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6/07 12:08:13
Name 유포늄
Subject [질문] 제 방에 에어컨을 놓을려고 합니다. 1등급과 4등급 차이가 많을까요??
1. LG꺼
60만원짜리 4등급 설치 바로(반인버터)
80만원짜리 1등급 설치 보름(인버터)
어떤걸로 할지 고민이 됩니다.
전기등급 차이가 많은가요???

2. 인버터와 인버터 아닌 제품의 차이가 두배정도 납니다.
위의 LG제품은 인버터
따로 알아본 제품 위니아랑 등은 40만원(비인버터)

전기세를 잘 몰라서 고민이 많이 되네요
열이 많아서 여름 내내 틀텐데.. 아니.. 여름에만 쓸건데.. 이렇게 서로 합리화중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he)UnderTaker
17/06/07 12:19
수정 아이콘
벽걸이는 캐리어 위니아 대우 중에 싸고 설치 빠른거 골라서 하면되요.
유포늄
17/06/07 14:14
수정 아이콘
집에 휘센 2in1(스탠드, 벽걸이)가 있습니다.
그래도 괜찮을까요??
덴드로븀
17/06/07 12:27
수정 아이콘
등급보다 제품에 표시된 소비전력 및 절전기능 여부를 보시면 될것같습니다.
평소에 집에서 여름에 전기요금이 5만원이상 나오는 경우 에어컨 추가하고 하루에 2~3시간 이상 가동시 10만원 이상 요금폭탄은 각오하셔야 하구요.
유포늄
17/06/07 14:16
수정 아이콘
집에 휘센 2in1(스탠드, 벽걸이)도 있고, 잘때 켜놓으려고 하는데...... 많이 나오겠네요
덴드로븀
17/06/07 14:21
수정 아이콘
18도 맞춰놓는게 아니라 절전/취침 기능을 활용해서 26~27 도 정도로만 키면 뭐 엄청 폭탄맞지는 않긴 합니다.
유포늄
17/06/07 15:54
수정 아이콘
26~27이라... 그렇게 해도 잘만한가요??
차나 사무실도 선선하게 23~24도에 놓는데... 감이 없네요^^;;
바카스
17/06/07 15:18
수정 아이콘
자취집 투베이에 삽니다.
작년 벽걸이 3달 내내 22도 정도로만 집에 있을 때(10시간 언저리?) 내내 틀었고 주말은 24시간 틀었다해도 과언이 아닌데 월 10만원 좀 안 되게 전기요금 나오더군요.

올해는 정부 바뀌면서 전기세 할인한다고하니 더 싸지 않을까 마 그리 생각합니다.
쪼아저씨
17/06/07 12:29
수정 아이콘
벽걸이는 전기세 별로 안나오더라구요.
평소에 전기를 많이 써서 누진세 우려 하지 않으면 4등급도 괜찮을거 같습니다.
좋기야 1등급이 좋겠지만, 20만원어치 전기세로 세이브 하려면 5년 이상은 써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유포늄
17/06/07 14:18
수정 아이콘
영업사원도 그얘기를 하더라구요 누진세 때문에 정확한건 알 수가 없는데
차액 뽑으려면 5년 이상은 써야한다구요;; 하~ 고민입니다;;
무무무무무무
17/06/07 12:59
수정 아이콘
평수 작은 벽걸이는 캐리어 가장 싼 거 하시면 됩니다. 주변에서 겁주는 것보다 전기세 정말 얼마 안나옵니다.
유포늄
17/06/07 15:28
수정 아이콘
집에 휘센 2in1(스탠드, 벽걸이)가 있어서 고민입니다.
평달에 에어컨 안틀고 10만원정도 나옵니다.
17/06/07 13:10
수정 아이콘
갓리어로 가시죠 .
평수작으면 죽어라써도 얼마안나오더라고요...
유포늄
17/06/07 15:28
수정 아이콘
집에 휘센 2in1(스탠드, 벽걸이)가 있어서 고민입니다.
평달에 에어컨 안틀고 10만원정도 나옵니다.
Anabolic_Syn
17/06/07 13:12
수정 아이콘
가격을 보니 벽걸이인거 같은데..
저는 5등급 펑펑써도 얼마 안나오더군요.
유포늄
17/06/07 15:28
수정 아이콘
집에 휘센 2in1(스탠드, 벽걸이)가 있어서 고민입니다.
평달에 에어컨 안틀고 10만원정도 나옵니다.
17/06/07 13:18
수정 아이콘
벽걸이 캐리어 8평짜리
작년 여름에 한달 내내 안끄고 거의 내리썼는데 3만원정도 나왔습니다.
물론 시원했구요
유포늄
17/06/07 15:39
수정 아이콘
집에 휘센 2in1(스탠드, 벽걸이)가 있어서 고민입니다.
평달에 에어컨 안틀고 10만원정도 나옵니다.
저글링아빠
17/06/07 14:27
수정 아이콘
애초에 전기요금이 얼마 없는 원룸 같은 곳에서 혼자 쓰는 거면 아무거나 써도 되겠지만,
이미 집에 2 in 1 에어컨이 있는 상황에서 그거 돌리면서 추가로 돌릴 에어컨을 사는데(=에어컨 3곳에서 가동) 인버터 없는 저효율 에어컨을 사는 것은 무모하지 않나 싶은데요.
누진세가 예전만 못하기는 하지만 20만원 정도 차이는 어쩌면 한 두해 여름으로 커버될 수도 있습니다. 잘 생각하시고 결정하셔야 할 것 같아요.
유포늄
17/06/07 14:42
수정 아이콘
댓글보고 어머니께 여쭤보니 평달에 십 조금 넘는다고 들었습니다
여름에는 더 나온다는데.. 어렵네요;;
미나리돌돌
17/06/07 15:28
수정 아이콘
원룸이면 아니겠지만, 그 외에 일반적으로는 1등급 사면 1~2년에 전기세로 차액을 메꿀 수 있을 거예요.
유포늄
17/06/07 16:35
수정 아이콘
전기세가 도저히 감이 안잡히네요;;
뭘로 사야 괜찮을지..ㅠㅠ
1llionaire
17/06/07 18:30
수정 아이콘
평소 10 이상 나오는 상태에서는... 인버터는 거의 필수가 아닌가 싶네요.혼자사는 자취방에서 쓰는 거랑, 이미 상당히 쓰는 상태에서 더해지는 거랑은 더해지는 비용 자체가 달라집니다. 저 같으면 20만원 차이 나더라도... 여름에 좀 마음 편하게 에어컨 트는 걸 추천하겠습니다. 맘도 편하고, 실제로 아껴지는 전기 비용이 생각보다 클 수도 있습니다. 인버터가 아닌 건 켜놨을 때 거의 최고 사용량을 찍는 반면, 인버터는 온도가 목표치에 다다르면 켜놔도 전기를 최대치의 1/3 도 안 쓸 수 있거든요. 취침모드로 약하게 틀어도 적게 사용하고요. 보니까 최소 260W~ 최대 750W 정도 전기를 쓰네요.
유포늄
17/06/07 20:10
수정 아이콘
80짜리 인버터 달린 벽걸이........... 구입했습니다.
인버터 달린 것중에 제일 저렴한 모델입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맘 편히 쓰고 싶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3804 [질문] 페이스북 좋아요 관련 난다천사2434 17/06/07 2434
103803 [질문] [철권7] 초풍 커맨드 입력 [6] 마른남자12582 17/06/07 12582
103802 [질문] 제 방에 에어컨을 놓을려고 합니다. 1등급과 4등급 차이가 많을까요?? [23] 유포늄7219 17/06/07 7219
103801 [질문] 스타1) 프로토스에게 로템은 정녕 희망이 없는 곳입니까.. [31] 운동화125968 17/06/07 5968
103800 [질문] 매력있는 케릭터들이 많은 만화,웹툰 추천부탁합니다. [27] 삭제됨3604 17/06/07 3604
103799 [질문] 갤럭시7 vs 갤럭시8 고민중입니다 [9] 톰슨가젤연탄구이2502 17/06/07 2502
103798 [질문] 부부사이에 집 명의는 누구로..? [11] pure fiction4680 17/06/07 4680
103797 [질문] [PS4] 철권7 로딩 스팀판도 이렇게 느린가요? [6] 수지9193 17/06/07 9193
103796 [질문] 폭스바겐 배기가스 관련해서 시민들이 고소를 했다는데요 [1] 삭제됨2023 17/06/07 2023
103795 [질문] 샤오미 미밴드2 써보신분계신가요? [10] Rated3600 17/06/07 3600
103794 [질문] 집계약, 인터넷 약정등의 기간이 애매하게 오버될때 어떻게 해야할까요? [4] 콜라제로2130 17/06/07 2130
103793 [질문] 철권7 pc 현재 온라인 되나요? [3] 가렌3384 17/06/07 3384
103792 [질문] 공무원 체력시험이 다음주인데 허리디스크가 재발하는거 같으면 [7] 퐁퐁4669 17/06/07 4669
103791 [질문] 죽은 노트북에서 하드를 살리려면 [5] OrBef2758 17/06/07 2758
103790 [질문] 전요리중에 기억에 남는 전이있으신가요? [40] 하연수3299 17/06/07 3299
103788 [질문] 든든학자금 상환 관련 질문 [2] 공짜요플레1793 17/06/07 1793
103787 [질문] 행렬 rank에 대한 질문입니다. [3] 주전자2978 17/06/07 2978
103786 [질문] 그래픽 카드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5] Hyde3096 17/06/07 3096
103785 [질문] 토스트기에 구우면 원래 식빵 맛이 없나요? [9] 1q2w3e4r!11079 17/06/07 11079
103784 [질문] 이동통신 관련하여 블랙리스트 시스템으로 가지 못하고 화이트리스트가 유지되는 이유가 뭘까요? [4] 캐리커쳐2384 17/06/06 2384
103783 [질문] 주말에 서울에서 광주까지 자동차로 얼마나 걸릴까요? [9] 물탱크4851 17/06/06 4851
103782 [질문] 댄스학원 추천 부탁드려요 [4] 호오오오오오옹옥수2503 17/06/06 2503
103781 [질문] 빔 프로젝터 추천 부탁드립니다. 네가있던풍경3518 17/06/06 35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