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0/12 12:41:34
Name 고분자
Subject [질문] 구청에서 내부 공문이 법령을 우선하나요?
우선 법적으로 사용하지는 않을 겁니다 여기 계신 분들의 생각이 궁금해서요.

예를 들어 특정한 서울특별시 법령이 있는데,
해당 법령에 없는 조항/조건을 구청 공고(홈페이지 또는 게시판)또는 법령 개정 없이 구청 내부적으로 공문을 받아 기준삼아 일처리를 한다면
해당 경우에는 법령에 명시된 조항/조건보다 공문이 우선하는건가요?
일처리는 공무원 즉 사람이 하는거니까 상사 지시를 따르는게 맞아보이기는 한데요...
이런 경우가 흔한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최종병기캐리어
17/10/12 12:53
수정 아이콘
법령이 없거나 모호한 경우, 행정해석을 통해 구체화되나, 어디까지나 법의 행정적인 해석이기에 바뀔수도 있고 구속력도 강하지는 않습니다.

정상적인 루트(훈령, 공문 등)으로 지시된 사항이라면 이행하는게 맞다고 봅니다.(특히 공무원사회라면....)
하루빨리
17/10/12 12:56
수정 아이콘
상식적인 선에서 이야기 하자면, 법령에 있는데 공문에서 (법 취지와 맞지 않게) 달리 적용하는 것이라면 내부 공문이 법령을 우선한다고 문제제기 할 수 있는데요. 그게 아니라 법령에 없는 건을 공문으로 기준 삼는다는 건 내부 공문이 법령을 우선하는 형태가 아닙니다. 애당초 법이란 건 법률로서 정해진 경우가 아닌 것은 법률로서 처벌하거나 불법이라고 할 수 없어요. 예외적인 경우는 법에 적어 놓습니다. (예를 들어 헌법에서 이야기하는 자유권적 기본권은, 헌법에서 열거하지 않은 자유까지도 보장하고 있죠.)
하루빨리
17/10/12 13:07
수정 아이콘
본문과 관련 없는 이야기입니다만, 쓰다보니 생각나서 적습니다.
법은 헌법>법률>명령>조례>규칙 순으로 되어있고 하위법이 상위법을 침해하면 안된다고 배우잖아요. 그래서 국회에서 법률을 만들때 구체적으로 만드는게 아니라 다소 추상적으로 만들고, 명령(시행령)에서 이 법률을 구체화 시키는데요.
근데 이렇게 법률을 추상적으로 만들고 나니깐 법률의 취지에 맞지 않게 시행령을 만들어도 이게 시행령이 법률을 우선한다고 보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행정부는 이런 경우를 이용해서 국회 법률안의 취지와 다르게 법해석을 해서 시행령을 만들어 적용해왔었죠.
이런 행위를 막으려고 2015년에 '상위법을 침해하는 시행령 제정을 규제하는 국회법 개정안'을 만듭니다만, 박근혜 당시 대통령이 거부권 행사를 했죠;;;
고분자
17/10/12 13:25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그렇게 생각 할 수도 있겠네요~
17/10/12 13:36
수정 아이콘
내부에서 사무전결기준에 따라 계획서를 만들고 그에 따라 일을 처리합니다. 이 계획서를 흔히 '방침'이라고 표현하죠.
법령에 우선하는 게 아니라, 법령의 테두리 안에서 세부적인 집행계획을 세우는 개념으로 보시면 됩니다.

아주 간단한 예를 들면, 민간인 초청 행사를 할 때 특정한 예산과목 하에서 1인당 식대는 7천원 한도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계획서를 세울 때, 1인당 식대를 9천원으로 잡는다면 이건 법령에 위반되는 사항입니다. 하지만 6천원으로 잡는다면 법령의 테두리 안에서 적법한 예산집행 기준이 되는 거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0272 [질문] 안양 주차장 완비된 식당 해주세요 [1] 타키쿤1530 17/10/12 1530
110271 [질문] (나눔) ebs 스페이스 공감 표 [2] 起秀1702 17/10/12 1702
110270 [질문] 인터넷으로 지갑을 샀는데 환불을 할까요 말까요 [11] 푸들은푸들푸들해3033 17/10/12 3033
110269 [질문] 프로그래밍 파이썬 관련 질문입니다 [5] Python2026 17/10/12 2026
110268 [질문] 런치타임 뷔페 혼밥 어떠신가요? [23] 포이리에9481 17/10/12 9481
110267 [질문] 서울 보드게임방 추천부탁합니다. [9] 기희현3958 17/10/12 3958
110266 [질문] 배그 스탯 질문입니다. [5] 교자만두2464 17/10/12 2464
110265 [질문] 오디오(음성) 편집 프로그램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오토나시 쿄코3713 17/10/12 3713
110264 [질문] 면접시 어려운 질문, 성공 노하우 [13] 당신은누구십니까2650 17/10/12 2650
110263 [질문] 우취일경우 플레이오프 일정? [4] 유아린2121 17/10/12 2121
110262 [질문] 월세계약만료 [9] finesse2221 17/10/12 2221
110261 [질문] 영화 배급사 오프닝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3] patio1780 17/10/12 1780
110260 [질문] tv 구매 질문(추천요청) [1] The.Scv1593 17/10/12 1593
110259 [질문] 금주 롤드컵 스포없이 보는 법(스포티비) 문의드립니다. [5] StarLoL사랑1722 17/10/12 1722
110258 [질문] 인터넷에서의 네티즌 문화. [12] StarLoL사랑2595 17/10/12 2595
110257 [질문] 서울에 3달 정도 짧게 머물려는데 어디서 지내는 게 나을까요? [6] 삭제됨2719 17/10/12 2719
110256 [질문] 금주 롤드컵 스포없이 보는 법(OGN) 문의드립니다. [6] LG twins1877 17/10/12 1877
110255 [질문] 차알못이 질문드립니다. (QM3) [7] 소녀시대2758 17/10/12 2758
110254 [질문] 초 고화질 블박 추천 부탁 드립니다. [3] 도시의미학3340 17/10/12 3340
110253 [질문] 게임 한판하고 나면 팔,어깨가 너무 아픕니다 [11] ...And justice2947 17/10/12 2947
110252 [질문] 구청에서 내부 공문이 법령을 우선하나요? [5] 고분자2624 17/10/12 2624
110251 [질문] 게임 관련 인터넷방송시, 상대의 동의 없이 이를 방송으로 내보내는건 문제 없는걸까요? [17] 펩시콜라5876 17/10/12 5876
110250 [질문] [월세집] 집주인 행패??에 대처 할수 있는 방법은?? [5] 삭제됨2867 17/10/12 286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