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9/19 09:53
전 그래서 미세미세 라는 어플을 다운받아서 매일아침 미세먼지 체크합니다. 네이버에서 보통인것도 여기선 상당히 나쁨이라고 빨갛게 경고해주니까 대비하게 되더군요 크크
17/09/19 10:21
측정하는 방법과 장소에 따라 천차만별인게 미세먼지 농도의 문제라면 문제입니다.
네이버나 기상청에서 발표하는 자료는 기본적으로 해당 도시나 지역의 일정시간당 평균값을 보여줄수 밖에 없죠. 거기다 특정지역별로 공장이나 자동차매연, 공기의 정체유무 등등이 워낙 제각각이다보니 평균적인 미세먼지 농도와 체감하는 농도가 다를수밖에 없구요. 그래도 수도권은 구단위로 자료를 수집하기 때문에 각종 미세먼지 앱으로 자기동네 미세먼지 수치를 확인하면 좀더 효과적이긴 합니다.
17/09/19 10:22
미세먼지로 인해 시정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대기 중 수증기 농도가 높아도 시정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앞이 많이 안 보이는 경우를 안개 또는 연무라고 하고, 그보다는 시정이 좋지만, 여하튼 그래도 앞이 좀 잘 안 보이면 박무라고 합니다. 대기가 뭔가 뿌옇다고 해서 꼭 미세먼지가 많은 날도 아니고, 반대로 날씨가 쾌청해 보인다고 해서 미세먼지가 없는 날도 아닙니다. 미세먼지가 많아도 날씨는 쾌청해보일 때도 있습니다.
17/09/19 10:35
미세먼지는 보통 입경이 10 마이크론까지의 먼지 농도를 말합니다. 여기에 들어가는 것이 주로 황사, 해염입자, 오염물질입니다. 그중에서 2.5마이크론까지 입자크기를 가지는 것을 초미세먼지라고 합니다.
초미세먼지가 많이 분포하더라도 입자크기가 워낙 작기 때문에 농도를 나타내는 질량단위에서는 반영이 많이 안될 수 있어요. 오늘같은 날은 초미세먼지 농도를 보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만, 초미세먼지 농도의 관측소는 미세먼지 관측소에 비해서는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낮은 것이 현실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