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6/02 14:50
1. 네이버에 IP 확인이라고 검색하니 나오는 IP는 회선의 IP입니다.
2. 공유기를 사용하신다면 ipconfig에선 192. 또는 168. 등으로 시작하는 내부 IP가 나옵니다.
17/06/02 14:54
1. '컴퓨터의 ip'라는 것은 존재 하지 않고요. 해당 컴퓨터(정확히는 랜카드)에 부여되는 고유식별자는 MAC address고 이 MAC address에 이러이러한 ip address가 연결되었다는 사실 하에 통신을 합니다. ip주소는 고정ip면 같은 회선에서는 항상 같지만 유동ip면 같은 회선에서도 ip를 새로 받고 반납하고 하기 때문에 바뀔 수 있습니다. (새로 받고 반납하는 이유는 표현할 수 있는 주소 갯수가 제한적이라 현재 안쓰이는 ip를 돌려써서 가용성을 확보하려고..)
2. 여러가능성이 있는데 제가 생각했을 때 이 가능성이 가장 높은것같습니다 - 공유기 쓰시죠? 포털에서 검색된 내 ip주소가 진짜 전세계에서 통용되는 ip 주소고요. ipconfig에서 보신 ip주소, 192.168 로 시작할텐데.. 이건 내부 ip 입니다. 쉽게 생각해서 서울시xx구xx동xx아파트 몇동몇호 가 포털에서 보인 ip주소고요, 3번째 방이 내부 ip에요. 같은 회선을 여러 기기가 공유해서 쓰기 때문에 이들 기기의 회선은 밖에서는 같은 주소를 갖고 같은 주소로 데이터(비유로 따지면 우편, 택배)가 배달되지만 일단 그 주소로 배달되면 그 안쪽에서 각각의 기기에 다시 배달하게되고 그 중간 교환수 역할을 하는게 공유기입니다.
17/06/02 15:47
1. 사용하시는 인터넷 IP입니다 공인IP, 외부IP 라고도 하고 꼭필요합니다.
보통은 통신사가 할당 받아서 회사,개인에게 뿌리고 사용하는 식이죠 그래서 개인이 사용하는 IP를 https://whois.kisa.or.kr 에서 검색해도 서비스해주는 회사만 나옵니다. 2. 내부IP, 사설IP 등으로 불리고 공인IP 하나를 를 공유기로 여러명이서 쓰는거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