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0/11 18:55:47
Name 대관람차
Subject [질문] 갭투자와 부동산 관련 기초지식
근래에 한 3년간 개처럼 벌고 정승처럼 써서 모아놓은 여윳돈이 있습니다만 제가 나이가 어린 편이고 세상 물정을 잘 모릅니다.
어머님께서 제가 모아놓은 돈과 부모님이 모은 돈을 합쳐 부동산 투자하자고 제안하셨는데요,
이러저러하다 설명을 하셨지만 나중에 찾아보고서 그것이 갭투자의 사전 정의 그대로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어머님은 부동산 경기에 비교적 낙관적인 편이라 완전 좋은 재테크라며 저를 꼬시지만
아무래도 저는 이게 전 재산이고 저의 첫 투자인데다 적지 않은 돈이다보니 신중하게 접근하고 싶습니다.
물론 갭투자의 전망에 대해 궁금하기도 하지만 아는 것이 전혀 없다 보니 부동산 쪽 기초지식을 스스로 공부해보고 싶기도 한데
적당한 방법이나 경험이 있으시다면 저보다 사회경험 많으신 분들의 추천을 부탁드리겠습니다.
미리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던져진
17/10/11 19:19
수정 아이콘
갭투자는 기본적으로 부동산 가격의 상승을 전제로 짜는 전략이고

여기에 LTV, DTI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부동산의 가격 변동과 정부의 정책에 따라 널뛰기를 할 수 있는 요소이죠.

잘 될 때야 잘 될 수 있겠지만 안 될 때를 생각해보면 좋은 투자 전략일지는......
StayAway
17/10/11 19:35
수정 아이콘
아직 젊으시고 고정 수입이 있다면 해볼만한 투자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모든 투자는 리스크가 따르는 거니까, 남들 따라 투자하는 건 의미없구요.
스스로 공부하고 판단해서 투자하는 그 과정이 의미가 있다는겁니다.
어차피 우리나라에서 재테크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부동산과 직간접적으로 상당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데
크게 성공을 못하거나 평타를 치더라도 같은 또래의 사람들에 비해서 빨리 경험한다는 측면에서 더 그렇구요.

최악의 경우 금융비용이나 부동산가치 하락에 의한 투자손실이 있을수도 있는데,
주식이나 다른 사업 등에 비하면 그 손실의 폭이 크다고는 볼 수 없습니다. 원래 투자란게 리스크가 있으니까요.
완성형폭풍저그
17/10/11 21:01
수정 아이콘
최근 부동산규제 상황을 보면 갭투자하기 최악인데.. 고민 많이 해보시고 결정하세요.
17/10/12 11:32
수정 아이콘
일단 어머님과 세대분리가 되어있고 무주택자신가요?
그러면 금번 8.2대책에는 별 영향이 없을 겁니다.

어느 지역인지는 모르겠지만 서울인데 갭투자를 고려하는 것 이라면 전세값이 LTV보다 높을 가능성이 거의 100%고요.
매수물건의 지역이나 상태에 따라 천차만별이라 수익률이 어떨거다라는 답은 어렵고..

부동산 투자는 금액도 크고 매수부터 매도까지 호흡이 긴 투자이기 때문에 첫투자가 매우 중요합니다.
주변에 부동산에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이리저리 알아 보는사람들은 대부분 첫 부동산 구매가 성공적인 사람들이더라고요.
반면이 실패하면 손절매를 하던가 손절매를 하려고 해도 안팔리는 경우도 많은데 이러면 자연히 매도 기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부동산 투자에 대한 개인인식도 안좋아지고 그 다음부터는 관심도 안가지는 사람도 봤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0262 [질문] 월세계약만료 [9] finesse2221 17/10/12 2221
110261 [질문] 영화 배급사 오프닝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3] patio1780 17/10/12 1780
110260 [질문] tv 구매 질문(추천요청) [1] The.Scv1593 17/10/12 1593
110259 [질문] 금주 롤드컵 스포없이 보는 법(스포티비) 문의드립니다. [5] StarLoL사랑1722 17/10/12 1722
110258 [질문] 인터넷에서의 네티즌 문화. [12] StarLoL사랑2595 17/10/12 2595
110257 [질문] 서울에 3달 정도 짧게 머물려는데 어디서 지내는 게 나을까요? [6] 삭제됨2718 17/10/12 2718
110256 [질문] 금주 롤드컵 스포없이 보는 법(OGN) 문의드립니다. [6] LG twins1876 17/10/12 1876
110255 [질문] 차알못이 질문드립니다. (QM3) [7] 소녀시대2757 17/10/12 2757
110254 [질문] 초 고화질 블박 추천 부탁 드립니다. [3] 도시의미학3340 17/10/12 3340
110253 [질문] 게임 한판하고 나면 팔,어깨가 너무 아픕니다 [11] ...And justice2946 17/10/12 2946
110252 [질문] 구청에서 내부 공문이 법령을 우선하나요? [5] 고분자2622 17/10/12 2622
110251 [질문] 게임 관련 인터넷방송시, 상대의 동의 없이 이를 방송으로 내보내는건 문제 없는걸까요? [17] 펩시콜라5873 17/10/12 5873
110250 [질문] [월세집] 집주인 행패??에 대처 할수 있는 방법은?? [5] 삭제됨2867 17/10/12 2867
110249 [질문] 아일랜드와 카탈루냐의 차이점이 어떤건가요? [9] 뽀유2549 17/10/12 2549
110248 [질문] 소규모 빵집 유지가 되나요? [11] 나른한오후3487 17/10/12 3487
110247 [질문] 블랙박스 설치 관련 질문입니다! [7] 수지2507 17/10/12 2507
110246 [질문] 롤드컵 질문입니다. [2] StarLoL사랑1683 17/10/12 1683
110244 [질문] 직장 내 사원의 부고가 생길 경우에 대해 [1] 나이스데이2267 17/10/12 2267
110243 [질문] 모음 없이 어떻게 발음이 되나요? [19] 성동구3304 17/10/12 3304
110241 [질문] 연예인 같은데 누군가요? [9] 레너블3419 17/10/12 3419
110240 [질문] 부산 먹거리 / 쇼핑 / 병원 질문 드립니다! [5] 삭제됨1627 17/10/12 1627
110239 [질문] 글을 찾습니다. (20대 남성/여성 거주지역 통계) 이수현이해인1666 17/10/12 1666
110238 [질문] 피파시리즈가 지금처럼 카드뽑기 게임이 된게 언제부터인가요? [6] Skyfall3560 17/10/12 356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