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9/16 15:23
출퇴근이나 통학은 자기가 매일 다니는 구간을 한 달 혹은 몇 달 정도의 기간으로 정기권 끊어서 다니면 쌩으로 다니는것보다 조금 저렴해요 기간이 길수록 더 저렴해지구요
학생은 저 정기권이 반값(?)정도이고 회사나 아르바이트하는 곳에서는 교통비 지급하는 경우가 많아요 그리고 가까운거리는 자전거타고 다니더라구요
17/09/16 15:23
정기권 사서 씁니다. 시작역 도착역 지정, 그 안에 1~2번 환승포함 가능하구요. 도쿄 기준으로 특별히 회사가 달라서 환승 안된다거나 하는 케이스는 못본 것 같고 가격은 거리나 환승에 따라서 5000엔~25000엔 정도 나오는것 같고 회사에서 지급해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17/09/16 15:31
일반적으로 집에서 회사까지의 대중교통노선을 확인하고 그 중에서 정기권을 끊을수있는 부분은 정기권을 끊고 비용을 합산해서 급여에 넣어줍니다.
17/09/16 15:30
정기권을 만들면서 환승역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1,3,6개월 기간으로 정기권을 만드는데요. 대신 우리나라 정기권과 다르게 지정된 구간, 지정된 날짜 내에서는 무제한 승하차가 가능합니다. 멀어도 정기권 구간 내에 쏠쏠한 역이 많으면 주말에 놀러다니기 참 좋은 것 같아요. 학교 위치랑 아르바이트 위치가 다르면 교통카드 2개 만들어서 다니기도 합니다. 물론 뭔 짓을 해도... 교통비는 진짜 살인적입니다. ㅠㅠ
17/09/16 18:03
백수면 당연 쌩이고요. 회사다니거나 알바하면 교통비 지급되고 그 구간을 할인된 가격에 정기권을 구입하고 무제한 탈수 있습니다. 휴일에 나갈때도 그 구간이용하면 그 구간 비용 제외하고 교통카드에서
돈이 빠져나갑니다. 근데 그 반대구간으로 이동하면 얄짤 없습니다. 예를 들어 정기권을 2호선 홍대에서 건대 구간을 끊었을 경우: 중간 어느 역에서 내려도 공짜. 그러나 건대에서 7호선 어린이대공원 갈경우는 건대에서 어린이대공원 가는 것만큼의 요금을 내야함 (추가 요금이 아닌 쌩으로 첨부터 탈때의 돈) . 홍대에서 합정가는 것은 지원이 안되니 쌩돈. 암튼 간략히 설명드리면 이렇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