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5/16 23:59:05
Name intothe_random
File #1 1.jpg (95.5 KB), Download : 21
Subject [질문] 수학질문입니다!!피지알 수학괴수님들 도와주새요-아직미해결


안녕하세요.
저도 나름 수학을 업으로 삼고 사는 사람인데, 잘 해결이 안되는 내용이 있어 이렇게 질문을 해봅니다.

미분가능성에 관련된 문제인데요.
수식을 쓸줄몰라서 사진파일로 대체합니다.

1번경우에는 f(1+h)와 f(1-h)가 x=1에 대칭적이니 저런 반례를 잡으면 극한값은 존재하지만 미분불가하게 만들수가 있는데,

2번과 같은 경우에는 f(1+2h)와 f(1-h)가 대칭적이지가 않아서 극한값은 존재하지만 미분불가한 반례를 찾기가 너무 어렵네요.


궁금한점은.
2번과 같은 경우가. 극한값은 존해지만 미분불가인 것이 맞는지? 맞다면 반례는 어떤식이 있는지?
아니면 혹시, 2번같이 대칭적이지가 않는 경우라면, 극한값이 존재하면 x=1에서 미분가능한 것인지? 그렇다면 증명은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오늘 몇시간동안 고민하고, 인터넷도 검색하고, 구글링, 문제집도 찾아보고,
할수있는 짓은 다 해봤지만 안풀리네요.. 자괴감이 듭니다....

그래서 이렇게 pgr 수학괴수님들께 부탁드립니다...... 제발.. 한번 도와주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꺄르르뭥미
17/05/17 00:01
수정 아이콘
함수도 비대칭으로 만드시면 되죠.
f(x)=0.5*|x-1| if x>1
f(x)=|x-1| if x<=1
꺄르르뭥미
17/05/17 00:03
수정 아이콘
추가적인 이야기를 적자면, 좌극한과 우극한을 따로 정의한 후에 그 둘이 같아야 극한이 존재한다고 정의되기 때문에 첨부 파일에서 주어진 극한은 일반적인 미분가능성을 정의할 때는 큰 도움이 되지 않고 반례가 존재하게 됩니다.
꺄르르뭥미
17/05/17 00:04
수정 아이콘
앗... 제가 틀렸네요.h가 0보다 작을 수 있으니 위의 비대칭 반례는 옳지 않습니다. 좀 더 생각을 해볼게요.
intothe_random
17/05/17 00:22
수정 아이콘
저도 첨에 저렇게 비대칭으로 잡았는데, 좌우미분계수가 다르더라구요..
꺄르르뭥미
17/05/17 00:09
수정 아이콘
정정합니다. f(x)=exp(|x-1|)로 생각해보세요.
꺄르르뭥미
17/05/17 00:11
수정 아이콘
f(1+2h)=exp(2|h|), f(1-h)=exp(|h|)이니까, h의 절대값을 그냥 t라고 하면,
f(1+2h)-f(1-h)=exp(2t)-exp(t). 이걸 2t로 나눈 다음에 t를 0으로 보내면 로피탈 정리에 의해서 0으로 가죠.
그러나 도함수의 우극한은 1이고 좌극한은 -1이므로 미분은 불가능합니다.
intothe_random
17/05/17 00:29
수정 아이콘
음. 그런데..
f(1-h)=exp(l-hl) 가 되는것 아닐까요?
그럼 안될것 같은데......ㅠ
꺄르르뭥미
17/05/17 01:29
수정 아이콘
어차피 절대값 취하기 때문에 마이너스를 뗏습니다
워송배틀드럼
17/05/17 01:38
수정 아이콘
이거 로피탈 쓰면 0으로 안갑니다
17/05/17 01:38
수정 아이콘
exp(2t)' = 2exp(2t) 이므로 exp(2t)-exp(t)/2t 는 t를 0으로 보낼때 1/2 입니다
꺄르르뭥미
17/05/17 02:32
수정 아이콘
앗 제가 멍청했군요 죄송합니다
17/05/17 00:20
수정 아이콘
반례는 잘 떠오르지가 않는데, 미분가능성을 open metric space에서 정의한다면 위 두 예시 모두 metric open sets이 metric이 0으로 수렴하는 방향을 제한하고 있어서 미분가능성을 보장하지 못할거 같습니다. 미분가능성은 '임의의' open set 상에서 증분에 대한 수렴값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intothe_random
17/05/17 00:23
수정 아이콘
대학수학을 놓은지가 오래되서, 잘 이해가 안되네요. 각각의 내용을 검색해보고, 대학때기억을 되살려보며 이해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7/05/17 00:24
수정 아이콘
쉽게 설명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ㅠㅠ 제 수학 이해도가 낮아서 그렇습니다...
테크닉파워존
17/05/17 00:27
수정 아이콘
f(x)가 1에서 펑크난 불연속 함수가 반례입니다.
불연속 함수라면 f'(x)가 존재할수 없으니까요.
intothe_random
17/05/17 00:35
수정 아이콘
연속함수라고 하였을때의 반례는 없을까요?
테크닉파워존
17/05/17 00:50
수정 아이콘
x>1 일때랑
x<1 일때 함수를 다르게 정의 하는것 말고는 반례가 바로 떠오르지 않는것 같습니다.
intothe_random
17/05/17 00:52
수정 아이콘
그렇게 정의를 하더라도 반례가 안되네요ㅠ
뭐가 있을까요? 아무리 생각해도, 두숫자가 다른경우엔 좌,우 미분계수가 달라질수밖에 없는데...
테크닉파워존
17/05/17 01:11
수정 아이콘
그렇다면 극한값이 0이된다는 가정이 잘못된 가정이 아닐까요?
17/05/17 01:12
수정 아이콘
x가 1이 아닐때 3
x가 1일 때 0
꺄르르뭥미
17/05/17 01:30
수정 아이콘
저는 아직도 제가 드린 반례가 맞다고 생각을 하는데...

x가 1인 점에서 불연속을 만들면 저 극한값 자체가 존재를 하지 않습니다....
17/05/17 01:45
수정 아이콘
로피탈 쓰면 1/2로 가지 않나요?
워송배틀드럼
17/05/17 01:47
수정 아이콘
편의상 평행이동해서 0으로 쓸게요.
f(x)를 0 아닌 점에선 cosine (1 / ln|x|) 라 정의; x가 0으로 갈때 분모가 -inf로 가므로 저 값이 1로 갑니다. f(0)=1 로 두면 연속이 되구요
조건의 limit가 0이 되는건 평균값정리 써서 확인할 수 있고, f가 0에서 미분불가능인 건 다항함수가 log보다 수렴/발산이 빠르다는거로 증명할 수 있습니다
intothe_random
17/05/17 07:42
수정 아이콘
조건의 limit가 0이 되는건 평균값정리 써서 확인할 수 있다고 하셨는데, 조금만 더 자세히 설명해주실수 있으실까요?
워송배틀드럼
17/05/17 10:52
수정 아이콘
크크 댓글을 이미 다셨네요
잘못된 정보이므로 폐기합니다
워송배틀드럼
17/05/17 11:15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에 이렇게 almost everywhere differentiable한 것은 답이 안될 거 같습니다
17/05/17 01:48
수정 아이콘
2번을 f(1)을 넣어서 바꾸면 f(1+2h)-f(1)/2h + f(1-h)-f(1)/-h*2 = 0

이때 f`(1)의 우극한을 1이라고 하고 좌극한을 2로 놓으면..

2번 값은 0이 되나 결국 미분은 불가능하죠..
워송배틀드럼
17/05/17 01:53
수정 아이콘
h가 0보다 크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왼쪽이 좌극한일수도 있어요
실바너
17/05/17 03:42
수정 아이콘
|x-1|^(2*pi*i/Log(2)) 를 생각하면 아마 원하시는 정답에 좀 더 가까울 것 같네요.
canonique
17/05/17 03:49
수정 아이콘
수학 전공하셨다면 Dirichlet ruler function이 힌트가 될 것 같습니다.
먼저 평행이동으로 lim f(2h)-f(h) / 2h, 과 f'(0)에 대한 문제로 바꿀 수 있습니다.
여기부터 정의가 조금 복잡합니다. f를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1. f(0) = 0
2.1 f(x) = 0, x!=0이 유리수이고 기약분수로 나타내었을 때 q/2^n 꼴
2.2 f(x) = 1/p, x!=0 이 유리수이고 기약분수로 나타내었을 때 q/(2^n*p), p>2 홀수 꼴
(즉, 이 말은 기약분수로 쓴 후에 분모를 소인수분해하여 2의 제곱 파트를 떼어내고 남은 p를 택해 1/p를 함수값으로 택합니다. 예를 들면,
f(-5/48)은 48 = 2^4 * 3이므로 q=-5, n=4, p=3인 경우가 되어 함수값을 1/3로 정의합니다)
각 유리수마다 q,n,p가 유일하게 정해져 잘 정의됨을 쉽게 보일 수 있습니다.
3. x가 무리수일 때, f(x) = 0

epsilon-delta식 논증을 통해 f가 0에서 연속임은 쉽게 증명할 수 있습니다.
또한 f(2h) = f(-h)가 항상 성립하기 때문에 극한값도 0이구요.

문제는 f가 0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는 것인데, 이는 h가 0에 가까운 무리수라면 f(h)/h = 0이 되는데 반해 h=1/p or -1/p, p>0 홀수 로 두게 되면 f(h)/h가 항상1이되어서 h가 0 근처로 아무리 가까이 가도 f(h)/h의 함수값이 0과 1사이에서 진동하게 됩니다.
따라서 극한이 존재하지 않아 미분이 불가능하다고 보입니다.
canonique
17/05/17 05:28
수정 아이콘
이상하다 싶어 생각해보니 f가 0에서 연속이 아니네요.

f가 0에서 연속인 경우 이렇게 접근해보면 어떨까 합니다.
평행이동 사용해서 f(0) = 0인 것을 가정하겠습니다.

임의의 양수 e>0에 대해 적당한 구간 (-d,d)가 존재하여
| f(2h) - f(-h) | < e * |2h| 가 (-d,d)안의 모든 h에 대해서 성립합니다.

여기에 변수 치환 h -> 1/2h 와 부등식 |a| - |b| <= |a-b|를 활용하면
| f(h) | - | f(-h/2) | < e * |h| 가 나오는데
이 식의 h에 -h/2, +h/4, -h/8 ...을 계속 대입해 양변을 더해주면

| f(h) | - | f( (-1)^n * h/2^n) | < e*|h| * ( 1 + 1/2 + ... + 1/2^(n-1) )
이 나오게 됩니다. 양변에 n->무한대 극한을 해주면

| f(h) | <= e*|h| (좌변에 f가 0에서 연속임을 사용)
가 나오게 되는데 따라서 | f(h) / h | <= e 가 (-d,d) 안의 모든 h에 대해 성립하게 되어 f'(0)=0 이라는 결론을 얻게 되는 것 같네요.
intothe_random
17/05/17 06:07
수정 아이콘
오오오오오오 밤새 정말 많은 댓글이!!
차분히 하나하나 보겠습니다~ 정말 정말 다들 감사합니다^^
세인트루이스
17/05/17 07:21
수정 아이콘
괜시리 pgr이 자랑스럽습니다
파란무테
17/05/17 09:05
수정 아이콘
동감입니다. 댓글의 퀄리티가 미쳤네요. 좋은말로.
워송배틀드럼
17/05/17 11:11
수정 아이콘
위의 ruler ftn이 0에서 연속이 아닌데, 변형 함수 중
기약분수 p/q를 1/q로 보내는 ruler ftn이 있습니다
0이나 무리수는 다 0으로 보내구요

이게 0에서 연속,미분불가능하고, 조건의 limit도 만족하는 듯 합니다. 물론 입실론델타 논법은 필수
워송배틀드럼
17/05/17 11:11
수정 아이콘
참고로 분모 q는 무조건 양수에서 고릅니다
콩탕망탕
17/05/19 15:38
수정 아이콘
모국어인데.. 전혀 이해가.. ㅡㅡ;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2718 [질문] 아이들 말 더듬는거 시간지나면 없어지나요? [5] 파란무테3081 17/05/17 3081
102717 [질문] pgr 게시판 글 관련입니다. Uglyman1546 17/05/17 1546
102716 [질문] 처음으로 적금이란걸 들어보려는데요. [5] 레너블5395 17/05/17 5395
102715 [질문] LOL 다시하기 질문입니다. [1] sensational2344 17/05/17 2344
102714 [질문] 컴퓨터 쿨러 청소후에 빨라진것 같은데 이럴수가 있나요? [7] 하고싶은대로3085 17/05/17 3085
102713 [질문] 수학질문입니다!!피지알 수학괴수님들 도와주새요-아직미해결 [37] intothe_random4508 17/05/16 4508
102712 [질문] 리니지M 클래스 추천하실 만한게 있을까요!! [7] LG.33.박용택6240 17/05/16 6240
102711 [질문] 러시아 탱크 명명방식이 개발연도인가요? [4] 말년행보관1901 17/05/16 1901
102710 [질문] 결혼 준비 중 남친의 포지셔닝은...? [49] 도시의미학5298 17/05/16 5298
102709 [질문] 이런글 보고 눈물이 나는데 정상인가요? [12] 비야레알4330 17/05/16 4330
102706 [질문] 컴퓨터 견적 질문드립니다. [10] 하얀사신2510 17/05/16 2510
102705 [질문] 학생예비군인데 홈페이지에서 따로 신청해서 가도될까요?? [15] 삭제됨2698 17/05/16 2698
102704 [질문] 공인중개사 자격증 괜찮은지요...? [4] nexon2965 17/05/16 2965
102703 [질문] 원도우 10 업데이트 이후에 텍스트 오류가 납니다. [6] 육식만세1815 17/05/16 1815
102702 [질문] 최종면접질문입니다. [6] 마제스티3330 17/05/16 3330
102701 [질문] 제주도 가볼 만 한가요? [20] 샨티3493 17/05/16 3493
102700 [질문] 히오스 맵 몇 개 삭제됐나요? [9] 샤르미에티미3641 17/05/16 3641
102699 [질문] 위기탈출 넘버원에 나왔던 사례중에 질문이 있는데요... [9] 잘가라장동건2577 17/05/16 2577
102698 [질문] [컴퓨터] 오래된 컴퓨터에 인공호흡을 하고 싶습니다. 도와주세요ㅠ [7] 파츠2780 17/05/16 2780
102697 [질문] 요즘 갤럭시 s7 15 이하로 살 수 있을까요? [9] This-Plus2825 17/05/16 2825
102696 [질문] 황당한 상황 질문 드립니다~ [4] 지나가는행인!1915 17/05/16 1915
102695 [질문] 4k를 위한 그래픽카드 구매 [3] halogen2193 17/05/16 2193
102694 [질문] 30대 시알못 마지막으로 시계 질문드립니다. [11] 삭제됨2368 17/05/16 236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