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9/03 13:06:58
Name 無欲則剛
Subject [일반] 한국 여자골프의 몰락과 일본의 굴기 (수정됨)
제목이 자극적이여서 죄송합니다. 이미 몰락했다는 얘기는 아니지만, 확실하게 몰락중에 있는것도 사실입니다.
저는 골프가 취미인 직장인으로 하는것도 당연히 재밌지만 보는것도 좋아합니다. 주로 PGA투어 중심으로 보지만 간간히 여자투어도 보는데요. 박세리키즈들을 내세운 한국여자골프가 세상을 호령하던 시대는 이제 멀리 가버렸고 아마 다시는 돌아오지 못할거 같습니다.
당연히 업계에서도 이미 인식하고 있고 일부 매체들이 기사를 내기도 했습니다.

https://www.chosun.com/sports/golf/2025/04/22/HX5EXC4WLFEQLMLGX45BKQ7Z6Q/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335326

2025년 시즌은 한국의 몰락과 동시에 일본의 약진이 눈부신 한해입니다. 올해 이미 23경기가 치뤄졌는데 한국선수들이 4승을 차지하고 일본이 5승을 차지했습니다. 몰락이라고 하기에는 우승하고 있잖아, 일본도 1승이 더 많은 뿐이잖아라고 생각할수도 있겠습니다만, 그 내역에는 사실 차이가 많습니다. 일본의 5승에는 셰브론 챔피언십과 위민즈 오픈이라는 두개의 메이저가 포함돼있고, 각 경기들에서 10위권 진입횟수는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올해의 투어루키중 한국선수는 한명뿐이고 현재까지는 예선컷오프도 힘든 상황이더군요. 한편 일본은 루키중 우승 3명, 중국도 1명이 나왔습니다. 그리고 국내에는 더 많은 젊은 선수들이 호시탐탐 미국진출 기회를 노리고 있죠.

사실 한국이 박세리를 시작으로 오래동안 세계를 호령할때 일본여자골프는 한창 암흑기를 겪고 있었습니다. 몇년전 신데렐라스토리로 위민즈오픈을 우승한 시브노 히나코선수가 46년만의 메이저우승이였습니다. 일본에서 골프를 해본 적이 있는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일본은 골프장도 엄청 많고 골프인구도 많은 나라죠. 게다가 버블이 깨졌다고는 해도 줄곧 고소득국가였기도 하구요. 그런데 정작 그런 경제 호황기때는 성적이 형편없었습니다. 원인은 결국 동기부여의 결여였죠. 국내 투어에 많은 스폰서가 붙고 스폰서들은 버디러쉬 이글러쉬를 원했고 거기에 맞춰서 쉬운 코스세팅에 그다지 노력을 들이지않아도 높은 수입을 얻을수 있었던거죠. 당연히 해외진출의욕도 별로 없었고요. 일본이 겪은 일은 한 10년지나서 한국에서도 일어난다는 말이 있는데 여자골프도 마찬가지로 현재 한국이 당시 일본과 판박이입니다.  

결국 일본은 2010년전 부임한 코바야시 히로미회장이 여자골프의 부흥을 목표로 여러가지 시책을 낸 결과 근 2,3년 사이에 눈에 띄이는 결실을 맺기 시작합니다. 3일로 구성된 국내투어를 4일로 바꾸고, 거리를 늘리고 코스세팅을 어렵게 하고 해외진출을 적극 장려하는 등 국내의 흥행보다 해외무대에서의 성공을 목표로 했습니다. LPGA랭킹을 보면 얼핏 한국과 일본의 격차가 별로 없다고 느낄수도 있지만 2025년 상금랭킹을 보면 격차가 명백합니다.

과거 한국의 성공을 가능하게했던 엘리트 육성과 혹독한 훈련은 더 이상 한국의 전유물이 아니게 됐고, 일본뿐이 아니라 태국, 중국도 똑같이 그 성공스토리를 복제중입니다. 한국이라는 나라의 규모를 봤을때 여자골프를 제패하는것 자체가 이레귤러한거고 현재의 상태가 어찌보면 정상상태로의 복귀라고 볼수도 있겠습니다만, 아쉽긴 합니다.

아이돌에 관해서는 소녀시대가 몇명인지도 모르는 1인입니다만, 피지알같은걸 눈팅하면서 요즘은 일본을 비롯한 해외에서도 한국형걸그룹 양성이 본격적으로 시작된거 같아보이더군요. 현재 세계를 선도하고있는 K아이돌도 어쩌면 수년후 여자골프의 길을 걸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두서없는 글 죄송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9/03 13:10
수정 아이콘
달이 차면 저물고, 저물었으면 다시 차고 그러는거죠 뭐.
덴드로븀
25/09/03 13:14
수정 아이콘
<오랫동안 골퍼 후원을 담당해온 한 매니지먼트 대표의 지적>
우리 선수들 요즘은 굳이 LPGA 무대에 진출할 동기부여가 잘 안됩니다. [선배들이 다 이뤄놔서 할 게 없어요.]
옛날에는 LPGA에서 우승하면 지상파 아침 뉴스에도 나오는 등 한바탕 난리가 나고 그랬는데 이제 그러지 않죠.

<ai 요약>
KLPGA투어는 상금 규모와 인기가 커져 선수들이 국내 무대에만 집중해도 충분한 보상을 얻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체력·비용 부담이 큰 LPGA 진출 동기가 약화되며, 한국 여자골프의 해외 경쟁력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
及時雨
25/09/03 14:05
수정 아이콘
옛날 이보미 선수가 일본에서 활동할 때 비슷한 얘기가 있었던 거 같은데 한국 내수시장이 많이 커졌나 보네요
덴드로븀
25/09/03 14:08
수정 아이콘
<본문 시사저널 기사 중 발췌>
KLPGA투어는 올해 총 30개 대회가 예정돼 있고 총상금 규모도 325억원이다.
대회 평균 상금액은 10억7000만여원이다.
국내 대회에만 충실해도 실력파들은 적지 않는 상금을 확보할 수 있다.

https://data.klpga.co.kr/record_detail_1th_1.jsp
2024년 정규대회 기준 상금 순위 20위안에 들면 상금액이 5억원 이상이네요. 10위안에 들면 10억원급
스위치 메이커
25/09/03 13:16
수정 아이콘
결론에서 아이돌 얘기가 나오는 건 핀트가 너무 안 맞는 것 같지 않나.. 뭐...
25/09/03 13:1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국내 활동 수입만으로도 차고 넘치다 보니 동기부여가 약화되어 전체적 기량저하로 이어진 건 축구에서 사우디나 중국이 겪은 것과도 동일하죠. 골프뿐만 아니라 지자체/공공기관 팀으로 운영되는 스포츠도 비슷한 문제를 겪고 있죠. 대표적으로 육상...
Rationale
25/09/03 13:23
수정 아이콘
한국형 걸그룹?은 한국 기획사에 소속되는 것부터가 상당히 중요한 요소라서 예를 드신 것과 많이 다른 케이스 같습니다.
사바나
25/09/03 13:29
수정 아이콘
걸그룹은 한국이 pga 위상아닌가 싶긴 합니다 크크
25/09/03 13:25
수정 아이콘
골프뿐만아니라 다른 국내 스포츠도 거의 비슷한 것 같아요.
해외성적을 바탕으로 국내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적당히 국내에서 먹고 살만하니. 뼈를깎는 노력을 안하게되는거고.
이제 그냥 국내까지 같이 저무느냐 아님 다시 도약의 발판을 삼느냐 이런 과도기라고 봅니다.
반면 아이돌은 국내도 이미 과포화에 극한 경쟁시장이라 계속 해외진출을 타진하지 않을까 싶긴해요.
ArchiSHIN35
25/09/03 13:34
수정 아이콘
골프방송 중계보면 답 나요죠.
25/09/03 13:43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KLPGA 경기 보면 드럽게 재미없다고 느낍니다. 실력에 비해 과분한 스폰과 관심을 받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종종 들어요
서린언니
25/09/03 13:43
수정 아이콘
외삼촌이 골프 치시고 방송도 많이 보셔서
요샌 일본 여자골프가 잘한다 하셨는데 진짜였군요
無欲則剛
25/09/03 14:18
수정 아이콘
가장 놀라운건 미국에 건너가서 적응이고 뭐고 필요없이 데뷰 첫해에 우승을 한 선수가 3명이나 나왔다는거죠.
이미 일본투어에서 충분한 스킬을 장착하고 완성형으로 갔다는게.....
덴드로븀
25/09/03 13:57
수정 아이콘
https://m.sports.naver.com/golf/article/003/0011328269
[눈덩이처럼 커진 윤이나의 실수…5번의 기회 있었는데] 2022.07.27
①자신의 공이 아님을 발견한 그린에서부터 다음홀 티샷하기 전까지… 2벌타
②6월16일 1라운드 마치고 난 후 신고했어야 … 실격
③매니지먼트사가 선수에게 사실 확인한 7월16일… 공개사과했어야
④실격처리 통보를 받은 7월20일… 실격 사실 밝히고 공개사과했어야
⑤KLPGA투어 상반기 대회 마친 7월24일… 이때라도 자신 사과했어야

https://m.sports.naver.com/golf/article/421/0007076528
['오구플레이 논란' 윤이나, 징계 절반으로 감경…내년 2월부터 활동 가능] 2023.09.26.

골알못이지만 국내 여자골프하면 이게 가장 먼저 생각나긴 합니다.
이런게 겹치고겹치면서 서서히 경쟁력 하락이 발생하는거겠죠.
수리검
25/09/03 14:15
수정 아이콘
저 짓거리를 한 건 개인의 인성 문제지만

저걸 팬들부터 협회까지 물고빨고 해주며 편들어준건
판 전체가 제정신이 아니랄 밖에
無欲則剛
25/09/03 14:16
수정 아이콘
이 선수가 올해 유일하게 미국에 진출한 한국선수입니다. 기대를 많이 받았지만 현재는 상당히 부진하고 있다고 하네요.
25/09/03 14:32
수정 아이콘
협회는 저 사건이 꽤 아쉽긴 했을껍니다.
간만에 나온 나름 희귀한 타입의 스타 유망주긴 했죠. 실력이 좋은 신인인데 외모와 장타력을 겸비한... 잘 키워보면 판을 더 키워볼만한...
선수 팬들은 쉴드치고 그랬던 듯 한데 ... 그래도 골프 커뮤에선 대부분 여론 안좋긴 했습니다.
과정은 좀 아쉽긴 한데 어쨋건 징계 나왔고, 징계 후에나 복귀 후에는 꽤 반성하고 사리는 모습을 보여주긴 했으니 뭐
크게 영향이 있는 사건은 아닐껍니다. klpga는 여전히 인기 있는거 같고 인기 선수도 많고
수리검
25/09/03 14:18
수정 아이콘
뭐 천년 만년 해 먹어야 하는 것도 아니고

판을 주도하면서 이끌어 나가고
그 결과로 국내 시장도 성공적으로 키웠으니
그걸로 충분한 거 아닐까 싶습니다

국내 시장이 약해서 다 해외 진출하는 게 딱히 바람직한 것도 아니구요

물론 현 KLPGA 기조와 수준은 좀 걱정스럽긴 합니다만
25/09/03 14:20
수정 아이콘
인기가 높아져서 -> 내수시장이 커지고 -> 그럼 굳이 해외나가지 않고 편하게... 하는 게 루트죠. 내수가 받쳐주는 스포츠의 한계랄까...
야구도 그렇고(여긴 그래도 해외가 압도적으로 파이가 크니까 갈수 있으면 가고, 갔다와도 손해는 없지만...)
이제 배구나 다른 스포츠들도 나가진 않잖아요 굳이 무리해서...
괜찮습니다
25/09/03 14:31
수정 아이콘
국내에 한해서 남자대비 여자종목이 훨씬더 잘나가고 상금, 대회도 많은 몇안되는 스포츠중 하나가 골프죠..
남자대회는 매주 대회개최조차도 힘들고, 상금규모도 작습니다...
여자대회는 매주 빽빽하게 일정 차있고, 서로 스폰서 하려고 난리니깐 국내로만 만족할만 하구요.

LPGA로 가면, 전세계를 돌아다녀야되기때문에 힘들기도할겁니다.
밥과글
25/09/03 14:47
수정 아이콘
저는 본문 보고 그런가? 싶다가 댓글 보니 데자뷰가..

내수시장에 안주..갈라파고스화..이런거 일본애들이 한국한테 밀리는 분야에서 매번 하는 말인데..

그러다 결론은 경쟁력 약화와 침식

일본 아이돌들한테 쓰는 말이랑 100퍼 똑같아서 이럴수 있겠다 싶네요

남돌 안하려고 한다던데 진짜 얼마 안남은 것 같기도 하고
생겼어요
+ 25/09/03 14:57
수정 아이콘
좁은 나라에서 투어 돌면서 54홀 플레이만 해도 LPGA에서 개고생하면서 투어도는 것 대비 기대 수익이 결코 적지 않고, 국내에서 비시즌마다 튜닝하면서 스폰 짱짱하게 땡기는게 훨씬 남는 장산데 미국 진출할 이유가 있나요.
無欲則剛
+ 25/09/03 15:59
수정 아이콘
그게 글쎄 그런거로 만족한다 그러면 결국 광복절에 일본 2군한테 이기기 위해서 편파판정해야 되는 여자배구 꼴이 되겠죠.
그리고 국내에서도 충분히 번다고 해도 결국 미국과의 압도적인 차이는 극복못하죠.
일전에 있었던 위민즈 오픈 우승상금이 한 20억즘 될겁니다. 검색해보니 현재 국내투어 연간 상금누적 1위가 10억이 좀 안 되네요.
Far Niente
+ 25/09/03 15:03
수정 아이콘
솔직히 윤이나는 숏게임이 별로라 별 기대 안했고 내년에 황유민 방신실 유현조가 힘내줬으면 좋겠네요
마동왕
+ 25/09/03 15:11
수정 아이콘
내수 시장이 커지면 경쟁이 심해져서 수준이 더 올라가야 할 것 같은데 (이스포츠는 보통 그렇죠), 그렇지 않은 건 진입장벽이 높아서일까요?
국수말은나라
+ 25/09/03 15:1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여골이 여배랑 상당히 비슷해져 가는게 미국에서 개고생하는거보단 한국에서 광고찍고 뛰는게 돈이 더 된다하더라구요

그러면 가성비로 한국 잔류가 더 처우가 좋고 투어 상금 획득율도 좋으니 미국갈 이유가 더 줄어들게 됩니다

반면 일본은 자국보단 미국이 훨씬 소득이 높아지니 잘하면 미국으로 나가려고 하죠 이건 중국 필리핀도 마찬가지

그리고 어느날부턴가 여골은 우승보단 복장이나 외모에 더 눈이가게 되더라구요 분명 장타력이나 실력은 늘은거 같은데 피지컬 쪽이 압도적
無欲則剛
+ 25/09/03 16:02
수정 아이콘
미국이 소득이 높은건 한국도 일본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올해 한국 누적상금 1위가 10억이고 일본이 13억이더군요.
그리고 야구나 이렇것도 마찬가진데 일본선수들이 일본에서 돈을 못 벌어서 미국가는게 아니잖아요.
포도씨
+ 25/09/03 15:25
수정 아이콘
애초에 우리나라가 생활체육이 아닌 엘리트체육위주에 부모 뼈골빼서 육성하던 시스템이라 먹고살만해지면 내려올 수 밖에 없는 구조죠. 주변에 각각 축구, 유도, 골프 시키는 지인들이 있는데 유도가 가장 적게드는데도 년 천만원 들어가고 축구는 이천, 골프는 1억들어가더라고요. 
TempestKim
+ 25/09/03 16:12
수정 아이콘
와 근데 소녀시대 데뷔도 거의 20년 되어가는데...
+ 25/09/03 16:17
수정 아이콘
우리는 극복해 낼 것입니다. 
손꾸랔
+ 25/09/03 16:27
수정 아이콘
역시 답은 헝가리 정신인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32885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1535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5485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70783 4
104907 [일반] 한국 여자골프의 몰락과 일본의 굴기 [31] 無欲則剛3972 25/09/03 3972 2
104906 [일반] 66년만에 한 자리에 모인 북중러 정상 [70] Davi4ever6146 25/09/03 6146 5
104905 [일반] 유행지난 귀칼후기 [25] seotaiji5762 25/09/02 5762 0
104904 [일반] 무인판매점 도난 관련 제가 본 케이스 [83] 슬로8320 25/09/02 8320 8
104903 [일반] 210번째 짧은 생각 [10] 번개맞은씨앗4397 25/09/02 4397 1
104902 [정치] 현대사회에서 다시 조망되는 남성위기의 문제. [81] Restar9719 25/09/02 9719 0
104901 [일반] 제프 딕슨: 우리시대의 역설 [4] onDemand3541 25/09/02 3541 4
104900 [정치] 尹정부 워싱턴 총영사 좌천 인사 전말 [24] 철판닭갈비6273 25/09/02 6273 0
104899 [정치] 고교생 10명 중 4명 '개표 부정' 믿고 계엄엔 반대…'십대남' 현상 확인됐다 [270] 덴드로븀10711 25/09/02 10711 0
104898 [일반] 동네 무인 문구점에서 대량 도난 사태가 있었는데.. [203] 종결자9483 25/09/02 9483 13
104897 [일반] 마침내 병장!!!!…이지만 D-211인 군인의 잡썰 [70] No.99 AaronJudge5949 25/09/01 5949 21
104896 [일반] 낙농업 포기를 고려해야 할 때가 아닐까요? [97] VictoryFood10627 25/09/01 10627 6
104895 [정치] 국회 법사위, 윤석열 구치소 CCTV 열람…"1·2차 모두 속옷차림 거부" [95] Davi4ever12241 25/09/01 12241 0
104894 [일반] 근데 그 빵값 이야기 보다 든 생각인데... [68] 공기청정기14520 25/09/01 14520 6
104893 [정치] 국힘 전당대회 이후 화제가 되고 있는 김민수 최고위원 [156] 베라히15240 25/08/31 15240 0
104892 [정치] 동덕여대 재단이 고소 취하한 것도 정치권 압박이 절대적이었다고 생각합니다. [147] petrus11906 25/08/31 11906 0
104891 [일반] 110가지 짧은 생각 [10] 번개맞은씨앗6596 25/08/31 6596 4
104890 [정치] 윤석열·김건희 모두 당황시킨 '비화폰 통화기록' 이렇게 나왔다 [26] Davi4ever9684 25/08/31 9684 0
104889 [일반] 30대 중반 들어서며 시작한 자기관리 [20] 피를마시는새4780 25/08/31 4780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