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9/27 17:30:53
Name 방청객
Subject [질문] [법학] 형벌에 관해 궁금한 점 질문드립니다.

여러 유럽국가에서 국가의 형벌권은 자유형에 한정됩니다.
비록 여전히 태형 등 신체형을 가하는 국가들이 존재하고, 생명형인 사형을 폐지하지 않고 있는 국가들도 상당하나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도 점점 유럽의 추세에 동조하는 모양새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온정주의적 흐름에 반하는 목소리도 큽니다. 사형 집행을 재개해야 했다거나, 강력범죄자들의 신체를 훼손하는 형벌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때론 이런 혹형주의에 입각한 말들이 국민의 여론이라는 이름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제가 궁금한 점은,

첫 번째로 유럽에서 형벌의 종류를 자유형으로 한정한 것이 어떠한 정치 철학적/법학적 논리하에서 도출된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국민정서상의 문제였는지, 전자라면 그 논리가 무엇이었는지 궁금합니다.

두 번째로 만약 국민이 합의한다면, 형벌의 종류는 확대될 수 있는 것일까요? 물론 연좌제와 같이 민주주의 체제 자체와 반목하는 제도는 도입하기 어렵겠지만, 가혹한 신체형- 고문이라든지 신체 절단형이라든지-는 국민이 합의한다면 다시금 부활할 수 있는 것일까요?

무척이나 두서없습니다만 최근 생각하고 있는 궁금증이라 질문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도들도들
17/09/27 17:46
수정 아이콘
1. 유럽에서 잔혹한 형벌을 폐지하고 자유형으로 가는 사상적 기반을 마련한 것은 베카리아의 '범죄와 형벌'(1764)입니다. 사회계약론을 바탕으로 범죄의 정도에 따른 형벌을 주장한 역작으로 유럽 세계에 엄청난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죄형법정주의와 고문 금지로 연결되었다고 합니다. 이런 점에서 베카리아는 근대 형법학의 아버지라 불리죠. 물론 '범죄와 형벌'의 사상적 연원에는 당시 유럽의 새로운 주류 사상으로 떠오른 계몽주의와 근대철학이 있었겠지요.

2. 고문 금지는 헌법 제12조 제2항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헌법 개정을 할 정도로 국민적 합의가 이루어진다면 논리적으로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고문금지가 단순히 고문을 금지한다는 것을 넘어 인간의 진보와 근대 문명을 상징하는 어떤 것이기에, 근대 문명과 지성을 모조리 부인할 정도로 극단적인 상황이 아니라면 고문금지조항의 폐지는 상상하기 어렵습니다.
방청객
17/09/27 18:53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17/09/27 18:24
수정 아이콘
미셸 푸코의 감시와 처벌이 글쓴이의 첫번째 의문을 풀어주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겁니다.
방청객
17/09/27 18:53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9607 [질문] 으악!!!! 핸드폰사진을 컴으로 옮길때 잘라내기를 하다가 취소했더니 사진이 사라졌습니다... [13] 스타카토3515 17/09/27 3515
109606 [질문] 소개팅에서 거절했던 사람이 다시 만나보자고 하는 이유는 뭘까요? [30] 로즈마리10792 17/09/27 10792
109605 [질문] [법학] 형벌에 관해 궁금한 점 질문드립니다. [4] 방청객1638 17/09/27 1638
109604 [질문] 비즈니스 미팅에서 로퍼착용 실례일까요? [9] 큐브큐브2549 17/09/27 2549
109603 [질문] 출근시간 앞두고 최악의 상황인데 어떻게하면 좋을까요. [7] johann2516 17/09/27 2516
109602 [질문] 우리나라에서 서핑 해 보신분 계십니까 [7] cs1849 17/09/27 1849
109601 [질문] 필리핀 세부에서 일 + 어학연수에 대해서... [7] 主人1761 17/09/27 1761
109600 [질문] ~~테크 산업의 종류가 얼마나 있나요? [1] 왐냠냠1292 17/09/27 1292
109599 [질문] 요즘 유행하는 인터넷 용어 질문입니다. [12] 네가있던풍경9673 17/09/27 9673
109598 [질문] v3 lite 오늘 자 업데이트 후 사운드 출력 문제 [2] Love.of.Tears.2188 17/09/27 2188
109597 [질문] PC 견적 부탁드립니다. (컴스클럽 추천pc) MisTra1759 17/09/27 1759
109596 [질문] [소전] 제대구성 조언을 주세요 [15] 윤하love2039 17/09/27 2039
109595 [질문] pgr에 유튜브 영상 어떻게 업로드하나요?? [9] 우리집개5057 17/09/27 5057
109594 [질문] 그래픽 카드 바뀐 효과를 확 체감할 만한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21] 아초박2996 17/09/27 2996
109593 [질문] 갤럭시탭에 액정보호필름 붙이려면 어디로 가야 할까요? 엄청난닉네임1388 17/09/27 1388
109592 [질문] 천안아산역 주변 주차 해둘만한 곳 있나요? [5] Liverpool FC3232 17/09/27 3232
109591 [질문] 어새신 크리드 뭐뭐 사면 될까요? [6] 두둠칫1713 17/09/27 1713
109590 [질문] 16G 램을 사야할까요 8G 램을 사야할까요. [8] 어센틱4831 17/09/27 4831
109588 [질문] 배틀그라운드가 다른 게임과 다르게 게이머의 패턴을 바꿔놓은 게 있을까요? [9] 트와이스정연2283 17/09/27 2283
109587 [질문] 모니터 해상도 관련... [1] 시미군2624 17/09/27 2624
109586 [질문] 롤 게임 설치 문의입니다(삭제예정입니다) 틀림과 다름1505 17/09/27 1505
109585 [질문] 다이어트 성공하신분들 식단조절 어떻게 하셨나요? [13] 레몬커피2987 17/09/27 2987
109584 [질문] LCHF 가 효과적이라는 과학적 근거가 있나요? [6] 공부맨2911 17/09/27 29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