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0/11 16:29:04
Name 자몽
Subject [질문] 연금저축 or 종신보험 관련 질문..

제가 재테크에 무지하다 보니 입사 초기에 연금저축을 들어놓은 게 2~3개 있습니다.
중간 해지 생각은 인생에 큰 변화가 있지 않는 한 별로 생각하고 있지 않았고 순수하게 노후 보장 목적이었습니다.

지금 한 5~8년 정도 지났는데, 그 중 5년 된 거 관련해서..
다른 생명사에서 자기네 종신보험으로 옮기면 어떤 이득이 있고 어쩌고저쩌고 하면서 연락이 와서
설명만 들어서는 손해보는 건 별로 없는 거 같길래 일단 하는 걸로 했는데요.
해지 환급금을 확인해 보니 거의 원금 100%는 되긴 하더라구요. 이자 같은 거 생각하면 손해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근데 막상 해지할려고 생각해 보니.. 종신보험 드는 게 맞는 건가 싶어서요.
KDB 오래오래알뜰종신보험이라고 하고.. 5년은 선납으로 해준다고 하네요.
이전 거 옮겨놓는 거라 일부 금액을 일시불로 내는 개념인 거 같습니다.

소심해서 공격적인 재테크는 못하구요, 그냥 모아서 노후 대비나 하자 그런 주의인데요,
저런 상황이면 그냥 저대로 진행해도 괜찮을런지 모르겠네요.
혹시 이런 쪽 잘 아시는 분 계시면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순둥이
17/10/11 16: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종신보험 비추합니다.
그걸로 펀드나 적금 등 다른 투자 하시길...정 불안하시면 그냥 실손보험쪽 드시던지요.

연금저축은 너무 장기라서...게다가 이미 몇개 있는데 또 하실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17/10/11 18:03
수정 아이콘
역시 비추군요;; 장기인 건 상관은 없고 기존 거 옮겨타는 개념이라 또 하는 건 아니긴 한데... 뭔가 찜찜하긴 했어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17/10/11 16: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생명 or 화재에서 하는 연금보험 연금저축 절대 들지 마세요. 공시이율 주지도 않지만 공시이율에 사업비로 뜯어가는건 전혀 표시하지 않아 뻥튀기인데다가 해지 위약금은 겁나게 높아서 절대 드시면 안됩니다. 은행 장기저축을 하시는게 무조건 더 좋습니다.

정말 드셔야 하시겠다면 매년 400만원까지만 불입하도록 개인연금상품 설계하셔서 그거만 드세요. 연말정산할 때 불입분에 대해 12% 공제 해주는거만 보시는게 낫습니다.
17/10/11 18:03
수정 아이콘
벌써 3개 정도 있는데;; 왠만하면 해지 안 하려고 하고 있어서 위약금은 신경 안 씁니다만..
아무튼 답변 감사드립니다.
신중하게
17/10/11 17:30
수정 아이콘
결혼하신분이면 나쁘진않을듯합니다
17/10/11 18:04
수정 아이콘
결혼은 안 했고 앞으로도 할 생각은 없습니다. 결혼했을 때 좋은 이유가 뭔지 여쭤봐도 될까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나이스
17/10/11 18:25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부양해야할 가족이 생기니까 그런것 같습니다. 혼자 살다가 가면 상관 없지만, 가족을 이루고 살다가 가면.. 남은 가족들에게..
17/10/11 17:31
수정 아이콘
해지 환급금이 100% 면 연금인데, 종신보험으로 갈아탄다는게 무슨 얘긴가요?
보험사의 금용상품은 저축성인 연금류 와 보장성인 건강보험류로 나뉘구요. 연금류는 10년 이상 부으면 복리가 어쩌구 그런거구요.
건강보험은 다쳤을때나 장애판정 받거나 크게는 사망했을때 나오는 보험이죠. 쉽게는 죽을병 걸렸을때 치료라도 함 해보자.. 목돈
필요하다면 .... 그때가 딱 보험이 필요한거죠.

연금 -> 종신보험... 굉장히 이상한 얘기구요. 개인적으로 종신보험 하나 정도는 나쁘지 않다고 보지만, 저렇게 이상하게 가입하는건
정말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좋은 설계사 만나는게 쉽지 않군요. 에효...
17/10/11 18:05
수정 아이콘
연금 쪽도 연금보험입니다. 12년 납인가 그런데 지금 5년 된 거구요.
종신보험도 연금 전환 가능한 것으로 설명은 들었고 납입금은 동일한 데다가 일시불이 뭔가 혜택이 되어서 암튼 이득이라고 듣긴 했는데.. 찜찜하긴 하더라구요. 역시 좀 아닌 걸까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17/10/11 17:32
수정 아이콘
종신보험은 비추합니다.
연금보험은 혹시 회사에서 일정금액을 지원해주는 그런 연금보험 들었으면 계속 유지하시길 추천합니다.
17/10/11 18:07
수정 아이콘
회사에서 가입되어 있는 건 있구요, (50% 지원) 개인적으로도 든 게 몇 개 더 있습니다;;
본문에 썼다시피 대부분 오래된 거라 해지해도 크게 손해볼 건 없긴 한데.. 길게 보고 한 것인 데다가 납입금이 부담되는 정도는 아닌데 그래도 해지하는 게 나을까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17/10/11 19:24
수정 아이콘
아 역시 회사지원이 있는거군요 그거는 계속 들어야 됩니다.
연금저축이 안좋은것이 극단적으로 예를들면

내돈 10만 넣으면 사업비로 1만 뗌
결국 10만이 아니라 9만원으로 투자하는 셈
비추

근데 회사지원이라면
내돈 5만 + 회사 5만 넣어서 사업비 1만뗌
결국 5만원으로 9만원 투자하
위원장
17/10/11 17:38
수정 아이콘
연금저축은 세액공제용이니까 연 700(?)만까지는 드셔도 좋을겁니다.
종신은 들고 싶으시면 나중에 부양가족 생기면 드세요.
17/10/11 18:08
수정 아이콘
세액공제용은 이미 한참 넘었습니다.. 흐흐
종신은 모두들 비추하시는군요. ㅠㅠ 답변 감사드립니다.
17/10/11 19:06
수정 아이콘
들고 있는거 몇년됐는데.해지하라고 하는 사람이 제일 나쁜 사람이니까 무시하시면 됩니다. (든지 얼마 안된거면 모르겠지만)
보험은 무조건 옛날께 좋습니다.
17/10/12 13:23
수정 아이콘
보험 대리점을 운영 중인 현직 FC입니다.
본문 내용들으니 어떤 플랜인지 알겠는데...
저는 만류하고 싶습니다.

사실 플랜 자체는 그리 나쁘지 않은데,
정확한 정보와 플랜을 설명하지 않았고, 아마 거짓말도 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전문가와 상담 이후에 결정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해당 플랜은 정확한 설명이 수반되지 않으면, 불완전 판매에 해당되며
고객에게 피해가 고스란히 전해질 수 있는 내용이라서 완전한 설명과 신뢰가 중요한 내용입니다.

번외로
종신보험의 본래 목적에 대해서는 찬반 양론이 존재하지만,
요즘 젊은 층에게 종신 보험을 권하는 경우는 본래 종신보험의 목적보다는
최저보증 금리가 높다는 부분과 연금 전환 부분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데
정확한 정보와 플랜을 이해한 고객의 경우에는 충분히 해볼 수 있는 플랜입니다.
다만, 이 부분을 [정확하게] 설명받거나 이해하지 못하셨다면 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이미 기존에 있던 보험을 해약해서 새로 가입하는 부분은 특히나 잘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0225 [질문] 조립컴퓨터 구매하고 싶은데 아는게 없습니다! [15] 3345 17/10/11 3345
110224 [질문] 차량 선택 고민입니다. [10] 첫걸음2947 17/10/11 2947
110223 [질문] 카카오뱅크 비상금 대출 질문입니다. [3] 코왕2873 17/10/11 2873
110222 [질문] 홈키파등 뿌리는 모기약 효과 있긴 한가요? [15] 피카츄백만볼트11464 17/10/11 11464
110221 [질문] IOS에서 윈도우 공유폴더 접속하는 법 있나요? [2] 하루일기7169 17/10/11 7169
110220 [질문] 왜 아시아에선 흑사병이 없었던 것일까요??? [23] 모어모어10231 17/10/11 10231
110219 [질문] 야나두 해보신 분 계신가요? 어떤가요? [2] 즐겁게삽시다3059 17/10/11 3059
110218 [질문] 전세대 그래픽 카드에 대해서 [6] 삭제됨2277 17/10/11 2277
110217 [질문] 30대 중반 남성의 피부관리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6] TiKei3131 17/10/11 3131
110216 [질문] 전세계약과 보증금 관련 문의입니다. [4] 강희최고2004 17/10/11 2004
110215 [질문] 씽크대 아래에 이 부품을 뭐라고 부르나요? [4] 샨티2028 17/10/11 2028
110214 [질문] 혹시 경상도 사투리 잘 아시는분 계신가요(생선 이름 관련) [2] 리나시타2485 17/10/11 2485
110213 [질문] 노량진 수산시장 회 조합과 좋은 집 추천해주세요! [5] 글라소에너지1995 17/10/11 1995
110212 [질문] 통계학 강의나 도서 질문드립니다 [1] Challenger913 17/10/11 913
110211 [질문] 갭투자와 부동산 관련 기초지식 [4] 대관람차1324 17/10/11 1324
110210 [질문] 욕설 관련 모욕죄 고소 시 피의자 특정은 어떻게 하나요? [6] Aquaris3832 17/10/11 3832
110209 [질문] LCHF 식단 이렇게 해도되나요? [33] Demi7472 17/10/11 7472
110208 [질문] 트위치 스트리머 재방송 시청하시는 분들께 하나 여쭤볼게 있습니다. [13] 보로미어5510 17/10/11 5510
110207 [질문] 입맛 없는 아버지를 위한 음식 추천해주세요. [14] 주여름1929 17/10/11 1929
110206 [질문] [시사회] '부라더' 같이 보러가실분 [8] 마인부우1770 17/10/11 1770
110204 [질문] 매연수리와 폐차로 고민중입니다. [6] kogang20011859 17/10/11 1859
110203 [질문] 연금저축 or 종신보험 관련 질문.. [16] 자몽2717 17/10/11 2717
110202 [질문] 컴퓨터 고장 좀 질문합니다. [3] 알트라1316 17/10/11 131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