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9/19 09:37
라이젠 같은 경우는 메모리 속도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메모리를 좀더 고 클럭 제품으로 고르심이 좋아보입니다.
SSD를 NVMe랑 SATA로 나누어 사시는 이유가 있나요? NVMe는 고부하 상황 아니면 SATA랑 별 차이 없으니 SATA 고용량으로 가시는 것도 좋아보입니다.
17/09/19 09:51
저도 메모리 클럭 높은 제품을 알아 보았습니다만, 암드 메인보드가 아직 안정화가 이루어 지지 못하여 고클럭 사용시 2666 클럭 까지 인식이 안된다는 말이 많아 고르게 되었습니다. SSD를 NVMe랑 SATA 나눈 이유는 주작업 프로그램 및 인코딩 용도 이며, SATA는 게임용도로 쓸예정 입니다.
SSD SATA 경우 제가 게임을 많이 하지 않는 이유로 575G 고용량은 필요가 없어서 입니다.
17/09/19 11:42
차라리 삼성전자 메모리로 구매하셔서 따로 오버클럭하시는 게 좋습니다.
그렇게 어렵지도 않은 편이고, 삼성전자 메모리가 오버클럭이 제일 잘 들어가기도 합니다. SSD는 어랏노군님 의견에 동의하는 편인데, NVMe가 약간 더 빠르긴 하지만, 사실상 실체감하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차라리 1TB 이상으로 가시는 게 어떨까 하네요. SSD는 용량이 커질수록 속도와 안정성 모두 증가하니까요. 작업용도로만 보면 출시된 지 얼마되지 않은 AMD 스레드리퍼도 생각해 보시길!
17/09/19 10:08
메인보드-asus crosshair vi hero
램-지스킬 trident z rgb 25600 cl14(삼성 B다이) 정도면 될듯 합니다.
17/09/19 10:56
4k는 보통40인치이상을 추천합니다. 가독성에 문제가있기때문에
그리고 기가바이트는 보통 대량으로 납품을하는데라 exㅡ피방 그래서 개인한테는 as가 약간 부실하다는평을받고있습니다. ssd도 9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