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6/02 11:12
장인은 아니지만...
1번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09211/explain-pythons-slice-notation 마지막 열에는 데이터의 레이블이 들어있어서 그 앞까진 X에, 마지막 열은 y에 담겠다는 것 같네요 2번은 참이면 1, 거짓이면 0으로 두는 방식으로 일치하는 것의 갯수를 sum으로 세는 구문이겠네요
17/06/02 11:22
a:b는 a부터 b바로 앞까지이고,
범위를 생략한 :는 처음부터 끝까지입니다. -1은 뒤에서 첫번째 원소이기 때문에 :-1은 처음부터 마지막 전 원소까지입니다 따라서 행렬로 보면 첫번째 :는 모든 행을 선택하는 것이고, 두번째 :-1는 열 중 마지막 열을 제외한 모든 열입니다.
17/06/02 12:43
python의 자체 built-in 문법은 아니고, numpy의 확장된 array 구문으로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해석은 마지막 column만 따로 떼어서 담겠다는 걸로 보입니다.
아랫부분도 마찬가지로 python 문법은 아니고 numpy의 확장된 문법입니다. 원래 python에서 두 객체를 ==로 비교하면 boolean이 나오지만, numpy의 array class가 ==를 override 해놔서 일종의 필터링 기능을 하도록 바꿔둔 듯 합니다. https://docs.scipy.org/doc/numpy-1.12.0/reference/arrays.indexing.html 와 https://docs.scipy.org/doc/numpy/reference/generated/numpy.equal.html 를 참고하시면 될 것 같네요~ (python built-in들과 문법이 다르다는 사실을 꼭 기억하시구요!)
17/06/02 12:47
아... 파이썬 레퍼런스를 좀 빡시게 찾아볼까 했는데 numpy쪽 문법이었군요.
파이썬 레퍼런스 보랴 numpy 쪽 보랴 빡시겠네요...ㅠ 답변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