리고 닫히는 감지센서가 고장난게 있었네요. 이건 아직 않고쳐서 금액이 얼마인지는 모르겠습니다. 520d는 28만 탔는데, 미션이 30만전후로 갈아야한다 해서 몇달전 중고로 팔아버렸네요. 그게 300만원 정도 했던것 같은데...몇달 되서 기억이 않나네요. 사고나서 범퍼 교체한 것, 돌이 날아와 앞유리창에 금이 가 유리창을 간 것을 빼면 전 다행히 고장이 없었네요. 다 0:100으로 나와 별 문제는 없었는데, z4의 경우 앞유리창 교체하는데 120만원 든다고 하더군요. 엔진오일이나 타이어같은 건 법인명의라 돈문제는 사실 별문제 않되서 좀 좋은걸로...껴서 덮들인거지 아껴서 썻으면 훨씬 줄일수 있다고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