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2/10 18:07:23
Name 글곰
Link #1 https://brunch.co.kr/@gorgom/270
Subject [일반] (삼국지) 남중 정벌 : 북벌의 전초전 (2) -끝-
이전글 보기 : https://pgr21.com/freedom/103702




맹획은 옹개와 마찬가지로 익주군 출신 호족이었습니다. 하지만 옹개와는 달리 남중 일대의 한족과 이민족들 모두에게 고루 지지를 받고 있었습니다. 그렇기에 옹개를 비롯하여 고정과 주포 등 반란의 주동자들이 모두 처단된 상황에서, 그는 일약 반 촉한 세력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앞선 글에서 언급했던 역사적 사실 때문에 남중의 여러 이민족들은 대체로 한족과 사이가 좋지 않았습니다. 당장 고정의 부하들이 옹개를 살해한 것만 보아도 알 수 있지요. 그런데 맹획은 이들을 규합하여 힘을 하나로 모았습니다. 남중 일대에서 맹획의 영향력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일입니다. 첨언하자면 삼국지연의에서는 맹획이 이민족으로 그려지며, 그가 실제로도 이민족이라고 주장하는 의견도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그 주장을 뒷받침해줄 근거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정황상 한족일 가능성이 훨씬 높지요.

여하튼 그렇게 모은 힘으로 맹획은 제갈량과 맞섰습니다. 그러나 승자는 제갈량이었습니다. 맹획은 사로잡혀 포로 신세가 되었지요. 아마도 이 시점에서 그는 자신의 죽음을 예감하지 않았을까요. 옹개, 고정, 주포 모두 사이좋게 저세상으로 떠난 상황이었으니 말입니다. 하지만 뜻밖에도 제갈량은 그를 죽이지 않았습니다.    

애초에 제갈량이 출병할 때 마속이 수십 리나 배웅하면서 조언한 바 있었습니다. 남중 사람들은 복종하지 않은 지 오래되었으니 설령 오늘 그들을 격파해도 내일이면 다시 반기를 들 것이고, 그렇다고 죄다 없애버리는 것도 불가능한 만큼, 그들의 마음으로 승복시키는 것이 상책이라고 말입니다. 이민족과 한족 모두의 믿음을 얻고 있는 맹획을 만났을 때 제갈량의 머릿속에 그 조언이 떠올랐다고 해도 이상한 일은 아니겠지요.      





한진춘추 등의 사서에 따르면 맹획은 사로잡힌 후에도 오히려 다시 싸우면 이길 수 있다며 허세를 부렸다고 합니다. 이에 제갈량이 풀어준 후 다시 싸웠다고 하지요. 그렇게 일곱 번을 풀어주고 일곱 번을 사로잡자(七縱七禽) 마침내 맹획이 진심으로 복종했다고 합니다.      

이 기록의 진위에 대해서는 과거에서부터 설왕설래가 많았습니다. 무슨 소꿉장난을 하는 것도 아니고 수천수만 명에 달하는 목숨이 걸린 전쟁에서, 일곱 번이나 상대를 놓아준다는 게 당최 말이 되느냐는 것이지요. 제갈량의 남정 과정에서 실제로 전투를 벌인 기간은 기껏해야 몇 개월에 불과한데 일곱 번씩이나 사로잡고 또 놓아줄 시간이 되겠느냐는 지적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 일화가 사실이라는 의견이 있는 반면, 터무니없이 과장되거나 윤색된 이야기가 아닌가 하는 의견도 만만찮습니다.

물론 이천 년 전의 진실이 무엇인지는 알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적어도 제갈량이 그만큼 남중 사람들의 마음을 얻기 위해 노력했다는 점만은 사실일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반란 주동자들의 목을 죄다 날려 버렸으면서도 유독 맹획에게만 유화적인 태도를 보인 이유도 설명이 됩니다. 제갈량이 가장 절실하게 원했던 존재가 바로 맹획이었던 겁니다. 남중 일대의 한족과 이민족을 어느 정도 제어할 수 있으면서도, 진심으로 승복하고 촉한을 배반하지 않을 사람 말입니다. 아마도 그런 맹획의 마음을 얻고자 한 행동들이 칠종칠금이라는 고사로 남아서 지금까지 전해 내려오고 있는 게 아닐까요.        

결과적으로 맹획은 제갈량에게 항복합니다. 그리고 제갈량은 남중 일대의 행정체계 개편에 나섭니다. 익주군의 이름을 건녕군으로 바꾸고, 남중 4개 군을 나누어 총 7개의 군으로 재탄생시킵니다. 전쟁에서 공을 세운 이들이 각 군의 태수로 임명되었습니다. 마충은 장가태수, 여개는 운남태수, 왕항은 영창태수가 되었지요. 그런데 놀랍게도 그 아래 관리들은 촉한에서 파견하지 않고 이민족의 우두머리(渠率)들을 관리로 삼았습니다. 사람들이 의아해하자 제갈량은 이렇게 설명합니다.      

“만일 외부 사람을 이곳에 두려면 군사도 두어야 하는데 그러면 먹을 것을 대기 어려운 것이 첫 번째 어려움이요, 그렇다고 군사를 두지 않는다면 전쟁에서 부모 형제를 잃은 이민족들이 복수하려 들 것이니 이게 두 번째 어려움이요, 또 이들은 이미 반란을 일으킨 적이 있는데 외부 사람과 함께 있으면 분명히 서로 믿지 못할 것이니 이게 세 번째 어려움이오. 나는 이제 군사를 두지 않아 물자 운반의 어려움을 없애고, 법령을 간략하게만(粗) 정해서 이민족과 한족들이 대략(粗) 편안하게끔 하겠소.”    

이 말의 핵심은 두 번 반복된 ‘粗’라는 글자에 있습니다. ‘거칠 조’인데 여기서는 ‘대강, 대충, 대략’ 정도의 의미로 쓰였습니다. 즉 남중 지역을 완전히 흡수 합병할 생각은 애당초 없었다는 뜻입니다. 그저 반란이 지나치게 일어나지 않고, 물자를 공급받을 수 있다면 그걸로 족하다는 것이죠.      

그래서 여러 가지 조치가 취해집니다. 우선 남중의 병사들 중 정예병 1만여 가를 북쪽으로 이주시킵니다. 이들을 5개의 부(部)로 편성했는데 당해낼 자가 없어서 비군(飛軍)이라고 불렀다 하네요. 또 호족들에게 권해서(또는 협박해서) 이민족들에게 금과 비단을 지급하고 대신 그들을 각 집안의 사병(부곡部曲)으로 편입하도록 합니다. 말하자면 돈을 지급하고 이민족들을 고용하는 체계를 갖추도록 한 거죠. 그리고 고용 창출이 많은 호족들, 즉 정부 시책에 적극적으로 협력한 호족들에게는 특별히 관직을 자녀에게 물려줄 수 있는 권한까지 부여합니다. 실제로도 맹획을 비롯하여 맹염과 찬습 등 협조적인 남중의 호족들은 촉한에서 상당한 고위직까지 올라가게 됩니다. 이미 오래 전부터 귀부했었고 내항도독 지위까지 맡고 있었던 이회는 말할 것도 없지요.

당근과 채찍을 함께 제공하는 이러한 방식이 꽤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안정적인 직장을 얻게 된 이민족들은 만족하고 점차 한족에 복속되었습니다. 또 남중의 호족들 역시 비교적 전향적인 자세로 협력에 나섰습니다.      





물론 그렇다 해서 만사 평화로웠던 건 결코 아닙니다. 당장 제갈량이 북쪽으로 돌아가자마자 운남군에서 이민족이 반란을 일으켜 태수 여개를 죽였습니다. 월수군에서도 태수 공록과 초황이 연달아 살해당했지요. 좀 더 나중의 일이지만 유주라는 자도 반란을 일으킨 바 있습니다. 남중은 제갈량 생전에는 물론이거니와 사후에도 항상 시끄러운 지역이었습니다. 그렇기에 혹자는 제갈량의 남정이 결국 실패했다고 단언하기조차 합니다.

하지만 저는 그렇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제갈량이 남중 정벌에서 달성하고자 한 전략적 목표는 그 스스로가 밝힌 바 있습니다. '이민족과 한족이 대략 편안하게끔' 하는 것이죠.

물론 양자 간의 완전한 평화는 애초에 불가능했습니다. 제갈량 또한 그 사실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현대의 관점에서 볼 때 중국 남부의 이민족과 한족 정권의 관계는 사실상 일방적인 수탈에 가까웠습니다. 심지어 제갈량의 목적 중 하나는 그러한 수탈의 강화였습니다. 금과 은, 소와 말 따위의 물자를 공급받는 것 말입니다. 그런 상황에서 평화라는 건 언어도단이죠. 실제로도 남정 이후로도 남중 지역에 반란이 끊이지 않았다는 건 이미 말씀드린 바 있습니다.

그러나 제갈량은 맹획으로 대표되는 '남중의 한족 출신 호족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는 데는 성공했습니다. 그 결과 남정 이후의 반란은 예전과는 다른 모습을 보입니다. 옹개, 주포, 맹획처럼 호족이 중심이 된 대규모 반란은 더 이상 일어나지 않았지요. 이회전, 여개전, 마충전, 장억전, 장익전 등 촉서의 기록에 남아 있는 반란은 모두 주체가 이민족으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렇기에 규모 또한 크지 않아서 제갈량처럼 중앙군을 동원할 필요 없이 내항도독이 진압할 수 있는 수준이었습니다.

즉 제갈량은 남중 정벌을 통해 두 가지 이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첫째는 전쟁에 쓸 병력과 군수물자를 다수 확보할 수 있었고, 둘째로는 후방의 근심을 덜고 중앙군을 온전히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두 가지 이득은 모두 제갈량의 다음 목표와 직결된 것이었습니다.

227년. 제갈량은 군사를 이끌고 북쪽 한중에 주둔합니다. 그의 눈 앞에 펼쳐진 것은 북쪽 위나라로 향하는 길이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5/02/10 18:10
수정 아이콘
말 그대로 관리 가능한 범위로만 통제하겠다라는거군요 완전합병은 못하고...
된장까스
25/02/11 01:07
수정 아이콘
사실 운남성의 완전 병합은 한참 후인 몽골제국의 정복 이후에나 가능했으니까요. 주원장이 밝혔듯이 몽골 이전엔 운남은 베트남 이상으로 외진곳의 오랑캐 취급이었죠.
25/02/10 18:11
수정 아이콘
승상께서 떠나기도 전인데 왠지 안구에 습기가..
강동원
25/02/10 18:30
수정 아이콘
제목에 심각한 오타가 있습니다.
[-끝-] <--- 이거 지워 주세요.
스타나라
25/02/10 18:49
수정 아이콘
오부와 무당비군이 남중에서 온 군사들이었군요.
지탄다 에루
25/02/11 00:04
수정 아이콘
윽 여개가 바로 죽었었군요..
된장까스
25/02/11 01:04
수정 아이콘
233년 유주의 반란은 내항도독인 장익조차 제때 진압하지 못한 대규모의 반란이었던 걸로 알고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290878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49880 10
공지 [일반] [필독]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51] OrBef 16/05/03 471134 31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50194 3
103740 [일반] 대전 초등학교에서 7세 여아가 흉기로 살해된 사건이 벌어졌습니다. [49] 매번같은7324 25/02/10 7324 1
103739 [일반] 사카모토 유지가 집필한 일본 드라마 ‘콰르텟’의 대사들 [10] 투투피치2641 25/02/10 2641 3
103738 [일반] 영국의 인도 통치, 정치적 영향력은 곧 경제적 이익 [3] 깃털달린뱀2379 25/02/10 2379 9
103737 [일반] (삼국지) 남중 정벌 : 북벌의 전초전 (2) -끝- [7] 글곰1720 25/02/10 1720 10
103736 [일반] 딥시크가 그냥 나온 게 아니네요. 중국 과학기술 연구력이 대단하네요. [180] 전기쥐8808 25/02/10 8808 7
103708 [일반] [공지]자유게시판 비상운영체제 안내 [205] jjohny=쿠마10451 25/02/08 10451 17
103707 [일반] [공지]자유게시판 운영위원을 상시 모집합니다. jjohny=쿠마1924 25/02/08 1924 9
103733 [일반] 딥 시크 이거... 야잘알이네요. [23] 닉언급금지5500 25/02/10 5500 1
103729 [일반] 시리즈 웹소설 추천 - <배움의 어머니> 서양식 타임루프 아카데미물. [25] Restar1712 25/02/10 1712 8
103728 [일반] [서평]《명령에 따랐을 뿐!?》 - 부도덕한 명령에 저항하는 길을 찾고자 한 어느 신경과학자의 분투 [14] 계층방정2245 25/02/10 2245 6
103727 [정치] 민주주의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 보게 된 방송. [19] 굿샷6184 25/02/10 6184 0
103726 [일반] <9월 5일: 위험한 특종> - 미디어의 맨얼굴을 보다.(노스포) [11] aDayInTheLife3155 25/02/10 3155 5
103725 [일반] 생성형 AI 뭘 써야 할까? 유료결제가 필요할까? - 모델 별 평가와 가이드 [117] Quantumwk6557 25/02/09 6557 19
103724 [일반] [일상수필] 성공(LSD)과 실패(딸기케이크) 그리고 어머니의 꽃게탕은 맛있고 [5] 판을흔들어라1998 25/02/09 1998 0
103723 [일반] 과연 결혼과 출산율은 올라갈수 있을것인가?? [108] 한사영우6439 25/02/09 6439 7
103722 [일반] 유료화 임박 웹툰 추천-<이발소 밑 게임가게> 부제: 명불허전 하일권 [9] lasd2413427 25/02/09 3427 4
103721 [일반] 마우스 포테이토에서 MY FAMICOM EXHIBITION 을 관람하고 왔습니다. [2] 及時雨1083 25/02/09 1083 2
103719 [일반] 웹소설은 왜 이렇게 되었을까? [106] 김김김6100 25/02/09 6100 18
103718 [일반] 무엇이 한국을 분열시킬 수 있는가 [67] meson5409 25/02/09 5409 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