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9/29 10:17
한 명제의 전제는 그 명제가 참/짓의 가치를 가지는 한 언제나 참이 되는 명제입니다.
가령 a)프랑스 왕은 대머리이다 b)프랑스 왕은 존재한다 에서 a가 참이든 거짓이든 b는 참입니다. 프랑스 왕이 대머리든 아니든 간에 프랑스의 왕은 존재한다는 뜻이 되기 때문입니다. (프랑스의 왕은 대머리이다/프랑스의 왕은 대머리가 아니다 두 문장 전부 프랑스의 왕이 존재한다는 것을 전제한다는 뜻) 반면 함의는 한 명제가 거짓인 경우 참/거짓의 가치를 가지지 못하는 명제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뭔 말이냐면 어떤 명제가 거짓인 경우, 다른 명제가 참인지 거짓인지 알 수 없을 때라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서 a)그 사람은 총각이다 b)그 사람은 남자다 라고 했을 때, 그 사람이 총각이 아니라면(a가 거짓이라면) 그 사람이 남자인지 여자인지 모른다는 거죠.
17/09/29 10:58
철수가 영희에게 돈을 갚지 않았을 경우에는 철수가 영희에게 돈을 애초에 안 빌려서 안 갚은 것인지, 돈을 빌렸는데 안 갚은 것인지 알 수 없기 때문에(참/거짓에 대한 진리치가 없기 때문에) 전제가 아니라 함의인 것이죠.
근데 다시 문제를 보다 보니까 이거 정말 전제와 함의에 관한 문제가 맞는지 좀 의심스럽네요. 평서문이 아니라고 해서 전제가 발생하지 않는 건 아니지만 ㉡ 은 청유문을 써놓고 전제인지 함의인지 구분하라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되는 난이도란 생각이 듭니..
17/09/29 14:42
(수정됨) 답변 감사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p : 철수가 영희에게 돈을 빌렸다 q : 철수가 영희에게 돈을 갚았다. -q : 철수가 영희에게 돈을 갚지 않았다. p : 돈을 빌렸다는 여전히 참. 으로 보았습니다... 돈을 갚지 않았다는 말이 돈을 빌리지 않았다. 를 내포할 수가 있나요ㅠㅠ.. 직관적으로 너무어색하게 느껴집니다. 역으로 -p : 철수가 영희에게 돈을 빌리지 않았다 q : 철수가 영희에게 돈을 갚았다 -> 진리치 공백으로 봤는데요 프랑스왕은 대머리이다처럼.. F가 아니라 아예 T/F 판단 불가 아닌가요ㅠㅠ.... 제가 보기에는 프랑스왕은 대머리이다와 같은 문장인데요... ㅠㅠ너무 어렵네요.. 전공이 의미론이었는데...크크;
17/09/29 15:53
말씀을 들어 보니까 그것도 그런 것 같습니다. 저도 헷갈리네요.. 애초에 화자가 그걸 전제하지 않고 그런 말을 할 리가 없을 텐데.. 전제란 것 태반이 원래 그런 화자의 믿음세계를 반영하는 화용론적 전제라고 그러지 않았던가 싶기도 하고..
마찬가지로 기윽이 함의라면 리을도 함의여야 할 거고(영희가 시집을 가지 않았다고 해도 영희가 남지여서 시집을 안 간 것인지 여잔데 시집을 안 간 것인지..) 리을이 전제라면 말씀하신 것처럼 기윽도 전제여야 하지 않나 싶기도 합니다.. 니은도 굳이 평서문으로 고치면 ~을 것이다로 바뀔 것 같은데 이러면 전제가 되지 않나 싶어요. 해설 찾아보면 과거형으로 바꿔서 참/거짓 따지고 있던데 대체 왜 과거형으로 바꾼다는 거지 의문문만 생김..
17/09/29 16:09
그래서 정말 출제자의 의도를 모르겠습니다. 제가 언급한 책이 임용고시 준비하는 분들도 보는 책이기도 하고, 예문이 똑같은
것으로 봐서 출제 교수진이 해당 교재를 참고로 한 것은 분명한 것 같은데(우리 이제 디저트로 커피 한잔 해요. - 우리 방금 밥 먹었잖아요.와 술 한 잔 더하고 갑시다.-바로 전에 술을 마셨다.도 연관성이 있는 예문이고요...) 왜 답은 다른지 알 수가 없네요. 출제 의도가 정말 전제/함의인지도 의문입니다. 전제/함의 문제가 아닌데 그냥 공무원 강사들이 전제/함의 문제라고 껴 맞춰 넣은 것 같기도 하고요..
17/09/29 16:26
찾아보니까 이런 해설도 있네요
https://books.google.co.kr/books?id=gzYyCgAAQBAJ&pg=PA79&lpg=PA79&dq=%EC%98%81%ED%9D%AC%EB%8A%94+%EC%95%84%EC%A7%81+%EC%8B%9C%EC%A7%91%EC%9D%84+%EA%B0%80%EC%A7%80+%EC%95%8A%EC%95%98%EB%8B%A4&source=bl&ots=U4oRbe0pZe&sig=4feNcb8bQleAW-lvCwayi9kgD9U&hl=ko&sa=X&ved=0ahUKEwi-4Z_K7snWAhXCKJQKHX92A60Q6AEIKzAB#v=onepage&q=%EC%98%81%ED%9D%AC%EB%8A%94%20%EC%95%84%EC%A7%81%20%EC%8B%9C%EC%A7%91%EC%9D%84%20%EA%B0%80%EC%A7%80%20%EC%95%8A%EC%95%98%EB%8B%A4&f=false 이런 해설도 있는 것 같습니다(pdf 파일 링크입니다) https://www.google.co.kr/url?sa=t&rct=j&q=&esrc=s&source=web&cd=3&cad=rja&uact=8&ved=0ahUKEwiFmISe78nWAhVGmpQKHeTaCh0QFggtMAI&url=http%3A%2F%2Fhwtips.tistory.com%2Fattachment%2Fcfile27.uf%402133C045576A707F18F5F8.pdf&usg=AFQjCNFAM1ZFZv3zYP08dekiZJYTc8ReBA
17/09/29 16:32
(수정됨) 제 친구는 보자마자 저렇게 풀더라고요. 제시문들이 너무 전제/함의문 같아서 열심히 풀고 있었는데ㅠㅠ
거기다 지금 곰곰이 생각해보니 저 < 표시도.... 선후 관계 표시 아닐까요 출제자가 '<-' 대용으로 쓴 거 같기도 하네요
17/09/29 18:00
저런 공부를 해본적이 없어서 잘은 모르겠지만 철수 동생이 빌린돈을 철수가 갚았을 가능성도 있어보이네요.. 말장난이긴 하지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