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7/04 01:2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437730?sid=101
["1%만 먹어도 韓판매량 근접" 현대차, 무너진 中시장 재공략] 2025.04.30. 현기차 중국 실적 ~2016년 : 114만대 판매, 시장 점유율 4~5% 수준 2017년 : 78.5만대 판매, 사드 사태 후 한한령으로 판매량 급감 2024년 : 20.5만대 판매, 중국 시장 점유율 0.65% <현대+기아 전세계 판매량> 2015년 : 약 800만대 2023년 : 약 730만대 2024년 : 약 723만대 <현대차 실적> 2015년 : 매출 92조 / 영업이익 6.3조 2022년 : 매출 142조 / 영업이익 9.8조 2023년 : 매출 162조 / 영업이익 15.1조 2024년 : 매출 175조 / 영업이익 14.2조 현기차가 현시점에서 진심을 다해 중국에서 부활할 이유는 없긴 합니다. 그냥 중국에서 완전 철수할만큼 회사가 힘든것도 아니니 으쌰으쌰 해보겠다 정도로 해석하면 되긴 하죠. 대기업 걱정은 뭐다?...
25/07/04 01:23
구체적인 수치 감사합니다. 찾아 올리려다 귀찮아서 말았는데 크크크
현대차가 중국 빼고도 잘 나가는 건 맞지만 그래도 중국에서도 잘 됐으면 좋겠습니다. 포기하긴 너무 아까운 시장이니까요. 쓸데없는 걱정은 아닙니다. 제가 주주거든요 크크크크. 아 중국도 먹고 판매량 매출 떡상하라고!!!
+ 25/07/04 08:54
현대 이대로는 위기 뭐 이런 얘기는 당연히 아니지만 그렇다고 전기차에서 선전하고 있냐하면 그게 아니고 그 중 가장 크고 가장 다이나믹한 시장에서 존재감이 전무하다는건 이익창출이 안되는것도 있겠지만 당장 눈에 보이는 이익외의 다른것들고 얻지 못하고 있다는거라 만사태평은 절대 아니라고 봅니다.
25/07/04 03:45
사드 그 때 설치 안 했으면 중국사람들은 좋아했을텐데 어차피 미국 국민들이야 싼 거 잘 쓰니까 또 러시아도 보니까 스물스물 다시 기어들어가서 장사하는 애들은 하고 있더군요. 러시아나 중국, 인도 이런 애들은 국뽕에 민감하고 서양은 안 그러니까 그냥 그런 나라들 적당히 비위 잘 맞춰서 돈 벌었으면 좋았을 것 같은데 아쉽네요
25/07/04 07:02
택갈이는 좋은 전략일까요?
과거에도 어차피 현기차는 중국 현지 모델이 따로 있었죠. 현대 로고를 남의 차에 달아주는건 브랜드 이미지 문제나 품질 문제를 생각해야 해서, 전통적으로 인하우스를 선호하는 한국/일본에서는 익숙한 전략은 아니고요. 솔직히 도요타의 택갈이 전략이 도요타에게 실익이 있는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도요타는 브랜드 달아주고 어느 정도 이익이 발생할까요... 그런 부분을 수치로 봐야 택갈이가 가능하지 않을까 합니다.
25/07/04 08:36
(수정됨) 사실 도요타와 현기는 상황이 다르긴 합니다. 브랜드 이미지부터 중국 내 기반, 전기차 제조, 설계 능력 등.
그래도 현기 입장에선 뭐라도 해야하긴 합니다. 베이징현대 공장 가동률이 20%대밖에 안 돼서 공장 폐쇄 얘기까지 나오는 마당이라 수익 이전에 어떻게든 생산량을 늘려서 고정비 지출을 커버해야 하거든요. 꼭 택갈이가 아니더라도 상관은 없는데 제 좁은 시야로는 그 이상은 잘 모르겠더라고요. 현지 연구, 제조야 딴데도 다 하는 거라 특별히 더 비용 낮추긴 어려울 거고... 아니면 택시 모델 중국 생산이나 EV5처럼 해외수출 기지로 써먹을지도 모르겠네요. 현기가 어떤 전략을 세우고 있는지, 또는 할 수 있을지 알고싶네요. 아무쪼록 잘됐으면 좋겠습니다.
+ 25/07/04 08:57
본사에서 개발한 차종을 중국에 투입하자니 본사가 아직 능력이 부족하고 아무것도 안 하자니 전기차가 1/3인 중국에서 나가겠다는게 되는거고(미쓰비시처럼), 할수 있는건 당연히 현지합작사의 힘을 빌리는거죠. 택갈이라고 해도 그냥 똑 같은차에 딱지만 새로 붙이는게 아니고 어느정도의 개발 개선을 있을것이니 도요타입장에서도 경험 축적할 기회이기도 하구요. 실익이 얼마냐는 계산하기 나름이겠지만 그렇다고 손해는 절대 아닐거라고 봅니다.
25/07/04 07:13
(수정됨) 우리나라만 해도 외제차가 독일차랑 테슬라 정도 제외하고는 고전을 면치 못하는데, 우리보다 더한 제조업 강국인 중국도 비슷하게 될 거 같아요
25/07/04 08:14
중국업체에게 현대차기아가 줄게 없습니다. 중국에서 차를 싸게 하려면, 설계, 소싱, 제조, 판매 까지 중국업체와 중국인이 해야 합니다. 한국이 어느 한 과정에 들어가는 순간 비용이 증가합니다. 비용이 증가하더라도 한국 기술이나 제품을 써야할게 잆으면 중국은 별 거부감없이 하는데, 그럴게 없어요. 자율주행도 중국이 더 잘하죠. 그렇다고 현대차기아가 잘하는 차체쪽 기술은 공개하면 털리죠. 그러니 줄게 없고 받을게 없죠.
25/07/04 08:41
중국 내 브랜드 이미지가 애매한 게 큰 것 같습니다. 도요타가 택갈이가 가능한 건 그만큼 중국 내에서 입지가 아직까진 나쁘지 않기 때문 아닐지. 신차 50%가 전기차라도 반대로 말하면 나머지 절반은 내연기관이고, 거기선 여전히 도요타가 잘하고 있으니까요. 그런 의미에서 전기차 라인업 구비가 필요한 도요타의 니즈와 공장 가동률 높여야하는 중국업체의 니즈가 잘 맞아서 된 게 아닌가 싶네요.
+ 25/07/04 09:06
(수정됨) 그렇죠. 중국에서 도요타는 가장 신뢰성이 높고 품질이 안정적인 브랜드로 인식되고 있고(실제로도 그렇기도 하고) 또한 하이브리드에서는 1인자 포지션이 있으니까요. 현대는 저가차종을 택시용으로 풀면서 일단 물량을 잡고보자라고 하는 시점에 밀려났으니 브랜드 이미지 구축이 딱 거기서 멈춰버린거죠.
25/07/04 08:44
돌고돌아 그때 사드로 박살나서 선제적인 구조조정한게 지금 현대차기아의 힘이되었죠. 낮은 생산원가 믿고 저렴한차 파는 컨셉으로 계속갔으면 지금 위치에는 못있었을것 같습니다. 가끔 유렵이나 중동 국가중에서 차량 판매순위에 현대차그룹이 1,2위인 지역보면 참 대단하고 신기하긴 합니다.
아무튼 중국에서 차량 더 팔기는 쉽지않을거같고 테스트베드랑 수출전용기지 역할에 더 집중할거같습니다.
+ 25/07/04 09:05
이게 맞다고 봅니다.
원래 2010년 중반부터 고급화에 대한 고민이 많았었지만 이미 많이 팔며 잘벌고있다보니 엄청 급할건 없었죠. 그런데 한한령으로 중국 점유율 급락하는거 보고 정신 제대로 차리고 지금의 상승세를 잘 준비한거라고 보고있습니다.
25/07/04 08:46
딱 한국에서 일본차 포지션이죠. 각각 한한령과 노재팬 운동으로 망길을 갔다는 것도 비슷하네요.
다만 차이가 있다면 한국에서 일본차 점유율은 10%를 유지해도 아쉬운 성적인데 중국 시장에서는 1%만 먹어도 매력적인 시장이라는 거죠. 사실 중국과 외교적인 문제가 크지 정치적인 문제만 어느정도 풀린다면 한자리수 점유율은 노려볼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 25/07/04 09:55
아마 단기적으로 한한령이 풀리면 매출회복은 가는하겠지만
한중일 중 가장 체면을 중시하는 중국 사람이 현기차를 고급라인업으로 구입하지는 않을겁니다. BWM나 벤츠를 사면 샀지 저가 라인업의 경우 자국산으로 살꺼구요. 이건 단순히 중국시장의 중국인을 보는게 아니라 미국에 살고 있는 돈좀있는 중국사람들이 어떤차를 몰고 다니는지 보면 정말 극명합니다.
+ 25/07/04 10:33
안방 한국에서도 전기차쪽은 테슬라에 밀려 죽쓰고 있는데 중국에선 오죽할까요
중국시장 답이 없습니다. 현재는 그나마 ev5가 기존대비 소폭 반등한 결과라곤 하는데 딱 그정도겠죠
+ 25/07/04 10:46
25년 1분기에 테슬라가 국내에서 4,818대를 팔았는데 동일 기간동안 기아 EV3 판매량만 따져도 5,065대입니다.
한국에서도 전기차쪽은 테슬라에 밀려 죽쓰고 있다고 하기엔 무리가 있죠.
+ 25/07/04 10:51
테슬라 판매량의 80%가 모델y고
5월 6월 모델y > 현기전기차 전체입니다 5월 출시된 주니퍼를 빼고라도 현기 전기차 1등 ev3가 월 2천대도 못팔고 있고, 또다른 볼륨모델 ev4는 신차효과조차 없는상태입니다.
+ 25/07/04 10:41
현기차는 오히려 중고시장으로 서남아시아나 아프리카 인도시장 노리는게 더 이득 같아보입니다
중고로 평판올리고 제고 떨고 이미지 업해서 신차 시장도 넓혀야지요 솔직히 중국시장에서 과연 현기차 경쟁력이 있을지...이미 중국은 전기차 대세이고 인프라도 우리나라를 넘어선지 오래입니다 고급차는 떨어져도 저가나 대중화는 성공했습니다 전기차는 내연기관이나 기자재 기술보단 베터리만 있음 진입가능한 벤처시장이니까요 특히 대표적 모델이 샤오미 전기차죠 우리로 치면 엘지전자 전기차 같은 느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