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5/29 16:57:40
Name 아스날
Subject [질문] 최저시급 1만원되면 문제점도 많지않나요?
2017년기준 최저시급 6470원인데요..

제가 한 십년전에 알바할때 시급 3천원도 못받았던것같은데요.. (최저시급도 못받았습니다)

최근에 많이 올라서 6천원중반인데 문대통령 공약대로 4~5년뒤 시급 1만원이되면 좋은점도 많겠지만 부작용도 많을것같은데 몇개 생각나는데로 적어볼게요..

시급오른만큼 물가상승이됨, 지역별 업종별 물가반영안됨(ex.서울과 대구물가 많이다름), 영세업자들 인건비때문에 망할가능성 많음, 인플레이션으로 부동산가격 상승함 등등 부작용 많을것같은데 옆동네 일본이랑 비교해봐도 경제수준대비 그다지 낮은것도 아닌것같구요.

몇년간 가파르게 올랐으니 증가폭을 낮추고 7~8천원 수준으로 고정하고 지역별 업종별로 최저임금을 현실화하면 좋을것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5/29 17:01
수정 아이콘
20년까지 순차적으로 올린다고 했으니 임금 현실화를 병행하는게 옳지 않을까 합니다.
실제로 노동부 장관 임명되면 그게 가장 큰 숙제일 듯 하구요.
화이트데이
17/05/29 17:04
수정 아이콘
4-5년 뒤면 그리 빠른 속도는 아니라고 봅니다.

단순히 임금만 올리면 아무 의미가 없고, 물가를 잘 잡고 최저시급도 안주는 양아치 업체들을 잘 잡아내야죠. 사실 비정상적인 부동산 시스템만 잘 잡아내면 다 해결될 문제라고 보는데...
블랙숄즈
17/05/29 17:08
수정 아이콘
아이러니한게 최저시급을 올리면 최저시급을 받는 분들의 고용이 제일 불안정해져서...
17/05/29 17:08
수정 아이콘
많겠죠... 저도 우선 안지키는 업체 잡아내는거가 우선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그전에 통상임금제부터...
아스날
17/05/29 17:16
수정 아이콘
포괄임금제 없어져야한다고 봅니다.
캐리커쳐
17/05/29 17:16
수정 아이콘
가장 큰 문제는
최저시급이 1만원으로 늘어나면
한계상태에 놓여있던 아르바이트들이 많이 사라져서
정작 최저시급 받고 일하는 분들의 일자리가 없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입니다.

제가 보기에는 사라지는 일자리 숫자가 결코 적지 않을텐데
이에 대해 고민하는 분위기는 잘 없더라구요...

제 생각에는
최저시급을 안 지키고 있는 업체들과
포괄임금제에 대한 단속을 먼저 진행하는게
중요하고 우선이라고 보이는데 말이죠...
버스를잡자
17/05/29 17:18
수정 아이콘
문제가 많죠

계산해보니 연간 16% 이상 인상해야 2020년에 10,000원이 되는데

자영업자들이나 영세기업들은 죽어나겠죠

알바생들은 일자리 당연히 줄어들테구요

그에 따른 물가상승은 덤

사실 임금인상이 아니라 최저시급을 안지키는 업체를 족치는게 최우선인데, 표 얻기에는 최저임금 인상같은게 잘 먹히니..
난파선
17/05/29 17:18
수정 아이콘
항상 같이 나오는 반론이였죠. 임금이 당장 오른다고 해도, 이게 바로 소비로 이어지진 않거든요. 소비심리라는 것이 고용 안정, 노후 안정, 집 값이랑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기 때문인데, 앞서 말한 3가지가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하면, 임금 상승은 그저 부동산 같은 일부 재테크로만 몰려 순환이 안될 수가 있습니다. 양날의 검입니다.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으면 내수는 더 무너질 수 있어요.
크라우드
17/05/29 17:23
수정 아이콘
2022년까지 1만원은 크게 문제가 안 되는데, 2020년은 사실 무리수인 것 같아요.
2022년까지 1만원은 연간 8% 정도 인상이어서 영세자영업자도 어느 정도 대비가 가능한데, 2020년까지 1만원은 연간 16% 정도여서 물가 상승분과 비교하면 너무 무리가 많은 정책이죠.
안철수가 이런 부분에서는 문재인보다 더 현실감각이 있는 것 같았는데, 과연 문재인은 어떻게 할지 우려되는 부분이에요.
17/05/29 17:24
수정 아이콘
2022년 1만원은 근데 어차피 기존 인상률그대로 가면 얼추 1만원에 되는터라 공약으로서 의미가 없긴했죠 크크
캐리커쳐
17/05/29 21:11
수정 아이콘
전 2022년까지만 하더라도 충분히 공약에 의미가 있다고 보는게

1이 8% 올라서 1.08 이 되는 것과
100이 8% 올라서 108 되는 건
같은 비율이지만 차원이 다른 이야기거든요.

과거에 8% 올렸다고 지금 8% 올리는게 과거와 같은 노력이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지 않습니다.

개인적으로는 2022년까지 8% 상승률 유지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에서
2020에 최저임금 1만원은 중간에 고꾸라진다고 예측합니다.
17/05/29 22:03
수정 아이콘
네 님말씀대로 값이 클수록 같은 퍼센테이지여도 수치가 다르긴하죠.
다만 최저임금의 경우 이명박정권때 유독 적게 오른걸 제외하면 항상 7%는 넘겼던걸 감안하면 그정도 수준은 유지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저도 2020년 1만원 공약은 중간에 좌초될 위험성은 있다고 봅니다만 2022년 까지 1만원은 달성가능한 수준이라고 봅니다.
10년째학부생
17/05/29 17:32
수정 아이콘
2022년 최저임금 1만원되면 최저임금 근로자 및 영세자영업자부터 지옥행 열차 출발하는겁니다.... 아비규환일듯
무무무무무무
17/05/29 17:44
수정 아이콘
시급 1만원이면 진짜 말그대로 [최저시급도 못지키겠으면 알바하든가]가 현실화될겁니다.
자영업은 최저임금을 감당할 수 있는 대형자본에 종속되어 대규모 체인화되거나 1인 혹은 가족 수준에서 할 수 있는 소규모로 양극화되겠지요.
해나루
17/05/29 18:27
수정 아이콘
다른거 없이 시급만 딱 만원으로 올리면 헬게이트죠. 영세자영업자들부터 줄줄이 망할테고... 단순하고 쉬운 알바 자리부터 줄어들테고... 물가는 오를테고... 소비심리는 망하겠죠.
다만 이런거는 전문가가 아니라도 너무 뻔히 예측되는거라서요. 설마 진짜 다른거없이 딱 시급만 만원으로 올리진 않겠지... 다른 대책도 있겠지... 기대해 봅니다.
캐리커쳐
17/05/29 21:09
수정 아이콘
없습니다.
단언할 수 있어요.
있으면 이미 얘기가 나왔죠.
Aragaki Yui
17/05/29 19:32
수정 아이콘
최저임금 인상보다 단속이 더 효과적이고 시급하다고는 생각하는데
20년까지 인상해서 시급 1만원 되는것이 그렇게 부담이 큰 공약이라고도 생각하지 않습니다.
Arya Stark
17/05/29 19:38
수정 아이콘
20년까지 인상을 하겠다는건데 20년동안 다른 부분도 대처를 충분히 해야 겠죠.
17/05/29 21:02
수정 아이콘
내일 당장 혹은 근시일에 당장이면 당연히 무리가 있을거 같구요..
단계적으로 충격 완화하면서 올려야죠..

그리고 냉정하게 말해서 지방 지역이나 이런데는 지금 법적으로 정해놓은 시급도 안 지키는 판국이라..
이런 것부터 어찌 처벌 수위를 높이던가 해야죠..

걍 올려봤자 배째 식으로 나오면 뭔 의미가 있을지..
예쁜여친있는남자
17/05/29 21:15
수정 아이콘
솔직히 이건 1만원이라는 금액부터가 너무 상징성이 강하고, 경제 논리보다는 정치 홍보라서 이 숫자가 튀어나왔다고 생각하기에 곱게 보이지 않더군요

원래 노총 등에서도 주장했고 카드사 수수료 인하니 하면서 영세자영업은 부담 줄이겠다고 하던데, 솔직히 대안부터가 얼마나 부담 줄여줄지 알 수 없어요. 문 대통령 적극 지지한다만 이 건은 참..
녹차소년
17/05/29 23:00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가 oecd국가중에서 최저시급 낮은편이자나요. 그런데 물가는 최고수준인걸로 봐서 최저시급 더 올라야 됩니다. 경제규모가 작은 나라보다도 최저시급이 낮은데 문제 있는거죠. 그리고 이미 영세업장들은 인력을 최소수준으로 돌리고 있어서 최저시급 올라도 일자리 줄어드는건 미비합니다.
아스날
17/05/29 23:45
수정 아이콘
물가가 최고수준인건 금시초문인데요?
그리고 시급 높은 나라들보면 자원 많은 나라가 많아요..단순비교할건 아닌듯하구요.
상당수의 영세자영업자들 아무리 일자리 줄여도 최소 필요 인원이 있는데 대책없이 1만원으로 올리면 큰 문제가 되지않을까요?
녹차소년
17/05/30 06:33
수정 아이콘
빅맥지수 아시아2위입니다. 일본보다도 높구요. 그런데 최저시급은 일본보다 낮습니다. 사실상 한국은 최고시급=최저시급으로
주기때문에 일본이랑 격차는 더 벌어집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3378 [질문] 스타에서 저그 오버로드를 건물로 만들면 버프인가여 너프인가요 [14] 사고회로3923 17/05/29 3923
103377 [질문] 아이패드 지금 살까요? [8] 커피스푼2640 17/05/29 2640
103376 [질문] 이스 8 질문드립니다 [4] Meditation2824 17/05/29 2824
103375 [질문] 최저시급 1만원되면 문제점도 많지않나요? [23] 아스날5157 17/05/29 5157
103374 [질문] 8/11~8/15 네가족 처음가는 해외여행 추천해주세요 [4] 콩탕망탕3554 17/05/29 3554
103373 [질문] 피부관리를 받으려고합니다 피부과와 피부관리실 중에 어디가 좋을까요 ? [6] 연봉3억4858 17/05/29 4858
103371 [질문] 자유게시판에 알바 및 직원 구인공고를 올려도되나요? [8] 스즈무라 아이리3173 17/05/29 3173
103370 [질문] 이런 페이지를 만들 간단한 방법은 없을까요 [4] 깜디아2776 17/05/29 2776
103369 [질문] 다이렉트 보험질문 및 정기검사 질문 [4] DogSound-_-*2374 17/05/29 2374
103368 [질문] 피파17 얼티밋 팀 리셋 관련 질문입니다. 오자히르2935 17/05/29 2935
103367 [질문] ys origin - beyond the beginning 스타일의 음악 추천 부탁드려요 [4] 2393 17/05/29 2393
103366 [질문] 혹시 영어 잘 아시는 분 있으신가요? [8] 삭제됨2345 17/05/29 2345
103365 [질문] 매장 주방 트렌치하수 문제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4] 예-나2745 17/05/29 2745
103364 [질문] 온라인쇼핑 재고부족으로 환불요청시... [4] 토실토실2339 17/05/29 2339
103363 [질문] [질문] 갤럭시 s8 플러스 필름 & 케이스 추천부탁드립니다! [1] Brazen Ark3620 17/05/29 3620
103362 [질문] 넥센 이정후 선수 궁금증 [12] 신승훈4471 17/05/29 4471
103361 [질문] 운전에 관한 질문입니다.. [15] MagicMan2894 17/05/29 2894
103360 [질문] 저탄수 고지방 다이어트 질문입니다. [8] 혼돈과카오스2733 17/05/29 2733
103359 [질문] 사촌형 결혼식 복장질문입니다 [7] B7639134 17/05/29 9134
103358 [질문] 롤이랑 도타2랑 사양 어느게 더 높아요? [6] 레너블8015 17/05/29 8015
103357 [질문] 페르소나5 질문입니다. [7] John Snow3774 17/05/29 3774
103356 [질문] 핸드폰 기변(공시지원금,선택약정) 질문드립니다 [4] 여섯넷백2771 17/05/29 2771
103355 [질문] 배틀그라운드 사양 질문입니다 [5] 카초5011 17/05/29 50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