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12/20 11:43:42
Name swordfish-72만세
Subject [일반] 크림 전쟁의 어떤 전투와 가디건 스웨터
오스만을 구하기 위해 러시아를 상대로 영국-프랑스- 외 기타 몇몇 떨거지(샤르데냐나 몬테네그로 정도?) 싸운 전쟁인
크림 전쟁. 그 전투 중 하나인 바라클라바 전투 이야기를 할까 합니다.

전투배경은 영프, 오스만 연합군의 주요 목표 세바스토폴 항구 때문입니다.
크림반도에 상륙한 영프 연합군은 크림반도에 있는 중요한 항구 세바스토폴(지금도 중요한!)을 포위하기 위한 군사적 움직임을
가져 갑니다. 그리고 바라클라바는 이 군사적 움직임에 있어 중요한 지점의 근처에 위치하고 있었습니다.


<세바스토폴 위치- 올 포풍같던 러시아 정세에서 중요한 도시 중 하나였죠.>

이 세바스토폴을 포위하기 위해서는 바라클라바라는 마을을 지나쳐 가야 했습니다.

<현재의 바라클라바>

바라클라바는 생각보다 오래된 마을로써 고대 그리스 식민시 중 하나였습니다. 중세때는 동로마 제국의 도시로, 중세 후반에는
제노바의 상업 거점으로 여기를 통해 중세 러시아의 수출품인 노예 등을 팔던 항구였죠. 하나지만 오스만 통치시기 폭망해서
다시 이 지역의 지배자가 된 러시아의 손에 세바스토폴이 발달하자 뭐 근교에 보잘 것 없는 어촌으로 전락했는데....
사실 세바스토폴로 가는 주요 도로가 통과하는 험준한 두개 계곡을 통해 세바스토폴을 방어할 수 있었다는 점이 아니었다면 그냥 뭐
고대 그리스나 중세 역사에 관심 있지 않으면 걍 듣보의 마을로 끝났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 마을에서 세바스토폴로 가는데 필요한 주요 도로가 이 마을 근처에서 험한 계곡을 지나는 바람에 러시아 군은 일단 세바스토폴을 방어하기 위해서 이곳 근처 두 계속에 진을 칩니다.


<세바스토폴이 세바스토폴 만 남쪽에 위치한 바람에 뺑 둘러서 행군한 연합군, 지도를 보시면 알겠지만 이 도시가 아니라
이 도시 근처의 두 계곡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러시아군은 전투에서도 정작 마을은 지키지도 않았죠.>

정작 바라클라바 마을은 버림 받은 상태에서 무혈로 마을을 점령한 연합군은 마을 근처 코샥 만에 대규모 함대를 배치하여
계곡에 위치한 러시아군에 대한 포격을 날렸고, 이곳에 진을 쳐 두 계곡 공략에 나서게 됩니다. 이게 1854년 10월에 일입니다.

러시아군 입장에서는 딱히 이 두 계곡을 지킬 의향은 없었고 적당히 연합군을 막다가 세바스토폴로 후퇴할 생각이었습니다.
어자피 바다 근처라 제해권을 잃은 러시아 군 입장에서 해군 포격의 위력을 몸으로 막아 가며 싸울 필요는 없었기 때문이죠.

그덕에 전투 자체는 그렇게 많은 사상자가 나지 않고 양측 각각 600여명의 사상자를 내며 끝났습니다. 크림 전쟁 자체가 100만의
사상자를 냈다는 점을 생각하면 큰 전투가 아니었던 거죠. 그냥 크림전쟁의 하이라이트 세바스토폴 공성전의 전초전 성격의 야전
이었습니다.

문제는 그럼 왜 이전투가 유명하냐? 딱 이거 하나 때문입니다.

[바라클라바의 경기병 돌격]

이 사건을 단순히 스타 크래프트 적으로 설명하면 이겁니다.

[언덕 공성전차가 배치된 두 언덕 사이에 난 길로 온니 드라군 러쉬]- 실제 전투에 영국 기병 로얄 드라군 대대 참가

[이걸 인간이 뻔히 자살 공격인 걸 알면서 군인이라는 이유로 이 명령을 수행했다는 거....]


<당시 전투 타임 라인 동쪽이 러시아군 서쪽이 영국군, 계곡의 포대는 전원 러시아 포대>


이 멍청한 작전 계획을 1차적 책임은 이인간 래글런 남작 피츠로이 섬머셋 공에게 있습니다.
오스만 군의 졸전으로 러시아군은 다수의 포를 노획했고 이를 통해 바라클라바의 연합군을 향해 역습을 가하려고 했습니다.


영국 육군 중기병대 지휘관인 스칼렛의 기병들이 이런 러시아군의 선봉 기병대를 쓸어 버리면서 다시 러시아군에게 노획된 포대를
되찾을 찬스가 생긴 거죠.

이런 찬스에 정신줄을 놓아 버린 래글런 남작은 부하인 제1기병사단장 루칸 백작에게 도저히 알아 먹을 수 없는 명령서를 보냅니다.
그나마 해독한 내용은 Causeway Height(위 타임 라인 아랫쪽에 위치한 고지 이름)로 기병대를 진격 시켜 탈환할 기회를 잡으라는
것이었습니다.

원래는 보병을 지원해서 탈환하라는 것이었는데, 보병은 다른 전선을 만들고 기병은 Causeway Height로 진격하라는 명령으로
오독한 건 덤이었습니다.


전선의 루칸 백작은 이 명령서를 다 읽은 후 기가 찼습니다. 도대체 뭘 공격하라는 건지 알 수도 없고 어떻게 하라는 건지 알 수 없는
명령서를 보면서 말이죠. 그래서 그는 명령을 실행하지 않을 생각이었습니다.


하지만 연락장교인 루이스 놀란 대위는 이런 루칸의 행동에 열받아 원래 공격 목표인 Causeway Height가 아닌 계곡 가운데
돈 코자크가 진치고 있는 러시아군 방어선이 공격 대상이라고 가르켜 버린 것입니다.
그곳을 점령하기 위해서는 러시아군 포대가 진치고 있는 고지 사이의 외길로쭉 들어 가야 했습니다. 돈 코자크 다수의 포대로
방어선을 방어하고 있었구요.
결국 루칸 백작은 놀란에 굴복하여 카디건 백작이 지휘하는 경기병대에 돈 코자크의 진지를 공격할 것을 명합니다.


이 명령서를 받아본 카디건 백작 제임스 브루데넬은 자살 공격인지 뻔히 알았고 부하들도 만류했지만 공격명령을 내립니다.
그의 부하들 역시 뻔히 이게 자살 공격인 줄 알면서 이 공격을 실행하게 됩니다.

이 장엄하고 뭔가 바보같은 자살 공격을 본 프랑스 장군은 [장관이군. 하지만 이건 전쟁은 아니지]란 평을 내리며
북쪽 언덕의 포대를 제4 엽기병으로 공략하여 일부라도 영국 기병들을 살리는 공을 세웁니다.

결국 제11 드라군 대대 모리스 대위 등 일부는 돈 코자크 진지까지 한번 찍고 총 600명 중 200명 가량을 살려 올 수 있었다는게
지금까지의 알려진 내용입니다. 참고로 놀란 대위는 뒤늦게 자신이 잘못 위치를 찍었다는 걸 알고 깊히 말리러 뛰쳐나갔지만
포 맞아 전사....


<지금까지 알려진 일화로 만든 영화... 그러나 진실은...>

그런데 앞서 말했듯이 이 돌격을 포함하여 전투 총 사상자는 600명입니다. 이는 영국, 오스만, 프랑스군 다 합쳐서 말이죠.
그럼 이전투의 전사자가 400명이면 대부분 여기에서 사상자가 나왔다는 말이 됩니다. 하지만 이건 말이 안되죠. 결국 이것
역시 사실 언론의 장난 스러운 내용입니다.

당시 언론에서는 관련 당사자- 래글란, 루칸, 카디건-에 대해 맹렬히 씹어대었고, 그들이 귀족이기 때문에 이책임에 벗어났다고
단정지었습니다.
특히 이 시기에는 저가의 대중적 신문이 점차 유행하기 시작한 시대인지라 그냥 자극적이고 많이 팔릴 내용을 소설처럼 만들어내어
대중에 뿌리는 옐로 저널리즘의 시대였습니다. 이런 무식한 작전에 책임자 전원이 구시대의 귀족이라는 것도 평민들에게는 상당히
자극적이고 팔릴 만한 내용인지라 없는 것도 만들어내고 있는 내용을 극화시켜서 팔아 먹어 버린 거죠.

하지만 여기에서 카디건은 사실상 상당히 부당한 입장에 있었습니다. 엄밀히 말해서 카디건은 이 말도 안되는 작전을 성공직전까지
이끌었습니다. 한마디로 그는 부하들은 돈 코사크 진지까지 이끌었고 실제로 돈코샤크 기병대에 심대한 타격을 주었습니다.
사실 일부 알려진 거과 다르게 그는 부하들과 동고동락하는 군인의 전형적인 모습을 가진 사내였지만 이 사건 이후 언론의 장난질로
매관매직하는 무능한 귀족군인의 표상처럼 인식되어 버린 거죠.
심지어 후방에서 부하들 죽어 가는 걸 그냥 구경했다는 내용도 있지만 그는 가장 선두에서 돌격을 지휘했습니다. 그리고 살아 남아
부하들을 다시 모으고 재편하여 살려 돌아오게 한 것도 카디건 백작의 공이었습니다.

사실 그후 고발에서 그가 무혐의였던 가장 큰 이유는 귀족이기 때문이 아니라 실제가 바라클라바나 다른 크림 전쟁 당시 전투에서
딱히 무책임하고 무능한 모습을 보여주지 않았기 때문이 컸습니다. 오히려 유능에 가까운 인물이었습니다.


실제 이 무모한 전투 결과는 영국 기병대 270명 사상(100명 전사), 러시아 기병대 패주로 끝났습니다. 이러니 고발이 될리가 없죠.

아무튼 진실이야 어떻든 가운데 이 사건 자체가 언론을 통해 영국 전야 흘러 나와 많은 변화를 만들었습니다.

일단 영국 육군에 만연했던 매관매직제가 폐지되어 실적제로 변화했습니다. 그리고 영국군사 귀족들의 무능이 전국에 폭로 되었습니다.
물론 이는 후대에 직업 관료제에도 심대한 영향을 주게 됩니다. 우리도 그 영향에 있죠.

그리고 영국의 애국주의 표상처럼 되었는데 못난 위것들의 부당한 명령에도 우리는 명예와 의무를 다했다 라는 식으로 대대적으로 포장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는 의류에 미친 영향인데 카디건 백작이 입고 있었던 스웨터가 선풍적인 인기를 얻은 것이었습니다.


물론 옷만 잘입는 한량처럼 다시 카디건 백작이 씹혔다는 건 또 함정이겠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오클랜드에이스
14/12/20 11:47
수정 아이콘
카디건 백작 이야기를 보니
http://media.daum.net/politics/dipdefen/newsview?newsid=20141220063104319

가 생각나네요 크크.
기러기
14/12/20 13:09
수정 아이콘
음? 좀 이해가 안 되네요. 말씀하신 것처럼 계곡에 러시안 포대가 쭉 배치되어 있었고 그 때문에 원래는 영국이 돌격할 생각이 없었다면(명령 수행을 거부할 생각까지 했으니까요) 포격에 얻어맞으면서 돌격한 기병이 패퇴하는것이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보이는데요.

포격에 이리저리 상하고 2차 포격까지 맞은 영국기병을 상대로 상처하나없는 러시안 코사크가 받아쳤다면 당연히 영국기병은 심각한 타격을 입고 러시안 코사크가 승리해야할텐데.. 코사크에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작전을 성공직전까지 이끌었다면 대체 두 기병대사이의 전투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궁금해지네요. 코사크가 무능했던가, 영국기병의 능력이 훨씬 뛰어났다든가, 러시아 지휘관이 이해할 수 없는 명령을 내렸다든가 등등..
swordfish-72만세
14/12/20 13:14
수정 아이콘
코사크의 특성이죠. 전면전에서 생각보다 강한 기병대가 아닙니다. 패주하는 적 상대로는 강하지만요.
거기에 정말 카디건이 생각보다 대단한 지휘관이고 병사들도 질이 좋은 편이라 포격이 1/3이 날라 갔어도 상대방 심대한 피해를 1차 돌격에서
주었고 나중에 중보병이 전선에 도착한 후 재돌격에서 패주 시켜 버린 거죠.
기러기
14/12/20 13:19
수정 아이콘
헐... 그 유명한 러시아 코사크의 실체는 청소부였던건가요?
나이트해머
14/12/20 14:49
수정 아이콘
코사크기병은 전면전에서는 이미 나폴레옹 전쟁때부터 명성만 못했죠. 애초에 17세기 이후 기병의 주역할은 정찰, 첩보, 추격 등 전장의 각종 보조업무였지 전면전은 아니었지만.

그리고 여기서 다시 명성이 하락한 코사크 기병은 결국 러일전쟁에서 숫적 열세인 일본기병을 상대로도 제몫을 못하면서 다시한번 추태를 보입니다. 실제로 여기서 일본 기병의 평가가 굉장히 올라갔고... 그리고 기병의 종말인 세계대전 후에는 뭐.
숙청호
14/12/20 13:09
수정 아이콘
잘봤습니다.
14/12/20 22:05
수정 아이콘
바라클라바????하고 찾아보니 이 지명에서 나온 유래가 맞네요. 도둑비니 말입니다.
서린언니
14/12/21 00:12
수정 아이콘
저도 모던워페어2의 고스트가 생각났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28] jjohny=쿠마 25/03/16 18258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2142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56331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59094 4
104170 [일반] [번역] 무역 포커에서 이기는 패: 미-영 경제 번영 협정 검토 [2] Q-tip3544 25/05/10 3544 0
104169 [일반] 당분간 skt 이용자는 각종 인증 문자서비스 이용을 하지 않으시는게 좋겠습니다. [31] 키토8034 25/05/10 8034 10
104168 [일반] [창작] 논픽션적 픽션 (습작..?) aDayInTheLife1981 25/05/10 1981 0
104167 [일반] 1달넘게 무한 폭락만 하는 미스테리한 나스닥 종목 [12] 독서상품권4645 25/05/10 4645 0
104166 [일반] 백종원의 프랜차이즈 계약은 다른 프랜차이즈보다 왜 더 문제인가 [52] 홍검8614 25/05/10 8614 30
104165 [일반] 도파민. [2] 일월마가2285 25/05/10 2285 3
104164 [일반] 해외 장기 체류자의 건강보험 자격 정지 및 해제 조건이 변경 되네요. [107] 삭제됨9552 25/05/09 9552 3
104163 [일반] 새 교황에 미국 프레보스트 추기경…교황명은 레오 14세 [44] Davi4ever13009 25/05/09 13009 2
104162 [일반] [잡담]우리가 사는 시대가 미래에서 보면 벨에포크가 아닐까 생각하곤 합니다 [11] 여기7272 25/05/09 7272 5
104161 [일반] [컴퓨터 계층]기가바이트 그래픽카드가 죽었습니다 [15] Be quiet7141 25/05/08 7141 2
104160 [일반] 회피와 기회 [13] 번개맞은씨앗10759 25/05/07 10759 6
104159 [일반] 지나가다 에어팟 맥스 사용해본 후기 [23] 김삼관11285 25/05/07 11285 0
104158 [일반] 트럼프를 분석하는것 만큼 무의미한건 없다 [74] 고무닦이11723 25/05/06 11723 10
104157 [일반] 2025년 올해의 백상 대상작품 소개 (스포) [31] 바람돌돌이10132 25/05/06 10132 1
104156 [일반] 카페인을 끊기위한 노력 [57] reefer madness11315 25/05/06 11315 11
104155 [일반] 그 날, 1편 예의바른 아저씨가 된 그 날 [12] 똥진국6422 25/05/05 6422 9
104154 [일반] 겉으로 밝아보이는 사람이 가장 슬픈 이유 [12] 식별12577 25/05/05 12577 57
104153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5)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4 [3] 계층방정3843 25/05/05 3843 5
104152 [일반] 방송인 백종원은 정말 끝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121] 럭키비키잖앙20336 25/05/04 20336 1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