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6/12 13:34:45
Name 흰둥
Subject [일반] 셀트리온, 다케다제약 아태지역 사업부문 인수. '동력'인가 '줍줍'인가 (수정됨)
뉴스기사는 셀트리온 다케다 정도로 검색하면 좌르르 나옵니다.

핵심은
일본 최대 제약사 다케다가 판매중인 당뇨 고혈압약등(한국포함 아태지역 9개국가 18개 품목, 2018년 매출 1700억원 규모)를 약 3324억원에 인수.
3년간 다케다 현지공장 이용후 셀트리온제약 이용 생산예정. 다케다가 셀트리온에 제조공급, 셀트리온은 이지역에서 이제품들의 제 권리 획득.
창사 첫 대형 M&A로, 주가가 뛰고 시총 네이버 넘어 4위.
화이투벤, 알보칠.

정도로 요약되겠네요.

개인적으로 흥미가 있어 이래저래 찾아봤는데,

-------------------------------------------------------
다케다약품공업
일본 최대 제약사로, 2019.3 기준 연매출 약2조엔(약22조원).
2018년12월, 다케다는 1781년 창사이래 첫 외국인 CEO(영국 GSK출신)이 아일랜드 샤이어(세계 최대 혈우병 치료제 생산기업)를 460억파운드(당시환율 약65조원)에 인수,  
(인수당시 세계 제약업계 다케다 18위, 샤이어 19위. 일본 해외 M&A 사상 최대규모)
연매출 300억달러이상(30조원이상) 세계 제약업계 10위권이내에 진입(8~9위권)

매출액의 3배를 넘는 인수금액을 지불하기 위해 은행대출만 300억달러 이상.
부채비율 감소에 집중, 약 100억달러규모 자산매각 진행중.

2019.7 노바티스에 안구건조증치료제 자이드라 53억달러에 매각,
2020.3 러시아지역 스타다에 6.6억달러, 라틴아메리카에 8.2억달러, 덴마크 폴란드 비핵심자산 6.7억달러 달러 등등등...

2020.6. 한국 셀트리온과도 아태지역 비핵심자산 2.66억달러에 매각. 한국 포함 아태지역 9개국에 당뇨 고혈압 등 전문의약품 9종,
화이투벤 알보칠 등 일반의약품 등 총 18개 제품군에 시장규모는 연 1700억원 규모, 약 3300억원에 인수한 것임.

다케다는 핵심사업인 소화기, 희귀질환, 항암, 신경정신, 혈장에 주력하고, 당뇨 심혈관사업은 매각할 방침으로 거래가 성사.
매각한 약품들은 출시한지 20~30년된 성장 정체 약물들이 많음.
셀트리온은 아태지역 강화, 한꺼번에 다양한 합성의약품 강화라는 의미가 있음.
-------------------------------------


정도가 되지 않나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6/12 13:39
수정 아이콘
전날 292,000에 물려서 끙끙거리고 있었는데 역시 셀트리온...
담배상품권
20/06/12 13:40
수정 아이콘
으음.. 성장정체약물이 많다면 애매하겠네요
20/06/12 13:50
수정 아이콘
아마 셀트리온은 해당 신약들 특허 만료되면 전세계로 제네릭 뿌릴 것 같네요
사비알론소
20/06/13 00:42
수정 아이콘
제네릭이 나오면 셀트리온한테는 손해아닌가요?
20/06/15 07:26
수정 아이콘
아태에서 끝이 아니라 전세계로 팔 수 있다고 하더라구요
HA클러스터
20/06/12 16:58
수정 아이콘
[매각한 약품들은 출시한지 20~30년된 성장 정체 약물들이 많음]
일본 댓글들을 보니 어차피 특허끝나서 제네릭 쏟아져 나오면 가격경쟁력 상실하고 제3세계 제네릭 제약사들한테 밀릴 제품들이니 잘 팔아치운 거라는 말들이 있더군요.
성야무인
20/06/12 13:59
수정 아이콘
저렇게 기사로 써놨긴 했는데 제약부분에서 어디까지 했는지 모르겠네요.

일단 타케다의 경우 Sigma에 밀리기는 하겠지만 의생물학 실험시약쪽도 관여를 하고 있습니다,

만약에 이부분까지 아태지역에 연관되 있다면 센트리온제 실험 약품도 볼수 있겠네요.
매일매일
20/06/12 15:50
수정 아이콘
다케다는 신약 개발이 되는 제약사 아닌가요?
국내 제약사가 해외에 비해 규모도 연구도 아쉬웠는데 기대해볼만 하겠네요
호랑이기운
20/06/12 16:51
수정 아이콘
이제 알보칠은 불매 대상에서 빠지는건가요?
파인애플빵
20/06/12 17:17
수정 아이콘
일단 정확한 내용들이나 전문적 지식을 가진분들의 글이 없어서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다케다 제약의 약들의 아시아 판매권 확보를 위함이 아닌가
생각 됩니다. 제네릭 약들을 주로 생산하는 셀트리온으로써는 유통라인이 상당히 중요한데 이를 확보하면서 신사업도 되지 괜찮은 딜인것 같습니다.
윗댓글에도 나와 있지만 곧 특허가 끝나 제너릭 약들이 쏟아져 나올때 보수적인 의약품 시장 특성상 다년간 거래해온 업체와 다시 거래를 계속할
확률이 높으니 미리 유통망 확보 차원에서의 거래라고 보여집니다.
동네노는아이
20/06/12 19:30
수정 아이콘
셀트리온 오늘같은 장에도 쭉쭉가드라구요
어디까지 갈려나...셀헬 5주 남겨두고
어디까지 가나 구경중인데 180% 수익중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9607 [일반] 이런저런 이야기. [8] 공기청정기5864 20/12/26 5864 0
89559 [일반] 오피스텔 공과금 참 문제가 많네요. (안락사하고싶습니다.) [28] 유럽마니아14924 20/12/24 14924 6
89453 [일반] 죽음으로 얻는 이익이 생존으로 얻는 이익보다 크다면... [30] M270MLRS9142 20/12/21 9142 5
89305 [일반] 모더나 백신 미국 FDA 브리핑 - 2020.12.17일자 [72] 여왕의심복16007 20/12/16 16007 62
88807 [일반] 모더나 백신 3상 잠정결과 발표 및 자주 묻는 질문 정리 [73] 여왕의심복16596 20/11/17 16596 124
88416 [일반] 이런저런 이야기. [5] 공기청정기6903 20/10/16 6903 2
88411 [일반]  저출산에 대한 소고 + 직접 경험해본 우리나라 출산정책의 실효성 [87] Hammuzzi12607 20/10/16 12607 59
88292 [일반] 예방접종한 당일에 목욕해도 될까? [60] Timeless12761 20/10/06 12761 32
88291 [일반] 이런저런 이야기 [8] 공기청정기6513 20/10/06 6513 3
88213 [일반] 이런저런 이야기. [10] 공기청정기7586 20/09/25 7586 0
87957 [일반] 이런저런 이야기. [22] 공기청정기8516 20/09/03 8516 1
87944 [일반] 기생충, 그 씻을 수 없는 냄새 [22] lightstone11524 20/09/02 11524 74
87862 [정치] 이번 의료계 파업에 대한 개인의 경험 이야기 [38] 넵튠네프기어자매11867 20/08/29 11867 0
87715 [일반] 생화학 테러에 셀프 락다운... [6] 유목민10748 20/08/20 10748 2
87665 [일반] [펌] 고령화에 대한 경제학적 생각. [23] 데브레첸7591 20/08/16 7591 2
87466 [일반] 어떤 자가격리자의 짧은 생활기 [11] 후추통9062 20/07/31 9062 21
87385 [정치] 보험급여 한약제제의 현실 [52] 맥스훼인10854 20/07/26 10854 0
87334 [일반] 이런저런 이야기. [14] 공기청정기7923 20/07/22 7923 3
86696 [일반] 셀트리온, 다케다제약 아태지역 사업부문 인수. '동력'인가 '줍줍'인가 [11] 흰둥8092 20/06/12 8092 0
86178 [일반] COVID-19의 감염여부와 중증도에 영향을 미치는 동반상병 [6] 여왕의심복8623 20/05/12 8623 11
86120 [일반] COVID-19 감염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연구 [27] 여왕의심복12755 20/05/08 12755 66
85770 [일반] 감사합니다 스퀘어 에닉스. [45] 공기청정기13480 20/04/20 13480 0
85598 [일반] 일본 긴급사태선언이라 쓰고 현황유지. (4월 7일 5:45 선언완료) [47] 쿠카부라16956 20/04/07 1695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