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6/01 15:58
현재는 이직을 했지만 작년여름까지 태양광업계에 종사하긴 했는데, 저는 좀 더 상류쪽이라 설치쪽은 잘 알지는 못합니다만...
본문의 정보만 가지고는 여기서 확답을 듣기에는 정보가 너무 적은거 같습니다. 채용한 모듈의 종류, 설치를 해야하는 토지의 상태, 지원금도 각 지자체에 따라 다를수도 있고..... 아무튼 이건 여러곳에서 견적 받아보는게 답일거 같습니다.
17/06/01 16:16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170413000263
뭐 원하시는만큼의 상세한 정보는 없겠지만, 어떤 태양광 발전회사의 재무재표입니다. 기계장치 120억짜리 쓰니까 연간 매출액이 20억 정도 나오네요. 근데 지금은 더 안나온다고 보면 되겠네여.
17/06/01 17:00
견적 받아보세요. 설치 비용은 면적에 따라 다르고요.
예전에 회사에 남는 건물 위층에 태양광 설치해보려고 한적이 있어서 보니까 약 850평 규모에 시설투자규모는 10억원이었고 연평균 전기판매수익금은 1-2억원 가량으로 측정했었습니다. 파는 전기료가 그 때 그 때 좀 달라서 SMP 가격이랑 REC 가격에 따라 높낮이가 좀 있어요. 그 땐 SMP 110원 / REC 90원으로 계산해서 현금회수기간 약 8년 정도로 잡았었습니다(2015년). 지금 시세는 어떤지 모르겠네요. 그 때 견적 뽑아준 업체에선 연간 2.5억원 들어온다고 현금회수기간 4년으로 잡았는데 이건 설치하고 싶어하는 걔네들 얘기고, 무작정 믿지는 마시고 직접 좀 따져보셔야 해요.
17/06/01 17:13
윗분 얘기에 좀 첨언을 하자면
수익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채용한 모듈의 발전효율, 설치지역의 천후(일조량, 먼지, 눈 등등), 모듈의 신뢰성(반도체와 합성수지로 된 물건이니 당연히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효율이 떨어지는데 대체로 몇년동안 몇퍼센트이내로 보장한다 이런 조건들이 붙긴 합니다) 등등이 있을것이구요. 또 판매수익금과 보조금의 책정은 당연히 상세하게 알아봐야 되고, 설치에 관해서도 해당 토지가 습지나 산지같은 경우에는 기초공사도 해야되고 해서 생각보다 많이 나올수도 있구요. 보험관련해서도 알아보셔야 되고, 아무튼 이게 업자들이 제시한 내용은 당연히 이상적인 상항으로다가 계산해서 나온것일테니.... 억이 넘는 투자인만큼 공부를 좀 하셔야 될거같습니다.
17/06/01 18:04
업자를 통해 견적을 받아보거나, 요즘 태양관관련해서 온라인으로 견적을 내주는 스타트업 들이 좀 있으니 해당 사이트 등에서 견적부터 받아보세요.
구체적으로 업자나 사이트 등은 소개해드리자니 광고같아서 좀 그렇고요. 인허가도 받아야되고 이후 초기 투자비용의 경우에는 해당 규모면 설치비용은 알고계신대로 대략 2억원 정도는 될 것 같네요. 물론, 어떤 모듈을 쓰는지 등에 따라 초기 투자비용에 차이가 발생할 수는 있지만요. 위에분 말씀대로 사실 가장 중요한건 인허가가 날 수 있느냐와 해당 토지에 바로 설치가 가능한지가 중요합니다. 기초 토목공사가 들어가게 되면 수익성이 많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