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7/04 00:39:23
Name 방구차야
Subject [정치] 문화부 장관은 왜 안뽑는걸까요?
(29초)

[지금 문화부 장관을 못뽑고 있어요. 너무 고민이 되다보니까..여러분도 여러 의견 내주시길 바랍니다.]

검찰개혁과 상법개정으로 
지금까지 성장기시대 관성으로 자리잡아온 뿌리를 바꿔보겠다는게 이재명 정권의 방향이라고 할수있습니다. 
내란사태라는 극악의 계기로서 다크나이트 윤석열이 보수멸망의 대의를 발의했고
미천한 일개 정치인들과 국민들은 그분의 뜻을 받들어 이 사회를 진보케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가고있는 2025여름시점입니다.

정치검찰의 기소권공소권분리
대주주 지배구조 개편 논의,,,

지난 반년간 놀란가슴을 다잡고 지켜봐왔던 과정에서 모두가 느끼고 있는 해법은 현정권 행보에 동조 또는 암묵적 동의, 또는 반지징의 명분 부족에 의한 침묵으로 가고있다고 봅니다. 의료계 역시 정은경 장관발탁으로 지난 의료대란의 해법을 모색하는 현 시점입니다. 

그렇다면, 문화계는 어떨까요?

과거에 딴따라,날나리,배고픈 골방 글쟁이,그림쟁이 취급받던 문화계종사자들이
지금 시점에는 대한민국 경제와 정체성을 이끌고 제시해야하는 막대한 기대를 받아버렸습니다. 

아직 헐리우드급 퀄리티는 안나오고 중국,인도,베트남 급 가성비도 안나오는 이해배반은 상존해있을지도 모르겠으나
엄밀히 K팝은 현시점 인류의 멜로디이며, K영화드라마는 산업시대와 민주주의의 헤게모니를 직타하는 반면 
약육강식각자도생의 글로벌 시대상의 거울이 되었고, 웹툰은 이에 프로토 타입을 계속 제시하는 상황입니다

여기서 빠진건 뭘까요, 문화부장관은 그것을 집어야 한다고 봅니다. 

예술계 종사자들의 처우, 포괄연봉제, 프로젝트 단위로 하다가 성공했을때 이익쉐어를 어떻게 할것인지...
이런게 상법계정이나 검경수사권이 뭐가 어떻든 관련해 매니지먼트라는 영역에서 모든게 함축된 실상입니다. 

그럼 역대 문화부 장관을 살펴봅시다. 

이명박-유인촌 (네 지금 그사람입니다)

문재인-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니 만큼 문화계에만 정책적 기대를 할수는 없긴하겠죠. 당시 남북협력기조아래 평창아이스하키 사례가 있긴 했습니다. 
박양우: 대북예산 141억 편성논란, CJ출신이라고는 하는데 공무원 견장달고나니 정권의 방향에 대해 따라가는 입장이었겠죠. 뭐 어떤기업이건 대외정책이 대북친화로 결정되면 모든걸 그에 맞춰야 하는 제반사항이 있지는 않은가 합니다. 

덧붙혀, K컬처에 북괴가 숫가락 올린건 하나도 없습니다. 이게 정부가 대북정책에서 유화모드로 갔을때 걸리는 딜레마겠죠. 아 글로벌은 조선시대 고려시대 한반도 컬처를 사랑하나부다라고 착각하지 마시고, 글로벌이 주목하고 가치기준을 두는건 외계인의 침공에서 나라를 지켜내고 그 이상의 무형적 가치를 뽑아낸 집단 대한민국에 그 공이 있다는걸요.  여기에 북괴는 단 1의 지분도 없고 오히려 빌런, 외계침공의 역항을 했을 뿐입니다. 뭐 스토리텔링상 합반합의 조화라면야 그렇게 생각할수도 있다겠습니다만...

황희: 위키검색해보시고

지금 문화계에서 가장 필요한건 다음과 같습니다.

[예술종사자 처우개선]

일정시간 노동을 투입해야할 처지에 포괄연봉제로 다들 묶여있고 일련 기업성장에 따른 수혜를 받는다는건 사실입니다만
모두가 그 성장세에 포괄되느냐 또는 그 랜덤함에 마땅히 이 체제를 지속해도 되느냐는 반박은 있습니다
아무리열정페이라 할지라도 기본은 되고나서 선택지을 주던가 말던가 해야지
니가 선택한 일이고 꿈이니 그냥 인생 갈아넣고 아니면 마는 도박을 해라?
아주 개종같죠...

그리고 두번째, 

[참여인원에 대한 수익쉐어]

뭐든 작품하나 나올려면 한사람의 힘으로, 혼자만의 힘으로 되는건 별로 없습니다.
문학에서의 한강처럼, 개인의 아이덴티티가 녹여져 내려간 창작물에 대한 가치는
과거의 유수 예술 작품처럼 여겨질수 있지는 몰라도...

열정페이 십종만한 인생 살지라도 한번 뜨면 된다는게 그 계통을 지배하는 가치관이겠죠.

[그런데 말입니다]

혼자서도 글을쓸수 있는 한강이라는 예시에서도
뜬 사람 극소수 이면에서, 뜨기전에 싸물어지는 군상들이 즐비한게 이계통의 일상일겁니다
일정기간 인생을 투사해야하고 내 능력을 증명했다한들 타이밍과 자본투사의 갭에 짬당하는 
아이돌 지망생들이 즐비한게 현 시대상 아닌가요.. 

웹툰 노동자들은 현재 창작활동을 하지도 않는 몇몇 날나리들을 주구로 세위놓고
여기서 한번 뜨면 된다, 뜰수 있는 기회와 플랫폼은 여기일 뿐이라고 자의적타의적 강요속에
따라갈수밖에 없는 시스템적 모순이, 과연 현재 민주당이 집중하고 있는 검찰개혁, 상법개정과 얼마나 먼 발치에 존재하는 건지는 모르겠습니다. 그건 대의고 이건 현실이거든요. 

주5일제하면 망한다처럼... 
문화부 포괄연봉제 없에고, 참여자 수익쉐어해서 망한다 치면 
그건 망해야 하는거겠죠.. 

문화부장관은
수치적 표면적 외형적 성장에서 후까시 잡을만한 공주님, 왕자님이 아닌
일곱난장이들은 왜 아침부터 저녁까지 광산에서 탄을 캣으며 각자의 캐릭터성은 무엇이었냐에 대해  
거론하고 직시할수 있는 인물이 되기 바랍니다. 그게 지금 이재명 방향과도 맞아떨어지고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년에살아있을까
25/07/04 00:49
수정 아이콘
문체부 국박 석박사 공무직 처우개선은 언급조차 없지요. 석박사급 연구원들이 정년까지 매년 1호봉 연봉(최저 임금+식대비)을 받으며 근무하고 있는 부분도 개선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Janzisuka
25/07/04 01:15
수정 아이콘
문화산업 육성 이런거 나오는 것보다 현재 문화계 처우와 자율적으로 나아가게 물밑지원만 하면 좋겠어욤
+풀뿌리 문화사업도!!
25/07/04 01:17
수정 아이콘
진짜 경제쪽으로 갈거면 게임쪽 인물 가져오는거고 (하이브가 이런느낌이였죠) 글로벌 문화선도로가려면 음... 쉽지않네요
방구차야
25/07/04 01:41
수정 아이콘
하이브에서 넥슨쪽 사람들 데려와서 북짝대던 결과가 IM 자회사에서 뭐 한거 있나요.
정작 대표 지원님은 이미 오래전 관뒀고..과정에서 민희진사태 터진거고..
민희진 호불호랑 별개로 뉴진스,피프티 사태에서 벌어진 근간엔 바로 이런 예술계노동자 처우가 근본적 이유입니다.
수십어 줬으니 됐다가 아니라 그 수십억 느껴보지도 개념잡히지도 못할만큼 어린 애들이 느낀 엔터계 실상이 이런
계 종같은 성장주의, 수치주의, 금권주의 가치관에 대해 진저리를 치는거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죠

니들 철이 없다 , 수십억 버는데 뭔 투정이냐...이따위 결과론적 평가로 얘기할게 아니라고요
사이먼도미닉
25/07/04 02:05
수정 아이콘
르세라핌, 아일릿보다 더 나은 업계 최고 대우를 받은 뉴진스에게 예술계 노동자 처우를 운운하시는 건 본인도 이 산업의 이해도가 낮은 게 아닌가요; 이런 사람들이 뉴진스를 응원하는 건지.

차라리 메이딘, 오메가엑스 같은 사례를 언급하셨으면 공감했을텐데 말입니다. 폭행, 성추행을 당한 무명의 아이돌은 조명받지 못하면서 무시해(입증 못함)로는 국감까지 간 사건의 대비는 셀레브리티의 대중적 인기가 어떻게 권력으로 사용되는지 보여주었죠.

국회의원은 대중적 인기를 원하고, 셀럽은 정치적 권력을 원하고 서로의 이익이 결부된 야합이었을 뿐.
덴드로븀
25/07/04 01:29
수정 아이콘
https://m.entertain.naver.com/home/article/241/0003440282
[이미경 CJ 부회장 美 연설, 온라인도 달궜다…‘아바타’ 조 샐다나까지 ‘리그램’] 2025.05.27.

각종 회사 사장 출신도 장관 후보자인 시대니까 이분이라도...?
방구차야
25/07/04 01:52
수정 아이콘
고용노동부장관이 차라리 문화부장관을 맡아야 된다는 생각입니다.(이 시점에서는요) 뭔 겉으로 번지르르한 문화계 사람이 맡으면 오히여 근본적 문화계의 고질적 병폐는 해소되지 않고 가는거겠죠.(앞으로 가야할 케이컬처! 샷더마우스 다들 불쏘시개가 됩시다잉~~) 전 좌빨 아니고 우파에 더 근접합니다만, 이따위 열정페이 착취와 자본주의적 사기행각, 정부투자돈 빼먹고 이해관계에 얽힌 집단의 장난질에 떨려나는 종사자들이란 명제 앞에서는 검찰개혁,상법개정만큼이나 그냥 두고만 봐서는 될일은 아닙니다.

바꿔말해, 그런거 없이도 케이컬처는 잘 성장해 왔지 않냐라고 하는 사람이 있다면..
굳이 과거사 뒤집어까지 않아도 현세는 잘 흘러나가고 있지 않느냐라는 의견과 같다고 밖에는 할수없네요
25/07/04 01:54
수정 아이콘
문화부가 아니라 문화체육관광부인만큼 허구연 총장이 왔으면 좋겠는데 힘들겠죠.
문학계는 도서정가제 입장이 뻔히 보이는지라 꺼려지고 만화계는 경험 쌓은 인물이 없으니 결국 영화나 엔터쪽에서 뽑아야겠네요.
일각여삼추
+ 25/07/04 06:23
수정 아이콘
아이러니하게도 이익쉐어제 하는 순간 아예 프로젝트에 이름조차 못 올리거나 참여할 기회조차 박탈당하는 결과를 낳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형적인 의도와 현상이 불일치하는 결과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448 [일반] 현대 기아는 중국 시장에서 부활할 수 있을까? [5] 깃털달린뱀1866 25/07/04 1866 3
104447 [정치] 문화부 장관은 왜 안뽑는걸까요? [9] 방구차야2853 25/07/04 2853 0
104446 [정치] 김민석 국무총리 인준안 통과 (국민의힘 표결 불참) + 초선의원의 표결 실수 [86] Davi4ever6098 25/07/03 6098 0
104444 [일반] 사회와 심리 : 중간자 [8] 번개맞은씨앗2473 25/07/03 2473 1
104443 [일반] 입대 1주년, 휴가 복귀 전 써보는 글 [23] No.99 AaronJudge3057 25/07/03 3057 9
104442 [정치] 바보야, 문제는 교육이야 [96] 휘군6560 25/07/03 6560 0
104441 [정치]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전원 탄핵 반대파? [42] 철판닭갈비7442 25/07/03 7442 0
104440 [정치] 이재명 대통령 취임 30일 기념 기자회견 [45] 물러나라Y9037 25/07/03 9037 0
104439 [정치] 최근 제일 찌질한 뉴스, 윤석열 "10분~20분은 늦을 수 있다" [69] lightstone11125 25/07/02 11125 0
104438 [일반] 일상의 슬픔. [3] aDayInTheLife3214 25/07/02 3214 6
104437 [일반] [꼬꼬무] 염순덕 상사 피살사건 2025년 업데이트 [2] Croove5151 25/07/02 5151 7
104436 [일반] [도서] '세가 게임기 투쟁사' 소개글 & 게이머 라이프 [25] 15년째도피중3405 25/07/02 3405 5
104435 [일반] (강스포)오징어게임3 이건 좀... 이라고 생각했던 장면들 [74] 마술의 결백증명6806 25/07/02 6806 21
104434 [일반] 노스포)25년 상반기 영화관 관람 결산 [19] 왕립해군2620 25/07/02 2620 2
104432 [일반] 정말로 따실 줄은 몰랐지. [21] 맛밤6617 25/07/02 6617 25
104431 [정치]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에 안철수 의원…“당 개혁 최적임자” [92] 철판닭갈비8425 25/07/02 8425 0
104430 [일반] 집주인 바뀌면 전세금 돌려줄때 대출한도 '고작 1억원' [183] 로즈마리8970 25/07/02 8970 9
104429 [일반] 고양이와의 생활 [16] 공기청정기4200 25/07/01 4200 6
104428 [일반] 폰 노이만이 쏘아올린 공 / 메모리(RAM)의 역사 [10] Fig.14407 25/07/01 4407 22
104427 [일반] 홈오피스 계약을 이용해 미국에서 불법으로 일하다가 적발된 북한 [21] 타츠야6463 25/07/01 6463 2
104426 [일반] 딸아이와 함께하는 게임 잡담 [21] 글곰3986 25/07/01 3986 13
104425 [일반] 독서목록 500 [16] 번개맞은씨앗3941 25/07/01 3941 3
104424 [정치] [속보]심우정 검찰총장 사의…오후 3시 입장 표명 [182] 물러나라Y15092 25/07/01 1509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