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5/19 13:31
연차, 월차는 큰 회사는 잘 챙겨주고 작은 회사는 안 그런 경우가 많고 야근이 많은건 회사의 규모와 상관없이 IT쪽이면 거의 다 많은 편입니다..
17/05/19 13:38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아직 경험이 모자라서 그러는데 야근은 필요하다면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신 전날 밤 12시까지 했으면 다음날은 특별한 일이 없다면 오전은 쉰다든지 어떤 대안이 있어야되는게 아닌가 생각이 전 드는데 제가너무 따지는 걸까요?
17/05/19 13:49
12시 정도까지 일하고 다음날 정상출근하는건 의외로 많습니다.. 그런생활을 오랫동안 하는 사람도 있고요. 그러다 골로 가거나 도저히 못버티고 퇴사하는 사람도 엄청 많죠..
당연히 비정상이지만 연차도 안챙겨주는 회사가 야근이나 주말근무를 제대로 관리할거라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17/05/19 13:33
연차 월차 개념은 직종보단 회사 규모에 따른 복지로 보시는게 맞을겁니다.
야근 및 주말 토일 수당 없이 일하는건 IT회사에서 꽤나 빈번히 일어나지요.
17/05/19 13:38
삐빅! 지극히 정상입니다.
말씀하신 내용은 규모가 작은 회사일수록 심하구요. 안정적이고 규모가 큰 회사일수록 연,월차<인센티브<주말수당<야근수당 순으로 복지(?)가 좋아집니다만... 주말수당이나 야근수당은 챙겨주는 회사가 아예 없다고 생각하시는게 마음 편하구요.
17/05/19 13:55
케바케 입니다.
근데 지금 계신 곳과 같은 회사가 아주 많습니다. 대체로 큰 회사 일수록 근무환경이 나아지기는 합니다. SI가 힘든 편이고, SM 은 그나마 좀 편합니다.
17/05/19 13:58
IT업계가 보통 그렇긴 하죠
다른 업계에 비해 포괄연봉제가 많아서 그런면이 크다고 봅니다. 다른 업계는 아직 기존 연봉제가 많다보니 야근 수당이 많아서 비용떄문에 야근이 줄어드는 추세인데 IT업계는 대기업말고 중소기업은 포괄 연봉제가 많아서 참
17/05/19 17:33
IT만 그런건 아니고요, 다른 직종도 본문 같은 경우는 많아요.
평범한 헬조선 회사죠. 추가 수당 없이 한달 내내 일하는 경우도 태반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