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8/21 10:55:36
Name Restar
Link #1 https://www.fmkorea.com/?mid=best&document_srl=8811851821&cpage=3
Subject [정치] 한국 원자력 발전의 원천기술에 대해 볼만한 글.
https://www.fmkorea.com/?mid=best&document_srl=8811851821&cpage=3
글에 사진첨부된 내용도 많아서 그냥 링크를 겁니다. 펨코쪽은 댓글은 무시하고 본문글만 보는게 나은편이라고 생각해요.


간단하게 요약하면, 현재 한국의 원자력발전 기술은 전부다 웨스팅 하우스 원자로를 개선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졌다는 이야기입니다.
(원자력 발전의 시작단계에선 웨스팅하우스 외주로 시작해서, 그 기술을 기반으로 개선해나감)
처음에는 기술이고 뭐고 전기발전이 중요하니까 신경을 안썼고..
그 이후에는 국산화 과정에만 신경쓰다보니 이런 문제는 신경을 안썼고..
수출할 때가 되어서야 문제를 인지했는데, 이때는 이미 늦었다는 내용입니다.

그리고 단순하게 웨스팅하우스라는 업체와의 문제가 아니라, 미국 에너지부와도 얽혀있는 문제라는거고요.


----------------------------------



어쨌든 계약 자체의 문제나 이런걸 둘째치고, 왜 그런 식으로 계약이 맺어질수밖에 없었느냐에 대한 이야기긴 합니다.
우리나라 원전이 생각보다 더 원천기술이 부족하다는건 이번에나 알았네요.

링크글 보다보면, 어떤식으로든 저작권 문제 걸릴수밖에 없었겠다 싶긴 합니다.
얼마나 불공평한 계약이 되느냐의 문제인거지, 불공평한 계약을 벗어날수는 없었던것 같아요.



근데 인간만사 새옹지마고, 우리는 미래일을 모르니 나중에 후회할수밖에 없긴 한데..
이번 원전사태도 결국 원천기술에 대한 문제이고, 사실 이걸 진작에 해결할 기회가 있었다는것도 조금 놀랐습니다.

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4/08/28/VTVX24QJH5DFPGVKTTSDL7ETA4/

이건 이번 계약에 얽힌 웨스팅하우스 인수와 관련된 기사인데
만약 이때 웨스팅하우스를 인수할 수 있었다면, 이런 문제들이 생기지 않았겠죠.




항상 그렇지만, '몰랐으니까!! 이럴줄 몰랐으니까!!' 라고 외치게 되는게 세상 이치인것 같습니다.
우리가 미리 알았으면 10년전에 다들 비트코인부터 사서 모아놨었겠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베라히
25/08/21 11:02
수정 아이콘
원천기술이 없었으면 독자적으로 진출하는게 아니라
같이 협력해서 공동으로 진출을 했어야죠.
UAE원전에서도 독자적으로 진출하다가
결국에는 로열티와 일감을 줘야 했구요.
한수원의 무능+언플 조합에 따른 결과물이라고 생각합니다.
25/08/21 11:06
수정 아이콘
그래서 한수원이랑 웨스팅하우스랑 합작사 만든다는 얘기가 있더라구여 협력차원? 에서
베라히
25/08/21 11:08
수정 아이콘
미국시장 진출용으로 보이는데
미국에서는 태양열과 풍력이 원전보다 더 경제성이 좋아져서
어떻게 될지는 불투명합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5/08/21 12:32
수정 아이콘
100개쯤 짓는다 하지 않았던가요...
뭐 절반만 실제여도 거기 시공하청맡으면 나쁘진 않겠죠 업계입장에선...
페스티
25/08/21 11:03
수정 아이콘
역시 휘청일 때 인수했어야...
베라히
25/08/21 11:04
수정 아이콘
도시바가 인수했을 시점에 했었다면
두산은 망했을지도 모릅니다.
25/08/21 11:05
수정 아이콘
같은 생각입니다. 리먼 브라더스 인수했어야 한다는 같은 회사의 사설도 생각이 나구요.
페스티
25/08/21 11:05
수정 아이콘
그렇겠네요. 인수했다가 이미 다시 팔았을수도
25/08/21 11:07
수정 아이콘
그때는 도시바가 3배를 불러서 불가능했다고 하고..
문재인정권때가 기회였는데, 그때는 전세계적인 탈원전 분위기였어서 (.....)
덴드로븀
25/08/21 11:26
수정 아이콘
[당시 국내 상황]
2016년 9월 12일 : 경주시 남서쪽 8, 9km 지역에서 리히터 규모 5.1, 5.8 지진 발생 [1978년 한국 지진 관측 이래 최대 규모]
2017년 3월 10일 : 박근혜 탄핵
2017년 5월 9일 : 문재인 대통령 당선
2017년 11월 15일 : 포항 북구 북쪽 9km 지역에서 리히터 규모 5.4 지진 발생

월성원전 : 경주 지진에서 25km 정도 거리

사람들이 벌써 까먹은건진 모르겠지만 2016~2017년엔 탄핵도 있었고,
우리나라 내륙에서 50년내 최대급 지진이 비슷한 지역에서 2년간 연달아 발생했고,
그 근처에 원전이 있었다는거죠.

이런 상황에서 파산한 원전기술회사 매물을 산다는 결정을 누가 할수있었을까요?
25/08/21 11:31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저도 몰랐으니까! 짤 얘기를 하는거죠.
미리 알았으면 우리나라도 진작에 독자적인 원전기술 개발했을거고, 웨스팅하우스도 인수했을거고, 우리 모두는 진작에 비트코인을 사놨었겠죠.
카루오스
25/08/21 11:03
수정 아이콘
한국 원전 50년 계약의 배경과 의미

• 한국은 미국 웨스팅하우스 기술을 기반으로 원자력 발전소 기술을 발전시켜 왔으며, APR-1400 원자로를 개발하여 미국 NRC 설계 인증을 받았다.

• 웨스팅하우스는 한국의 원전 기술을 문제 삼아 소송을 제기했지만, 미국 정부의 승인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각하되었고, 이는 한국이 웨스팅하우스와 협력해야 하는 이유가 되었다.

• 한국은 독자적인 원자로 개발 대신 웨스팅하우스의 기술을 개량하는 방식을 선택했는데, 이는 기술력 부족과 핵무기 개발 우려, 그리고 수출의 어려움 때문이었다.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위기로 원자력 발전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한국은 원전 수출을 위해 웨스팅하우스와의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한국과 웨스팅하우스는 지식재산권 분쟁을 종료하고, 미국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원전 수출을 추진하고 있다.

https://m.fmkorea.com/?mid=best&document_srl=8811851821&cpage=3

갤럭시 요약글로 대충 봤는데 복잡하게 얽힌게 있나보네요. 흠...
개가좋아요
25/08/21 11:07
수정 아이콘
다른것보다 50년 계약이 너무 충격이에요. 한세대 아니 두세대가 지날동안 묶여있어야 한다니..
시린비
25/08/21 11:08
수정 아이콘
요약하면 윤정권때 있던 원전계약은 쩔수였다는 건가요
베라히
25/08/21 11:10
수정 아이콘
한수원이 삽질한거죠.
왜 이렇게 독자진출에 목매였는지 모르겠습니다.
25/08/21 11:13
수정 아이콘
그런식으로 요약하면, 더 근본적으로는 문재인정권에서 탈원전을 시도해서 웨스팅하우스 인수를 하지 않았다는 요약도 가능하죠.
이 글에서 굳이 그렇게 쓰지 않은이유는, 그 당시 분위기로 웨스팅하우스를 인수하는게 분명히 무리한 선택이었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야 당시 정권에서 추진하던 탈원전 정책에 문제가 많다고 생각하고, 그게 이런 나비효과를 불러일으켰다고도 생각하긴 하는데..
한편으로는 그 당시 세계적인 분위기라던가, 미래일을 그 당시에 알 방법이 없으니까 그럴수밖에 없었다고 생각하긴 합니다.

그냥 이 협정이 근본적으로는 원전기술 자체에 대해서 저작권이 얽혀있다는 이야기죠.
베라히
25/08/21 11:15
수정 아이콘
당시 탈원전 유행은 후쿠시마원전이 가장 컸죠.
그래서 미국과 유럽의 원전시장이 큰 타격을 받기도 했구요.
25/08/21 11:17
수정 아이콘
그런 분위기에서 웨스팅하우스가 매물로 나온거기도 하죠.
이래서 정말 미래일은 모르는거고요.
모링가
25/08/21 11:10
수정 아이콘
안드로이드 삼성이 샀어야했다와 같은..
아쉽긴 한데 쩔수없고 탈원전 기조로 인수전에 주저하게 된건 많이 아쉽네요
두지모
25/08/21 11:14
수정 아이콘
대충 읽어보니 결국 한국 원전은 미국 웨스팅하우스 기술을 기반으로 발전시켜서 어쩔수 없다는 논조같은데
1. 웨스팅하우스 기술이 불가결한 문제였다면 왜 이렇게 우리나라가 독자적 기술로 수출한다는듯이 과장한것인가?
2. 웨스팅하우스 기술과 별개로 우라나라의 독자적인 기술이 있기때문에 가능한 수출이였다면 우리가 웨스팅하우스에 이런 굴욕적인 계약을 할 필요가 있었던 것인가?

그리고 글의 출처는 에펨코리아와 조선일보. 색안경을 쓰고 볼수밖에 없네요.
25/08/21 11:16
수정 아이콘
아직 원전에 대해서 어떠한 판단도 안하고 있습니다만,
이글이 맞고 결국 누군가의 문제라기 보단 어쩔 수 없었다로 끝난다면...

그 어쩔 수 없는걸 잘 알아보지도 않고 대서특필하고 난리난 언론, 정치권이 얼마나 무능한건지 참....
크레토스
25/08/21 11:17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104784
"기술력으로도 원전강국들 압도"
"저렴한 가격, 칼 공기(工期)가 경쟁력이었다"는 일부 평가에
원전 전문가들 "기술경쟁력 결코 강국 프랑스 등에 밀리지 않아"

https://www.mk.co.kr/news/columnists/11104343
웨스팅하우스가 얼마 전 “한수원의 APR1000 및 APR1400 발전소 설계는 웨스팅하우스가 특허를 보유한 ‘2세대 시스템80’ 기술을 활용했다”며 특허 침해로 몰아가려 하지만 업계는 어불성설이라는 반응이다.
일각에서는 원자로 구성 요소가 증기발생기, 냉각재펌프 등 비슷한 만큼 웨스팅하우스가 더 이상 원천 기술을 주장할 수 없다고 말한다.


이런 기사가 정말 한둘이 아니었는데 이 수많은 원전업계 전문가분들은 어디 간건지 모르겠어요.
저땐 우리 원전기술은 원전강국에 안 밀린다. 원천기술은 예전엔 몰라도 지금은 독자개발한거라 웨스팅하우스가 말도 안되는 소리 하는 거다 그러더니
갑자기 합의는 당연한 거였고 오히려 미국시장 진출 기회가 생긴거다 이런 기사가 넘쳐나고 있는데..
덴드로븀
25/08/21 11:20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9146445?sid=101
[세계원전 절반 지은 130년 전통 美웨스팅하우스 몰락 이유는(종합)] 2017.03.29.
2006년 : 도시바의 품에 안긴 웨스팅하우스의 미래를 의심하는 시각은 드물었음
2011년 : 동일본 대지진 발생 -> 후쿠시마 제1원전 원자로 6기 중 3기 멜트다운 발생 -> 3기 중 2기가 도시바&웨스팅하우스
2017년 3월 : 웨스팅하우스가 도시바에 원전사업 손실(약 7조) 넘기고 미국 법원에 파산보호신청

[당시 국내 상황]
2016년 9월 12일 : 경주시 남서쪽 8, 9km 지역에서 리히터 규모 5.1, 5.8 지진 발생 [1978년 한국 지진 관측 이래 최대 규모]
2017년 3월 10일 : 박근혜 탄핵
2017년 5월 9일 : 문재인 대통령 당선
2017년 11월 15일 : 포항 북구 북쪽 9km 지역에서 리히터 규모 5.4 지진 발생

월성원전 : 경주 지진에서 25km 정도 거리 (지진 당시 큰 문제 없었음)
마라떡보끼
25/08/21 11:24
수정 아이콘
그럼 독자기술로 개발한 체코 원전 수출은 정부의 언플이었다는 거군요? 그 당시에 그렇게 찬양하는 분위기였었는데요
25/08/21 11:31
수정 아이콘
관련주 주식 반등하는것도 그렇고... 그냥 큰 영향은 없는 사안인가 보네요.
물론 그걸 호들갑 떨고 대단한 성과로 포장한 전 정부는 구라 삽질한거고
이번에 그게 밝혀졌다 우리나라 원전 수출 사업은 이제 망했다 한것도 딱히 아닌거고
닉네임을바꾸다
25/08/21 11: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어차피 언감생심이던 미국시장에 사실상 시공정도는 할 수 있을지도 몰라정도일겁니다...이번 한미정상회담에서 잘하면?(그러기 위해선 유럽 진출 언플하던것도 버리고 원자로 개발능력도 사실상 거세하고 말이죠 뭐 독자적으로 원자로 팔아서 운영하느니 그냥 시공하고 돈받고 빠지는게 싸다라는 결론이 내부에 있었을지도 모르죠 크크)
크레토스
25/08/21 11: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사실 망했다고 하기도 그렇긴 한게 잘나가다 이런 합의를 한게 아니라
원래 원전 수출이란게 러시아 프랑스 미국 중국등이 해먹는 시장이었고 우리는 내수나 좀 지었지 세계시장에서 존재감이 거의 없긴 했죠
원전업계나 전 정부가 우리 원전기술로 언플을 너무 세게 했습니다..
뭐 우리나라 기업들이 자주 언플로 과장합니다만 이렇게 대놓고 드러나는 경우는 드물죠
부모님좀그만찾아
25/08/21 11:38
수정 아이콘
주식쪽 원전주 들고 계신분들은 원래 재탕기사란 글들 있긴했는데 바로 반박 기사 뜨고 반등하네요
닉네임을바꾸다
25/08/21 11:34
수정 아이콘
뭐 독자적 수출 가능을 목표로 APR+ 만들던게(진짜로 가능했을진 모르지만...) 탈원전기조에 실제 시공은 엎어지긴했지만서도...
그건 별건이죠 결국 독자적으로는 안되던걸 된다 언플하다 사실상 웨스팅의 시공하청계약을 하게되었으니...
Pelicans
25/08/21 11:34
수정 아이콘
계약 자체가 얼마나 문제가 있는지, 얼마나 불공정 한 계약이 현재 화두인거 같은데 그걸 논외로 해버리면 '이계약은 어쩔 수 없는 배경이 있었다'라는 방어 논리밖에 남지 않는것 같습니다.

해당 계약은 계약 금액이 과도하고 (기존의 기간 계약에서 원전 1기당 계약으로 변경) 그 기간이 너무 긴것 (50년)이 문제 아닙니까?
게다가 한국에서 추후 자체 개발하는 원전에 대해 웨스팅 하우스의 기술 자립성 사전 심사를 통과 해야 한다는 조건이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해당 계약의 불공정성을 얘기하자면 끝도 없을거 같은데요, 원천기술이 웨스팅 하우스에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불공정 계약이 어쩔수 없다라고 퉁치기엔 무리가 있는것 같습니다.

웨스팅 하우스와 분쟁을 종결할 필요가 있더라도 이런 구조의 계약을 하면 안될것 같은데 말입니다. 게다가 웨스팅 하우스가 미국 법원에 제기한 소송도 각하된걸로 아는데, 이런 굴욕적인 조건의 계약을 체결하는게 아니라 국가간의 협의 같은 방법을 통해서 리스크를 줄이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지 않았을까요? 체코 원전 수주해서 실적좀 내세우겠다는 멍청한 의사결정이 아니라면 도저히 이해하기 어려운 계약입니다.

그때 샀어야 했다 라는 주장도 개인적으로는 좀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그때 인수한 도시바 꼴을 보세요 더구나 이런 재정적 리스크를 감수하고라도 수출 통제리스크를 헷징하기 위해서 웨스팅 하우스를 샀더라도 웨스팅 하우스가 미국 법인인 이상 미국의 수출 통제는 여전히 존재 했을 겁니다. 그때 인수 했어도 EPC 실패하고 두산 망하고 헐값에 파는 엔딩이었을거라고 봐요.

펨코 애들이야 결과적으로 문재인이 탈원전해서 웨스팅 하우스 인수 못한게 모든 일의 원흉이다 라고 하고 싶겠지만 이계약은 두번 구르고 봐도 빤스수괴 업적이라고 생각합니다
25/08/21 11:52
수정 아이콘
링크글에 나오는데, 미국법원에서 기각된 이유는 기업이 제소할 문제가 아니라 미국 에너지부에서 제소할 문제다.. 라는거였습니다. 이미 기업사안을 벗어나는 문제가 됐다는거죠.

제가 저 링크글이랑 읽고나서 든 생각은..
불공정한 정도가 심해지느냐 적어지느냐의 차이는 있을 수 있고, 여기에는 윤석열의 잘못이 굉장히 크다고 봅니다만..
이미 저 상황에서 불공정을 없앨수는 없었겠구나 정도입니다.

그리고 웨스팅 하우스 인수관련 문제는, 삼성이 안드로이드 샀어야했다는거랑 비슷한 느낌입니다.
말 그대로 몰랐으니까!!
Pelicans
25/08/21 11:58
수정 아이콘
기울어진 상황이었다고 해도 정도라는게 있으니까요
펨코 글도 사실상 그 정도를 의도적으로 배제하고 '어쩔수 없었던 상황' 과 '웨스팅하우스 인수'를 하지 않았다는 점을 교묘히 섞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적었지만 웨스팅 하우스를 인수 했었다고 해도 restar님이 말씀 하신 불공정은 여전히 존재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니까요.
25/08/21 12:17
수정 아이콘
링크글 보셨는지 모르겠는데, 링크글에는 웨스팅하우스 인수 얘기는 없습니다. 그건 제가 본문에서 추가로 가져온 이야기에요.
링크글 자체는 그냥 원전의 저작권 자체에 대한 얘기만 있습니다.

그리고 웨스팅하우스 인수했으면 어쨌든 상황이 달라질수밖에 없죠. 외부로 재판까지 걸고 넘어가는게 아니라, 내부에서 해결이 가능해지니까요.
Pelicans
25/08/21 13:10
수정 아이콘
펨코 글은 봤는데 restar 님 글과 펨코댓글을 보면서 내용이 섞였던것 같습니다 그부분은 정정 하겠습니다.

제 결론은 웨스팅 하우스 샀었다면? 이라는 가정도 현상황 앞에서는 의미없는 가정이라는 겁니다.
문제의 심각성을 차치하고 배경을 살펴보는것도 마찬가지이구요
군령술사
25/08/21 12:54
수정 아이콘
로열티는 낼만하지만 다른 조건들이 너무 문제죠 쩝
사조참치
25/08/21 11:38
수정 아이콘
본문글에 직접 언급하셨듯이 미국 에너지부하고도 얽힌 문제인데, 애초에 인수 의지가 있었다 해도 가능했을지부터가 의문입니다.
강나라
25/08/21 11:40
수정 아이콘
원전주들 일제히 반등하는거 보면 무지성 선동해놓고 저점 매수 했나보네요. 공포에 털린 개미들만 불쌍하죠.
지구 최후의 밤
25/08/21 11:44
수정 아이콘
이게 어떻게 보면 생각보다 잠잠할 수 있는게
정치의 영역으로 보자면
보수 지지자 : 원전에 대한 지지는 우리 나라 보수의 이념을 이루는 한 축임과 동시에 보수정권에서 진행했던 성과라 비판하기 난감함
진보 지지자 : 사업성의 하락으로 차후 해외 원전 건설 진출이 어려워지면서 (사업성의 하락에 따른 타의지만) 의아스럽지만 탈웑전 기조 형성

이야기가 많이 나오진 않지만 괜히 보수 지지자 중 본 내용을 비판하는 사람들이 열받아하는게 이런 이유긴 하죠.
미래에 진출을 타진할 때 정책이나 이념이 아니라 순수 사업성과 타당성에서 어려워졌다는 점(제 사견으로는 건당 2,400억 로열티면 한 자리수 수익이 나는 원전 건설에서 이득나기 불가능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확실한 건 아니니)
25/08/21 11:44
수정 아이콘
그와중에 어제 세력한테 속아서 털린 개미들까지 완벽한 K엔딩입니다.
카레맛똥
25/08/21 11:48
수정 아이콘
경제지에서 대서특필 했던거 보면 분명 뭔가 의도가 있어 보입니다. 그저 털린 개미들만 불쌍하죠.
베라히
25/08/21 11:55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경제지는 사실상 기업입장을 대변하는 신문이라고 보면 됩니다.
조중동보다도 훨씬 더 친기업이에요.
신창섭
25/08/21 11:50
수정 아이콘
저도 뭔가 기시감이 들어서 찾아보니 4월쯤엔가 한 번 언급됐던 내용이긴 하더군요
간보기로 보유중인 두에빌도 방금 토스알림으로 10% 상승 뜬 거 보니
빅 이슈는 아니고 겁줘서 개미털고 저점매수하는 용도인거 같은 느낌이
베라히
25/08/21 11:57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가 해외원전을 수주한 사례가 UAE와 체코 밖에 없습니다.
우리나라 원전이 잘나간다는 이야기들은 한수원이 언플을 한거구요.
Chandler
25/08/21 11:51
수정 아이콘
에너지문제가 정치화 되는게 안타깝습니다

사실 신재생 원전 싸울게아니라

우린 둘다 해야하지 않을까요?

전기먹는 하마 ai와 기후위기 앞에 그런걸 따질 여유가 있을지..

신재생 100프로가 그러고 가능한 이야기인지도 모르겠고..신재생 투자를 늘려야 한다는 것은 당연합니다만..

그렇다고 원전을 포기할 수 있나요..?빌게이츠가 원전 미는게 바보여서 미는게 아닐텐데요

솔직히 폐기물 문제 같은 문제는 기후위기 앞에서는 해일앞에 조개줍기라고 생각합니다. 그거가지고 싸울 시간에

둘 중 뭐라도 더 투자해서 화석연료 의존도를 낮춰야죠
모링가
25/08/21 11:56
수정 아이콘
딱히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보조금이라는 파이는 한정되어 있으니 신재생 입장에서는 RE100을 미는게 정치적으로 이득이었던 거죠
CF100 미는 사람들 바보 멍청이 취급하던게 엊그제이니 반성들 해야죠
베라히
25/08/21 12:01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와 프랑스 말고 CF100을 미는 나라가 있나요?
모링가
25/08/21 12:07
수정 아이콘
기업이지만 구글도 밀었고요.
원전을 배제하겠다는 RE100 플랜 자체가 탈탄소가 최우선이 아닌 비이성적 사고와 공포심리 조장, 보조금을 노린 탐욕의 결과물이니까요.
선두에 섰던 독일은 탈원전하고 원전 발전량만큼 화력발전소가 늘어났습니다.
이게 반성해야 될 지점이 아니면 대체 뭐겠습니까.
주체적 사고 없이 대세만 따라가니 이런 결과가 나온거죠.

게다가 LFSCOE 기준으로는 태양광이 가장 비쌉니다.
아이군
25/08/21 12:25
수정 아이콘
CF100은.... RE100 보다 어려우니깐요. RE100이 정치적으로 이득이 아니고 난이도가 더 낮아서 그런거구요.

RE100은 이미 상당하게 진행중인(즉 달성한 기업도 상당부분 있는)켐페인이고
CF100은 현재로서는 목표점이에요.

그리고 RE100이 정치적 이득이네 탐욕의 결과물이라고 하기 전에, 일단 이름부터 제대로 해야죠
CF100이 아니고 24/7 Carbon-Free Energy Compact(CFE 24/7)입니다.
이걸 RE100에 맞서는 것처럼 이름을 CF100으로 바꾼건 윤석열 정부죠
https://namu.wiki/w/RE100#s-3.2

애시당초 이름부터 정치적인 CF100이야기 하면서 RE100이 정치적이라고 하면 곤란합니다.
모링가
25/08/21 12:30
수정 아이콘
간단한 문제입니다. 소모한 만큼 구매하기만 하면 RE로 쳐주는 것을, 거기에 왜 원전을 끼워넣지 못할까요?
원전을 끼워넣으면 탈탄소화라는 궁극적 목적에 훨씬 더 쉽게 다가서는 방법인데요?
따라서 RE100은 근본부터 모순이 존재하는 겁니다.
여기에 답을 못하는 이상 RE100은 결코 비이성적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습니다.
아이군
25/08/21 12:38
수정 아이콘
RE100이 뭐 세상에 존재하는 무슨 무결점의 뭔가 라고 보지는 않습니다.
세상사 당연히 문제가 있고 그러니깐 개선하려는 노력이 있죠.

하지만 CF100보다는 낫다고 봅니다. 최소한 더 할 만 하거든요. 난이도로 이야기하면 CF100은 RE100의 다음 단계라고 할 만하지(그래서 구글이 RE100 달성 후에 CF100을 목표로 하는 중) 대립되는 뭔가가 아닙니다.

CF100에 원전이 가능하다는 이유 하나로 CF100에 정치를 덕지덕지 뭍히는 건 RE100측이 아니라 윤석열 정부와 원전 마피아가 아닌가 싶습니다.
모링가
25/08/21 12:44
수정 아이콘
re100 달성이 쉬운건 돈주고 사면 끝이기 때문입니다.
제가 질문드린 것은 왜 re100 만들때 돈 주고 사면 끝인 것에 원전을 포함하지 않았느냐는 것이지요.
훨씬 더 쉽지 않습니까? 탈탄소도 훨씬 더 잘 되지 않습니까?
어차피 cf100이 re100의 다음 단계라면 원전을 처음부터 포함하지 못할 이유가 무엇입니까?
굳이 화력발전소 늘려가면서 re100 달성한 다음 cf100을 추진해야 할 이유가 어디있습니까?
그냥 Re100에 원전을 포함하면 끝나는 거였습니다.

무결점의 뭔가를 갖고오라는게 아닙니다. 너무나 자명한건 좀 하라는 것일 뿐이지요.

이에 대한 대답은 당연히 정해져 있습니다. 신재생 업계의 막대한 보조금을 노린 정치질의 결과이기 때문입니다.
국내에 한정해서 윤석열 원전 마피아 탓할게 아닙니다.
아이군
25/08/21 12:56
수정 아이콘
죄송합니다만, RE100은 국제적 켐페인이고 국내 정치와 사실 상관이 없습니다. 윤석열이 100년 집권해도 RE100 은 RE100이죠.
국내에 한정해서 윤석열 원전 마피아 탓할게 아니라는 말 자체가 이상합니다.

RE100은 애시당초 신재생에너지 사용을 촉진하기 위한 켐페인입니다. 이걸 '신재생 업계의 막대한 보조금을 노린 정치질의 결과'라고 보는 건 본인이 너무 정치적으로 생각하는 겁니다.

일단 크게 말해서 궁극적으로 원전은 신재생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는 정도지 이게 신재생의 본체여서는 곤란합니다. 핵폐기물 같은 이야기를 치우더라도, 일단 너무 비싸서 돈 많은 나라에서나 쓸 수 있는 물건이에요. 이걸 RE100에 포함시켰다가는 단기적으로는 몇몇 나라에서 원전으로 떼운다음 신재생에는 투자를 안 할게 뻔하고, 장기적으로는 돈 있는 나라만 탈 탄소화하고 가난한 나라는 여전히 매연을 내뿜는 문제가 지금보다 훨~~씬 더 심각해 질게 뻔합니다.
모링가
25/08/21 13:02
수정 아이콘
나무위키를 가져오셨으면 최근 동향도 보시고, 아래에 있는 탄소금융 제도에 역행 가능성 문단도 보시길 바랍니다.
저는 처음부터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라고 언급하고 시작했습니다만 윤석열 탓을 하며 cf100을 국내문제로 한정하려 한 건 아이군님입니다.

원전이 비싸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링크에서 LFSCOE를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태양광이 훨씬 더 비쌉니다. 훨~~씬.
https://en.wikipedia.org/wiki/Cost_of_electricity_by_source

이후 이어지는 미래 예측에 대한 말씀이야말로 아이군님께서 지나치게 원전에 부정적인 정치적 입장을 가지고 계시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보입니다. 딱히 납득할만한 근거가 없으십니다.
아이군
25/08/21 13:22
수정 아이콘
1. 윤석열 탓을 하면 CF100을 국내문제로 한정하려 한 건 아이군님이 아니라 애시당초 CF100이 윤석열 정부 용어잖습니까.

2. 님 님께서 올린 링크를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물론 신재생이 비쌉니다. 하지만 신재생은 싸지고 원전은 비싸집니다. 님께서 올린 링크의 모든 그래프가 공통적으로 지적하는 부분입니다. 앞으로도 원전은 비싸질 수 밖에 없습니다. 신재생은 싸질 확률이 높구요.

3. 왜냐하면 지금까지 원전마피아들은 열심히 남을 비난하고 깔보고 있다가 결국 이 꼬라지가 났거든요. 웨스팅하우스는 시공능력없는 껍데기 기업, 한국 없으면 아무것도 못한다고 깔보다가 결국 한국은 웨스팅하우스의 하청업자 라는 걸 자인하는 계약을 맺었습니다. 웨스팅하우스에 문제가 있기는 하겠죠. 하지만 그 하청업계로 전락한 한국 원전이 그걸 비웃는 건 그냥 정신승리잖습니까. 지금도 다른 분야에 대해서 열심히 비난하고 있는데, 본인 눈에 있는 들보는 못 보고 남의 눈의 티끌을 비웃어야 쓰겠습니까? 당장 한국에서 CF100 하는 데 몇년이나 걸립니까? 그 이전에 이거 가능은 합니까? 솔직히 저는 불가능 하다고 봅니다.
모링가
25/08/21 16:3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이군 님//
나무위키 보시면 알겠지만 국제활동을 합니다. 애초에 국내한정으로 논할 수 없는 내용입니다.

LCOE를 보시라고 한게 아니라 LFSCOE를 보시라고 한 겁니다. LCOE는 대형발전소들만 존재하던 시절 나온 개념이라 신재생과 같은 발전이 초래하는 엄청난 비용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원전마피아나 웨스팅하우스의 시공 능력 따위는 제 논점이 아닙니다. 윤석열은 못난 놈이 맞고 알려진 계약은 실망스럽기 그지없습니다.
국제사회가 RE100같은 정신나간 짓거리보단 조금 더 생각했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24/7 CFE는 어렵죠. 근데 RE100+원전은 왜 못합니까? 제가 뭘 지적하고 있는지 모르십니까? 저는 문재인 정부를 공격하고 있는게 아닙니다.
소독용 에탄올
25/08/21 17:05
수정 아이콘
모링가 님// 원전이 짓는데 너무 오래 걸려서 그런것 아닐 까요.

60년 넘게 쓰는데 짓는데도 20년쯤 걸리니....
모링가
25/08/21 17:12
수정 아이콘
소독용 에탄올 님//
간단하게 예를 들어드리면 탄소배출량이 더 많은 독일보다 프랑스의 기업들이 RE100 인증서를 더 많이 구입해야 합니다. 뭔가 이상하지 않습니까? 기존 원전도 인정을 안해주는 방식입니다. 이에 re100 측은 목적이 신재생에너지를 늘리는 것이지 탈탄소가 목적이 아니라고 하는데, 탈탄소가 목적이 아니라면 굳이 신재생을 늘려야 할 이유도 없게 되는 촌극이 발생합니다.
호비브라운
25/08/21 23:49
수정 아이콘
모링가 님//원전 짓는 시간에 대한 답도 해주셔야 합니다. 탈탄소의 목표 시점이 2050년인데, 인류의 전력 시스템을 원전으로 다 몰빵해도 시간이 부족합니다. 당장 입지선정, 주민수용성 등 사회적 절차를 다 밟고 지어도 탄소중립 시기가 지나거나 임박할 텐데. 그 20~30년 사이는 뭘로 땜빵해야할까요. 
모링가
25/08/21 23:56
수정 아이콘
호비브라운 님//
신재생을 해선 안된다는 논리가 아닙니다. 독일과 같이 탈원전이라는 수단을 써선 안된다는 것입니다. cf100이 아닌 re100이 선택된 이유이고, 그 점을 비판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호비브라운
25/08/21 23:46
수정 아이콘
 정치적으로 re100이 등장했고, cf100을 반대급부를 키운 것도 정치적인 건 인정해야 합니다. 그러나 re100에서 원전을 포함하지 않는 건 경제성보다도 지속가능함의 이유입니다. 경제성은 재생에너지 나날이 좋아지고 있어서, 일부 지역에선 원전보다 비교 우위에 있기도 하고요.




원전의 장점과 효율성, 인정할 수밖에 없는 지점도 있습니다. 그러나 지속가능함에서 내세울 목소리가 없는 걸요. 3차원적 이익은 있겠지만, 4차원으로 넓히면 너무 비용이 큽니다. 수십만년 동안 방폐장 지역 인근을 활용하지 못하니까요. 몇백년 동안 썩지 않는다는 이유로 편하고 유용한 플라스틱조차 회의의 대상이 된 지금인데, 원전은 비교조차 가능합니까..반감기 수십만년동안의 비용은 무한대에 가까워서 원전의 비용으로 계량화 자체가 어려운데, 이것도 얘기하셔야 공평하죠. 그에 반해 재생에너지의 부대 비용은 비교적 너무 적지 않나요?

덧붙여 인증서 얘기를 하시는데, 인증서가 최종 종착지는 아니지만, 한정된 수량이 있다는 전제 조건에서, 재생에너지에 우회적 보조를 해주는 수단으로 생각하면 손가락질할 건 아닙니다. 일시적이겠지만 그런 인센티브를 보면서 재생에너지에 투자하거나 사업을 하는 플레이어들이 늘면 늘었지 줄어드는 요인으로 작용하진 않으니까요.
모링가
25/08/22 00:01
수정 아이콘
댓글을 새로 써주셔서 그런지 작성한 답변이 날아갔네요.
정치적인 공격이 발생한다면 균형을 맞추기 위해 역시 정치적 행보를 보일 수 밖에 없습니다.

lcoe는 계속해서 하락하고 이후에도 내려갈 예정이나, lfscoe는 태양광이 훨씬 더 비쌉니다.
무한정 먼 미래의 비용까지 모두 끌어와서 계산하는건 이치에 맞지 않죠.
기술이 발전할 여지는 신재생과 원전 모두에게 있습니다.

탈탄소가 제1목적이 아니라면 신재생을 푸시할 이유가 없고, 탈탄소가 제1목적이면 원전을 배제할 근거가 빈약해집니다. 수십만년 뒤의 위험성보다 당장 100년 내 인류가 멸망할 가능성이 훨씬 높습니다.

인증서 지적은 원전을 포함하면 해소될 문제입니다.
호비브라운
25/08/22 00:12
수정 아이콘
시간축을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시군요. 탈탄소와 경제 모두 넉넉잡아도 2050년 안에 쇼부를 봐야하는 거라고 보고요.
lfscoe를 자꾸 강조하는데, 기존 전력망이나 시스템이 수십년 간 전통적 전원에 최적화되고 맞춰져서, 현재 스냅샷만 찍어보면 당연히 기울어지는 게 맞죠. 전화선 다 뚫어놨는데, 인터넷망 다시 깔아야되니까 인터넷은 돈 많이 든다고 하지 말자는 것과 무엇이 다르고, 전기차로의 전환이 이뤄지는데, 모터, 배터리 개발하느라 돈 들고 전기충전소 인프라 새로 까느라 돈이 드니까 전기차 하지 말자는 것과 무엇이 다를까요.

저장기술, 스마트그리드, 수요반응(DR), VPP 등 시스템 혁신이 동반되면서 재생에너지의 lfscoe 역시 가파르게 감소 중이어서 금방 역전하리라 봅니다. 원전은 역으로 건설 지연과 비용 과다, 제도적 장애, 기술 보완으로 인한 경제성 하락 등으로 전망이 불투명하고요. SMR 역시 원전의 강점이었던 규모의 경제성을 내려놓는 트레이드 오프가 너무 큰 대안에 불과하죠.

가장 중요한 지속가능함에 대한 반론은 없군요. 이게 re100에서 원전을 포함하지 않은 이유입니다. 그리고 원전 반대론자들의 치트키고요. 돈으로 퉁칠 수 없는 건 인정하시는 거겠죠?
호비브라운
25/08/22 00:15
수정 아이콘
무엇보다 100년 뒤 멸망할 가능성이 크니 수십만년 동안의 비용을 떠넘기고 수고로움과 시종일관 느껴야 할 부담과 일시에 탕감할 수도 없는 짐을 주는 걸 인정해야 된다니 뭔가 이상하지 않나요..? 개인적으론 이게 탈탄소 말고 화석연료 계속 태우자는 주장이랑 뭐가 다른가 싶기도 합니다..
모링가
25/08/22 00:40
수정 아이콘
경제성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죠. 신재생은 비중이 늘어날수록 계통에 심각한 무리를 줍니다. 스마트그리드 실증사업은 계속해서 상업성확보가 어려워서 지지부진하잖습니까.
재생에너지 관련 기술은 무한정 낙관적으로 접근하고 원전에 대해서는 불필요한 수준까지 비관적으로 접근하면 균형있는 시각이라 보기 어렵습니다. 이게 신재생 업계의 정치력이기도 하지요.
re100밀다가 원전도 다시 고려하게 된게 현실이지 않습니까. 탈원전하고 화력발전소 늘린건 말할 것도 없구요.
100년뒤 멸망을 피하지 못하면 수십만년 뒤의 위험은 생각할 필요도 없어집니다. 오히려 그건 행복한 고민이죠. 신재생 업계가 조장하는 과도한 공포마케팅에 의한 편향에서 극복할 필요가 있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5/08/21 12:07
수정 아이콘
뭐 원전은 이미 30퍼대고 신재생은 10퍼도 안되는 우리나라에선 사실 투자해야한다면 어디였을까요...
Chandler
25/08/21 15:30
수정 아이콘
그렇다곤 하나 30퍼라고 해서 신규건설을 다 백지화 시키고 중단시키는건(당시 여론이나 국제 상황 등을 고려했을때 이해는 가는 부분은 있습니다만) 원전 산업 인프라를 다 날려먹는게 맞긴 맞아서..

수출이라도 중요한게 우리가 안 지을거면 다른데 팔아서라도 일단 그 산업 생태계는 유지하는게 필요해서라는 내용을 어디서 보긴 했습니다..있는거만 유지하다가 다 없에버릴게 아니라 수명 끝나면 결국 다시 짓긴 지을거라면 산업 인프라 다 날려먹고 다시 지을라면 그것도 문제니깐요..
닉네임을바꾸다
25/08/21 15:49
수정 아이콘
뭐 수출이야 로열티나 잘 내거나 원천기술을 가지거나 했어야했고...
국내에 짓는건 흠...뭐 무한히 늘릴 순 없고...
개가좋아요
25/08/21 12:09
수정 아이콘
신재생에너지에 부정적인 입장이었는데.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는 글을 많이 봐서요,근대 미국이 요사이 하는짓들 보니 어떻게 몸을 비틀어서든 신재생에너지에 사활을 걸어야 하긴 해야 할것 같습니다.
새우탕면
25/08/21 12:13
수정 아이콘
미국만 놓고 봐도 당장 필요한 전력은 많으나 원전은 짓는데 너무 오래 걸리죠. 그에 비해 신재생은 적은 시간 적은 노동력 적은 예산으로 만들 수 있으니 현실적으로 지금은 거기에 몰릴 수 밖에 없다 봅니다.
아따따뚜르겐
25/08/21 12:11
수정 아이콘
사실 기존 탈원전과 좀 다른게 smr 상용화에 대한 기대가 커져서 탈원전에서 돌아오는거라, 탈원전 기조가 강해진게 후쿠시마때문인데 원전의 위험성이 줄어드니까 안 할 이유도 없거든요.
아이군
25/08/21 12:11
수정 아이콘
저는 님에게 동의하면서, 그러니깐 일단 원전측은 좀 쳐 맞아야 된다고 봅니다.

애시당초 박근혜 공약 때 부터 에너지 공약은 신재생에 좀 더 집중이 가 있습니다.
https://www.ekn.kr/web/view.php?key=201964
(물론 근혜공주는 논다고 잘 지키지는 않았음)
문재인 때도 홍준표 정도를 제외하고는 전원 신재생에 집중하는 게 공약이었죠

이걸 문재인때 원전마피아가 정치와 손을 잡았고, 문재인 욕할 수 있으니깐 그들의 말을 '전문가'라는 허울을 씌워서 띄워준 게 바로 언론과 보수였습니다. 애시당초 정치화 시킨게 원전마피아 본인들이에요.
아따따뚜르겐
25/08/21 12:15
수정 아이콘
후쿠시마 때문에 전세계가 탈원전 기조였죠. 크크 이게 팩트인데 갑자기 인과관계가 바껴있습니다.
25/08/21 12:24
수정 아이콘
근데 대통령 되자마자 원전계획 전면 재검토하면서 공사 착수되던것도 중단시키고 이러기도 했어서요.
전 문재인정부가 원전에 지나치게 적대적이었다고 봅니다.
전세계적으로 탈원전 분위기였다는거 감안하더라도, 필요 이상으로 적대적이었어요.
덴드로븀
25/08/21 13:02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s://www.gallup.co.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847
[데일리 오피니언 제267호(2017년 7월 2주) - 원자력 발전과 신고리 원전] 2017/07/13
● 대통령 직무 수행 평가: '잘하고 있다' 80% vs '잘못하고 있다' 12% (문재인)
●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 '계속해야 한다' 37% vs '중단해야 한다' 41%
● 우리나라 원자력 발전소, '안전하다' 32% vs '위험하다' 54%

https://www.gallup.co.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935
[데일리 오피니언 제312호(2018년 6월 4주) - 법정근로시간 단축, 원자력발전] 2018/06/28
● 대통령 직무 수행 평가: '잘하고 있다' 73% vs '잘못하고 있다' 16%
● 국내 원자력발전 '확대' 14% vs '축소' 32%, '현재 수준 유지' 40%
● 현 정부 에너지 정책 방향, '찬성' 72% vs '반대' 15%

https://www.gallup.co.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1117
[데일리 오피니언 제405호(2020년 6월 2주)] 2020/06/11
● 대통령 직무 수행 평가: '잘하고 있다' 60% vs '잘못하고 있다' 32%
● 국내 원자력발전 '확대' 26% vs '축소' 24%, '현재 수준 유지' 38% - 작년 1월과 비슷

https://www.gallup.co.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1308
[데일리 오피니언 제501호(2022년 6월 5주) - 원자력발전 정책 방향] 2022/06/30
대통령 직무 수행 평가: '잘하고 있다' 43%, '잘못하고 있다' 42% (윤석열)
원자력발전 정책 방향: '확대' 39%, '현재 수준 유지' 30%, '축소' 18%
2018년 '원전 축소' 우세에서 4년 만에 '확대' 우세로 반전

16/17 2년 연속으로 큰 지진까지 난 상황에서 당시 국민들이 원전 자체를 별로 안좋아했으니까요.
세계적 분위기 + 국내 상황 + 국민 지지 3박자가 맞으니 강력한 탈원전 정책을 유지했던거죠.
아따따뚜르겐
25/08/21 13:09
수정 아이콘
유럽 선진국이 탈원전 버리기 시작한 것도 러우전쟁 영향이 커서 걍 당시 기준으론 여론에 따라 탈원전 기조가 맞은거죠. 문재인이 특별했던게 아니라
조랑말
25/08/21 12:14
수정 아이콘
원전관련글에 댓글을 안 달고 있는데, 정말 몰라서 못 달겠습니다...
일전에도 말했지만 재생에너지도 마찬가지 이슈라 항상 조심스러운 스탠스입니다.

윤석열이 잘했을거란 일말의 기대도 없지만, 원전산업 자체가 워낙 복잡한 영역이고 국가안보와 미국 중심의 원자력 질서가 결합되다 보니 외교와 마찬가지로 일반인 수준의 시야로는 마스킹된 부분이 많다 생각합니다 (다 공개하기 어려운 구조이기도 할거구요). 국제무역사 자격증 수준의 시야로는 정확한 득실을 계산하기가 너무 어렵네요.

웨스팅하우스에 너무 퍼준다고 생각은 하고 있었는데 원전기술의 토양이 웨스팅하우스발이라면 이해가 안 되지는 않네요. 좋은 글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Pelicans
25/08/21 13:12
수정 아이콘
해당건에서 득실은 따질 필요가 없습니다.
본문 글 역시 엄청난 손실의 계약이라는 것을 거세하고 ~한 배경이 있었다 정도가 볼 수 있는 부분이지 어떤 득이 있다 는 내용이 아닙니다
이번 계약 논란에서 득은 0라고 해도 좋을겁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5/08/21 13:56
수정 아이콘
뭐 앞으로 독자적으로 원자로 개발같은건 포기하고 웨스팅하우스의 충실한 하청으로서 이익을 챙길 수 있을지 지켜봐야죠...크크
iPhoneXX
25/08/21 12:34
수정 아이콘
원전이랑 재생에너지는 병행이 가능한거지 택일 해야 되는게 아니죠. 왜 자꾸 이상한 프레임으로 가지고 가는 분들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수출 하려면 최소한의 기준 RE100 맞추고, 미래를 위해서 원전도 꾸준히 준비하는게 정답입니다.
제조업 수출이 메인인 곳에서 아직도 산 깍아서 태양광 하네 어쩌네 이런 무식한 소릴 왜 자꾸 해대는지...
지금 우리 경쟁으로 볼 수 있는 국가들만 봐도 걔들이 돈이 남아돌아서, 기후 조건이 우리나라보다 월등이 좋아서 태양광 깔고 하는게 아닌데 말이죠.
나중에 재생에너지 조달 못하면 그나마 제조업 기반의 경쟁력도 타국에 넘어가게 될 가능성도 높습니다.
자국에서 생산한건 자국에서만 쓰게 되면 내수 시장 작은 곳에선 일자리도 그만큼 줄어들 가능성도 높고요.
제조업 하는 어지간한 선진국들은 지금 재생에너지 다 준비해 놓고, 더 많은 전기수요를 감당하기 위해서 원전이니 화력을 짓는겁니다. 기존 태양광, 풍력 다 버리고 시작하는게 아니라...반에서 1등 하는 애들은 다 준비해놓고 다른거 준비하는데 반에서 꼴등하는 애를 위해서 자기들 깔아놓은 기반을 버리는 멍청한 짓을 누가 할까요?
뿌엉이
25/08/21 12: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손해보는 계약도 때로는 할수 있지만 기간이 문제죠 10년 15년 이정도면 모를까
50년은 어떤 이유을 붙여도 잘못된 계약입니다
웨스팅 하우스가 기술 특허 있고 단가와 시공능력은 많이 부족한 업체라 우리가 협상에 일방적으로 불리한것도 아니었어요
웨스팅 하우스도 우리랑 협력을 안하면 단가가 너무 높아져서 미국내 원전이면 모를까 수출을 하긴 어렵죠
25/08/21 12:42
수정 아이콘
50년은 구형 원자로 기준이고 하더라구여
아따따뚜르겐
25/08/21 12:46
수정 아이콘
이제 그 구형 원자로를 어떻게 증명할건데요. 지금 이거만 해도 외부적 홍보로는 독립했다 이러더니 이렇게 된건데
25/08/21 12:48
수정 아이콘
구체적으로 OPR. APR 모델 2종만 해당된다고 합니다
아따따뚜르겐
25/08/21 12:52
수정 아이콘
“원자력 기술 자립화 앞당길 것” (2009.12.12) https://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3369
이대통령 "원전 기술 자립의 꿈 이뤘다"(2012.05.04) https://imnews.imbc.com/replay/2012/nwdesk/article/3056013_30413.html

??
25/08/21 12:59
수정 아이콘
APR 은 2001년 만들어진 기술입니다
아따따뚜르겐
25/08/21 13:01
수정 아이콘
오호 그럼 개발하면 되겠네요.
닉네임을바꾸다
25/08/21 13:02
수정 아이콘
백날 신규개발해도 그거 확인은 웨스팅이 합니다...의미 없...
웨스팅이 어 우리기술썼는데라고 빠꾸하면 되고 그러면 제3기관이라고는 하는데 정확히하면 미국기관이 검증을 다시할 순 있는데 바뀔까요?
아이군
25/08/21 13:00
수정 아이콘
그거야 당연히 구형 원자로 기준이지 신기술로 원자로를 만들면 당연히 아니죠...
진짜 무슨 현대 자동차 삼성전자도 웨스팅하우스에 로열티 내는 소리를 하지...

T100님께는 진짜 죄송합니다.

그런데 진짜 원전 전문가 라는 작자들이 말도 안되는 헛소리를 하고 그걸 언론은 받아쓰기하고 그걸 모르는 사람이 믿는 상황을 보니 진짜 분노가 쌓이고 자괴감이 드네요...

저런 소리가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습니다. 신규 원전 설계 건설 운용까지 하면 자체기술 원전 수출은 수십년 걸립니다.(그것도 될 지 안 될 지 모름)
25/08/21 13:01
수정 아이콘
일단 저도 홍보에 과장이 끼어있다는 동의하는데
무슨 말도 안되는 계약을 한거냐 이런부분은 잘 모르겠네요
그리고 일반인 입장에서 전문가 의견은 경청할 필요 있다고 봐요
아이군
25/08/21 13:24
수정 아이콘
물론 일반인 입장에서 전문가 의견은 경청해야 겠지만, 무조건 전문가 말을 따르면 이렇게 됩니다.
'시간이 지나면 이통사 수입이 남으면 틀림없이 요금을 내릴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문가는 때론 일반인이 준 질문을 답할 필요가 있죠.
1. 왜 50년인가
2. 왜 유럽시장에서 전면 철수 했는가
3. 왜 SMR(앞으로 개발 할 차기 발전)도 허가를 받아야 되는 가
4. 왜 또 다른 핵심부품도 웨스팅 하우스를 사야 되는가

그리고 지금까지 전문가 중에서 이것에 일부라도 답을 하는 사람 하나도 없습니다. 그 뜻은 변명이라는 거죠.
마라떡보끼
25/08/21 17:50
수정 아이콘
결국 아이군님의 질문에 대한 답변은 없네요
지구 최후의 밤
25/08/21 14:21
수정 아이콘
정확히 이야기하자면 전문가 의견은 비판적으로 경청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전문가는 보통 해당 업계의 이익 당사자기도 하거든요.
25/08/21 12:43
수정 아이콘
거기서부턴 실제로 윤석열 욕하면 되는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불평등함의 정도가 심한건 윤석열 책임이 크다고 봐요.

저 50년이란게 실제로 저희가 알 수 없는 다른 내막이라던가 이유가 있지 않는이상에는, 과한게 맞죠.
아이군
25/08/21 12:45
수정 아이콘
1. 왜 50년인가
2. 왜 유럽시장에서 전면 철수 했는가
3. 왜 SMR(앞으로 개발 할 차기 발전)도 허가를 받아야 되는 가
4. 왜 또 다른 핵심부품도 웨스팅 하우스를 사야 되는가

에 대한 대답은 하나도 없고 이상한 변명만 나오는 걸 보니 진짜 속이 탑니다.
https://v.daum.net/v/20250820173540157
이 뉴스는 보고 빵 터졌습니다. 그럼 당연히 신기술로 원전 만들면 로열티 안내도 되지 그걸 지금까지 못해서 이 모양 이꼴이 나놓고선..
아주 걍 현대 자동차도 웨스팅하우스에 로열티를 내라고 하지 그러냐...
닉네임을바꾸다
25/08/21 12: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입증을 웨스팅이 거기에 반발하면 미국기관이 하는데...
뭐 입증되도 팔 곳은 이미 분할되어서 제한적이고 의미가 크크
뒹굴뒹굴
25/08/21 12:40
수정 아이콘
이번 웨스팅하우스에 협의가 어쩔수 없었다는 분들과 원전이 우리나라 차세대 먹거리다 라는 분들이 겹치는데요.
그런데 협의를 인정하면 우리는 웨스팅하우스 하청 정도인데 이게 어떻게 우리나라 차세대 먹거리가 되는지 신기 합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5/08/21 12:43
수정 아이콘
UAE 해보니까 시공하청하는게 낫다라고 생각했다면? 크크
뒹굴뒹굴
25/08/21 12:44
수정 아이콘
한수원이야 진심으로 그럴수도 있죠.
그런데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어떻게도 그렇게 생각하기는 어려워 보여서요.
25/08/21 12:44
수정 아이콘
원천기술을 가진쪽에 대가를 지불하는거니까요
조선이나 반도체도 마찬가지입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5/08/21 12: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로열티만 좀 많이뜯겼다 이정도면 이 난리가 안났을거같은데요 크크
뭐 로열티를 내던지 아니면 합작을 하던지 했어야할걸 독자가능하다고 쇼하다가 쳐맞은거니 할말이...
Quantumwk
25/08/21 12:50
수정 아이콘
이건에 대해 판단이 잘 안서는 입장이긴한데 일단 원전주 주가는 어느정도 반등은 했네요. 어제 부터 분할매수들어갔는데 반등이 생각보다 좀 빠름.
닉네임을바꾸다
25/08/21 12: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미국에 사실상 시공하청정도는 될지도 몰라정도 반등한거같은데...
여긴 애초에 들어갈 수 없던 곳이니...
이게대체
25/08/21 14:37
수정 아이콘
그냥 원전 독립은 망했고 더 이상 미래 먹거리라고 언플만 안하면 좋겠네요 원전업계에서 자기들 과대평가하며 언플해대다가 이 꼬라지 난 거라
25/08/21 12:46
수정 아이콘
선동하다가 실패하고 다시 우틀않 논리 만들어가나여.
HA클러스터
25/08/21 12:48
수정 아이콘
산업은행이 리만브라더스 인수하려다 나라 말아먹을 뻔한 경험이 있고 도시바는 웨스팅하우스 인수해서 결국 망해버렸는데, 이런 큰 리스크들을 무시하고 우리가 그때 안사서 손해봤다고만 말하는건 좀... 미리 미래를 알지 못하는 이상 함부로 할 이야기는 아닌듯 합니다.
지구돌기
25/08/21 12:51
수정 아이콘
뭐 웨스팅하우스과 합작을 하든 하청을 하든지 해서 원전 수출이나 산업 유지는 가능할 거 같습니다.
원천기술은 없어도 나름 우리나라의 시공기술 같은 건 경쟁력이 있을테니까요.

근데... 그정도라면 과연 지금의 원전주 주가가 맞는지는...
아이군
25/08/21 13:05
수정 아이콘
그렇기는 할 겁니다. 그런데 이걸 '산업'이라고 부를 수 있을 지 모르겠네요.

냉정하게 말해서 이제 '원전 수출 산업'은 없어졌고 '원전 부품 판매 사업'이 되었다고 봅니다.
둘의 차이를 말하자면, [더 이상 국가가 상관할 일이 아니다]라고 봐요.

이제 앞으로는 한수원과 두산에너빌리티가 알아서 웨스팅하우스에 잘 팔면 되는 일이 아닌가 싶습니다.
앞으로 원전산업의 미래를 위해서 국가가 뭘 할 필요성 자체가 없어졌다고 봐요. 할 수 있는 일도 없구요
25/08/21 13:02
수정 아이콘
50년 계약 자체가 현정부가 탈원전을 할리도 없고, 웨스팅하우스 하청만 해도 먹고 사는데는 문제가 없다는 결론에서 나온거라고 봅니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때부터 보수/경제언론, 원자력전문가들, 넷의 수많은 장삼이사들 떠들던건 그저 우스울 따름이네요. 현재진행형이고요.
다람쥐룰루
25/08/21 13:15
수정 아이콘
그냥 기술도 없고 능력도 없는 주제에 위에서 자체기술 원전수출 이런거로 공치사 하고 싶어서 난리치니까 어떻게든 비벼볼려다가 웨스팅하우스한테 코꿰였다는거죠 뭐
하청 노동자로 먹고사는데 지장없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먹고사는데 지장이 있는 직업이 뭐 얼마나 있겠냐는 답을 드리고싶네요
돈은 안되고 가끔 적자도 나는데 그나마 먹고는 사는 직업이 원전수주인거죠
아이군
25/08/21 13: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더 정확히 말하면 신재생 수출 가능성이 나오기 시작하니깐 억지로 나온 논리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https://www.2050cnc.go.kr/base/board/read?boardManagementNo=43&boardNo=1293&searchCategory=&page=38&searchType=&searchWord=&menuLevel=2&menuNo=73

우리가 원전의 거창한 금액에 현혹되어 있는 동안 천대 받던 태양광은 꾸준히 수출하고 있습니다. 2022년 수출액 16.4억불이면
체코 원전에 결코 떨어지는 금액이 아닙니다. (다시 말하지만 체코원전 30조 라고 해도 기간 15년으로 나누면 1년에 2조 정도입니다. 심지어 순이익을 예상하면 압도적이에요)

위에 쓴 댓글에 더해서 이제 [원전 부품 판매 사업]은 한수원과 두산이 알아서 잘 하시고, 우리는 [신재생 에너지 수출 산업]에 더 많이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리부트정상화
25/08/21 15:01
수정 아이콘
알아서 잘 하게 뒀으면 좋았을텐데요. 문재인 정부 시기 '성공적인' 탈원전 정책을 복구는 해야할거 아닙니까
허어여닷
25/08/21 15:41
수정 아이콘
지금 이 상태면 국민들 인식에는 친원전 쪽이 스스로 자진처형 집행에 사인한 모양새라 안될 겁니다 이제와서 이렇게 불공정 계약 맺고 해명이란 것도 이런 식이면 '정상화 해야 할 이유 있어?' 소리 나올 수 밖에 없거든요

뭐 중수로랑 재처리 허용이라면 핵무장 찬성파에게 그걸로 지지 받을 수는 있을 겁니다
25/08/21 23:35
수정 아이콘
이렇게 된 이유를 거슬러 올라 올라 가다보면 박정희가 핵개발 시도했던 이야기까지 끌려 나오는데 그러면 중수로, 재처리 같은 건 '되겠냐' 소리가 절로 나옵니다...
팔라디노
25/08/21 14:14
수정 아이콘
그냥 첫 원전 수출인 바라카 원전부터 글러먹은거 같아요 
저때도 웨스팅하우스에서 태클걸었는데 
결국 돈주고 해당부품들 다 사서 해결하고 
이면계약으로 군사조약 맺었다는 얘기도 있었고 
수출입은행에서 25억달러 금융지원 해줬고..
공기는 계속 밀리는데 저가수주해서 결국 적자전환..

정확한 세부실적 공시를 못해서 추측밖에 못하지만 
진짜 이득이 된건 맞는지 의문입니다 

https://www.newsverse.kr/news/articleView.html?idxno=6443
이게대체
25/08/21 14:28
수정 아이콘
그나마 그때는 웨스팅이 힘들 때라 10년 3000만 달러로 퉁쳤죠. 그런 상황에서도 적자인데 체코 원전은 10년 뒤 어떤 똥이 될지...
이게대체
25/08/21 14:26
수정 아이콘
이 논리대로면 체코원전 수출 자체가 억지에 무능했다는 것만 증명하는 거네요.
25/08/21 14:31
수정 아이콘
이 이슈는 사실관계가 복잡한건 물론이고 같은 사람이 시기별로 다른 말을 해대서 판단을 못 하겠습니다.
소독용 에탄올
25/08/21 14:49
수정 아이콘
이러면 애초에 기술도 수출권리도 없는데 수출하겠다고 하다가 이렇게 된거란 이야기 아닌가요....

업계서 광고하던게 언플이었던것 뿐이고, 국내용 기술 국내서 쓰고 해외엔 하청업체 해야 하슨 상황이었다는 이야긴데....
허어여닷
25/08/21 15:37
수정 아이콘
웨스팅하우스 인수했으면 괜찮았을거다 이거도 행복회로죠 트럼프 1기부터 그딴거 신경 안 쓰고 내 기분이 나쁘면 조지겠다 기조 보여줬고 바이든 시기도 딱히 다르지 않았는데

그리고 애초에 원전 건설이 미래 먹거리다 운운도 윳긴 게 원전 자체가 안전 및 운행 문제 때문에 지을 수 있는 부지도 제한되고 규모는 너무 커서 마음대로 지을 수 있는 시설도 아닙니다 부지도 작은 SMR도 건설할 자리 찾기 힘든 판에 해외 원전 수출로 먹고 살 수 있다 자체가 기만이었죠 그렇게 돈이 잘 벌리면 웨스팅하우스는 왜 적자나고 여기저기 팔리는 회사가 되었을까요??

솔직히 탈원전 이전에 이미 선진국에서는 일부 국가 제외하면 지을 만한 곳도 적을 뿐더러 중국 러시아 같은 구 동구권은 당연히 무리고 3세계 개도국들은 운영 능력은 커녕 핵물질 빼돌리는 거 걱정해야 할 판에 해외 수출 운운 자체가 그냥 사기였다고 봅니다
안성재
25/08/21 17:12
수정 아이콘
웨스팅하우스에 코 끼었는데, 체코한테는 코 안끼였을라구요 대한민국 영업사원 1호 드립하면서 봐라 우리정부 경제성과 냈잖아 언플 하는 대통령이였는데요 뭘
그리고 윤정부시절엔 뭐하나 경제적으로 성과 낸게 있을라구요 또 원전피아들 웨스팅하우스랑 합작회사 이런걸로 언플 하던데, 얼마나 굴욕적 매국,상납,노예계약 할려고 하는지 한수원인지 한전사장이 국회 나와서 증언하는거 보면 답 나오죠 "우리는 원천기술이 없어요 그동안 속였습니다"
마라떡보끼
25/08/21 17:49
수정 아이콘
근데 다시 봐도 그렇게 우리나라 독자 기술로 수주했다고 언론플레이 했으면서 이제와서 이면 계약 걸리니깐 웨스팅하우스한테 로열티 주는거는 웨스팅하우스 기술을 썼으니깐 어쩔수없다 라고 위로하는게 웃기긴하네요 하나만 합시다 하나만
호비브라운
25/08/21 23:50
수정 아이콘
재밌는 건 이 첫 보도가 진보매체가 아니라 보수적이고 원전에 친화적이었던 경제지에서 처음 던져진 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31322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0413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4035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8922 4
104828 [정치] 김영환 충북도지사 현금수수 의혹 압수수색 [13] Croove2707 25/08/21 2707 0
104826 [정치] 트럼프 행정부, "한국이 미국에 원전 지어달라" 제안 [66] 덴드로븀6203 25/08/21 6203 0
104822 [정치] 통일교-국힘 상황이 일본 못지 않은 것 같은데 참 조용하네요 [100] 바인랜드7589 25/08/21 7589 0
104821 [정치] 한국 원자력 발전의 원천기술에 대해 볼만한 글. [124] Restar5945 25/08/21 5945 0
104820 [정치] 조국의 사면/복권 이후 행보에 대해서 민주당이 불편한 모양이네요. [204] petrus9369 25/08/21 9369 0
104819 [정치] 전세계에 이런 원전계약 맺고 수출한 나라 없어 [30] 베라히7139 25/08/21 7139 0
104818 [정치] 법원 "尹, '바이든' 말했을 수도"‥1심 뒤집은 조정결정문 [88] 유머9332 25/08/20 9332 0
104817 [정치] 구윤철 부총리 "(코스피 PBR) 10 정도" [113] 깃털달린뱀8052 25/08/20 8052 0
104814 [정치] 김건희 최측근 자녀의 학폭무마 정황 포착 [92] Croove10716 25/08/20 10716 0
104808 [정치] 한덕수 "수거 문건 모두 폐기" 인정…이상민은 구속기소 [65] 베라히11624 25/08/20 11624 0
104806 [정치] 삭제 예정.... 원전 수출 미국 에너지부 승인 받아야. 사실상 원전 주권 상실? [26] 삭제됨6065 25/08/19 6065 0
104805 [정치] [단독] 원전 100기 짓는 美부터 EU·日까지…핵심시장 다 내줬다 [135] 자칭법조인사당군10714 25/08/19 10714 0
104804 [정치] 통일교 입장: “소수의 잘못 갖고 특정종교 전체 매도 안 돼” [20] 기찻길4668 25/08/19 4668 0
104801 수정잠금 댓글잠금 [정치] 윤정권 원전 계약이 논란이네요 [54] 이게대체7471 25/08/19 7471 0
104798 [정치] 현재 국민의힘은 한국판 국민전선, AFD로 전락했습니다 [91] 베라히9952 25/08/19 9952 0
104795 [정치] [단독] 검찰, 건진법사 ‘관봉권’ 추적 단서 전부 유실…감찰도 안 해 [188] Crochen11727 25/08/18 11727 0
104792 [정치] 원전 관련 윤정부 큰 문제가 터졌네요 [219] 청운지몽18051 25/08/18 18051 0
104790 [정치] 양궁 국가대표 장채환, SNS에 '대선 조작' 극우 성향 게시물 [153] 유머10344 25/08/18 10344 0
104788 [정치] 이재명 51.1%, 민주당 39.9%…사면 여파로 내려간 與 지지율 [185] 윤석열11322 25/08/18 1132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