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6/09/05 14:48:34
Name 피아니시모
Link #1 롤 인벤
Subject [LOL] 외국팬이 뽑은 롤드컵 포지션별 베스트5
*롤드컵 진출팀에 한해서 뽑힌 순서인 거 같습니다


Top
Smeb  (ROX)
Duke  (SKT)
Looper  (RNG)
Impact  (C9)
Ziv  (AHQ)
(etc : mouse, Vizicsasci)


Jungle
Peanut  (ROX)
Clearlove  (EDG)
Karsa  (FW)
Trick  (G2)
ReignOver  (IMT)
(etc : Ambition, mlxg)


Mid
Kuro  (ROX)
Faker  (SKT)
Bjergsen  (TSM)
Maple  (FW)
Scout  (EDG)
(etc : Crown, Athena, westdoor)


AD
PraY  (ROX)
Bang  (SKT)
Deft  (EDG)
AN  (AHQ)
Zven  (G2)
(etc : Doublelift, Jinjiao)


Support
GorillA  (ROX)
Wolf  (SKT)
Biofrost  (TSM)
Meiko  (EDG)
Mata  (RNG)
(etc : CoreJJ/Wraith, Albis)



해당 글의 배뎃(이자 유게로 갖고 온 이유)

etc로 논란의 여지를 차단

---------------------------

참고로 저 명단에 락스와 스크는 합쳐서 9명 9명이 들어가있습니다. 9명!!!
* clover님에 의해서 유머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16-09-06 13:09)
* 관리사유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att Harvey
16/09/05 14:50
수정 아이콘
잼구 분전해야겠네요
헤글러
16/09/05 14:50
수정 아이콘
블랭크는 있고 스코어는 없는 롤드컵..
지나가다...
16/09/05 14:50
수정 아이콘
스고수님? 스고수님 어디 계신가요?
...롤드컵 진출팀 한정이군요..ㅠㅠ
피아니시모
16/09/05 14:51
수정 아이콘
KT는 롤드컵 진출실패라 못들어간..
16/09/05 14:50
수정 아이콘
sk는 정글 빼고 다 있네요??
16/09/05 14:50
수정 아이콘
한국 1등팀 -> 각 포지션 다 1등
한국 2등팀 -> 각 포지션 다 2등(?)
몽키매직
16/09/05 16:05
수정 아이콘
순위 순서가 아니라 각 지역 시드별 순서 인 것 같고 그냥 베스트 5 선정한 것 같아요.
16/09/05 14:51
수정 아이콘
한명 없는게 누군가 했더니 역시 갓구짱
KamoneGIx
16/09/05 14:51
수정 아이콘
skt 정글이 없네요 !
16/09/05 14:52
수정 아이콘
레인오버 임팩트는 롤드컵확정이 아닌데....?
RaysBlue
16/09/05 14:53
수정 아이콘
둘중 하나는 빠이..
피아니시모
16/09/05 14:53
수정 아이콘
진출 가능성이 있으면 다 집어넣고 진출 실패면 싹 다 거른거 같더라고요 크크
지나가다...
16/09/05 14:55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최소 둘 중 하나는 롤드컵 못 가는데?
16/09/05 14:52
수정 아이콘
중국은 국제대회 성적이 롤드컵 시즌5때 안좋았는데도 항상 평가가 엄청나군요.
-안군-
16/09/05 14:53
수정 아이콘
이제 페없쿠왕이 아니라 그냥 쿠왕! 쿠왕! 쿠왕!
코우사카 호노카
16/09/05 14:54
수정 아이콘
삼성은 etc빼곤 없네요...
한걸음
16/09/05 14:54
수정 아이콘
탑 4/5 정글 3/5 미드 3/5 원딜 3/5 서폿 3/5

국뽕에 취하네요 크크
16/09/05 14:56
수정 아이콘
스코어 어딨어!!!!!!!! ㅠ
코우사카 호노카
16/09/05 14:57
수정 아이콘
SKT는 신현필 들어간 산왕인가.. ㅠㅠ
왜 죄다 에이스급으로 꼽히는데 어떻게 저런 구멍이...
치토스
16/09/05 15:05
수정 아이콘
그건 신현필 과소평가라 생각합니다.
최소 능남의 백정태나 해남의 그 이름모를 4번 맡는 선수 정도는 되야 비교 가능할것 같아요. 허태환은 수비라도 정평이 나있지.
코우사카 호노카
16/09/05 15:16
수정 아이콘
그 급 이하긴 한데 산왕 뺴면 4명이 에이스인 팀이 없어서... ㅠ
정어리고래
16/09/05 15:40
수정 아이콘
운동능력을 상실한 강백호로 하면 되려나요...
지나가다...
16/09/05 15:31
수정 아이콘
신현필은 강백호라는 카운터가 있었으니 다행이었지, 해남이었어도 신현필 체력 방전되기 전까지는 매치업상 속수무책으로 털렸을 가능성이 높아서...
차라리 김수겸 대신 투입되는 상양의 포인트가드가 그나마 가깝지 않나 싶기도 하지만, 얘네도 4에이스라기에는 좀 뭐한 구석이 있고..
슬램덩크로는 비교하기가 어렵네요. 흐흐
카르타고
16/09/06 16:10
수정 아이콘
멘탈나간 최동오 낀 산왕이요.
진심 민폐끝판왕.
쎌라비
16/09/05 14:59
수정 아이콘
롤드컵 가서는 잘할수도 있죠. 라인이 엄청나게 잘해버리면 정글이 너무 편해지니깐요.
치토스
16/09/05 15:10
수정 아이콘
skt는 탑은 항상 중간이상에 미드,바텀은 세계최강 라인전이죠. 요즘 시대에 엇비슷한 팀끼리 정글개입없이 순수 솔라인 능력으로 찍어누룰수 있는 팀도 없을뿐더러 블랭크 폼을 같은팀 라이너들의 실력으로 커버하기엔 다른 팀원들에겐 너무나도 가혹합니다
16/09/05 15:11
수정 아이콘
현실은 정글이 엄청나게 못해버려서 라이너가 너무 불편해짐...
16/09/05 15:31
수정 아이콘
저런 라이너들 데리고 그 지표 찍기도 힘든텐데
RookieKid
16/09/05 15:09
수정 아이콘
스코어가...
돌고래씨
16/09/05 16:50
수정 아이콘
롤드컵을 못나가서,,,,ㅠㅠ
16/09/05 15:09
수정 아이콘
몇몇 분들 말씀에 따르면 저 명단에 블랭크가 있긴 있다고 하더군요. []... 다만 보이는 사람에게만 보인다고 하네요. 우선 저는 안보입니다만... 인섹 후계자인가. 고통을 받던 정글러, 고통을 주던 정글러...
이진아
16/09/05 15:11
수정 아이콘
롤드컵까지는 시간이 있으니 뭐...
롤판을 대표하는 단 한가지 단어라면 재평가 아니겠습니까 껄껄
다리기
16/09/05 15:13
수정 아이콘
삼성 인지도 똥망.... 삼성 선수들 충분히 저기 들어갈만한 개인기량 되는데.. 스코어 안보여서 슬프다가 삼성이 베스트에 너무 없는 데서 좀 웃었네요.
코우사카 호노카
16/09/05 15:15
수정 아이콘
외국에서 썸데이 엄청 고평가 하던데 그 썸데이를 선발전에서 찍어누른 큐베가 없는건 너무하네요.
다리기
16/09/05 15:16
수정 아이콘
결국 선발전 결과 가른 것도 탑차이였는데 말이죠. 롤드컵에서 큐베 이길 탑솔 몇 명 없을 것 같습니다.
16/09/05 15:21
수정 아이콘
뭐 그래도 etc에라도 있으니...
엘제나로
16/09/05 15:15
수정 아이콘
임팩트-레인오버는 왜들어가 있을까요.
둘중 한팀이 나가야하는거지 아직 결정이 안났는데
-안군-
16/09/05 15:17
수정 아이콘
그러나 현실은, 삼성 선에서 정리....
해외팀들은 앰비션이 빠따로 다 뚜까패줄거라 믿습니다!
엘제나로
16/09/05 15:21
수정 아이콘
MSI떄 유럽팀빼고 다른 중국이나 대만 미국팀들의 저력을 생각해보고
그떄 나왔던 MSI팀들중 유럽을 제외하면 다 1위팀이 바뀐걸 생각해보면
이번 롤드컵에서는 어디선에서 정리라는 말은 좀 힘들거 같아보입니다.
분명 한국이 리그 전력으로는 최강의 나라고 이번에도 우승할 가능성이 제일 높은 지역이지만
누구선에서 정리한다는 그런 방심을 가지면 큰코다칠수도 있어요!
-안군-
16/09/05 15:24
수정 아이콘
뭐, 객관적인 전력을 얘기하는게 아니라, 삼성 선수들이 저 안에 못들어간게 아쉬워서 그렇죠.
원래 롤드컵 시즌은 국뽕이 넘쳐흐르는 시기 아니겠습니까? 크크크...
엘제나로
16/09/05 15:29
수정 아이콘
원래 세계대회 처음 나가는 선수들은 저평가도 아니고 평가외에서 처음으로 평가 받게 되는거니까요.
저는 그래도 정글-미드-서폿이 ETC에 들어간걸 보면 그래도 LCK라는 롤 종주국을 신경써 준게 보여요.
탑 큐베가 빠진게 너무 웃기지만요 크크
윤종신
16/09/05 21:27
수정 아이콘
단기 포스면 몰라도 이런 데에는 큐베가 낄 자리는 없어 보이는데요..
엘제나로
16/09/05 22:09
수정 아이콘
서폿 etc : CoreJJ/Wraith, Albis
서폿에는 코어장전도 들어가있어요.
탑 순위권에 들어간다는게 아니라 etc에는 마우스나 비시처지보단 들어가야 한다는 의견입니다.
윤종신
16/09/05 22:23
수정 아이콘
코어 장전도 저기 낄 레벨이 아니죠. 롤드컵 진출은 엄청나지만, 선발전에만 긁힌 걸 수도 있고 롤드컵에서 세체폿실력을 보여줄 수도 있지만 지금은 절대로 끼리 레벨이 아니죠.

레이스도 해외 기준이면 흠.. 실력 문제가 아니라 인지도면에서 아는 사람도 없을 듯..
16/09/05 18:29
수정 아이콘
암사자가 또....
엘제나로
16/09/05 19:42
수정 아이콘
저는 항상 lck의 우승을 믿고있습니다...
암사자라뇨ㅠㅠ
카바라스
16/09/05 15:21
수정 아이콘
레인오버 임팩트 중 한명 못나가는건 아쉽긴합니다. 이론의 여지없는 북체정 북체탑인데 한명은 스고수처럼 고배를 마셔야하는..
엘제나로
16/09/05 15:27
수정 아이콘
솔직히 서킷 포인트 생각해보고 정규시즌-포스트 시즌 생각해보면 삼성이 KT를 이길줄 누가 알았을까요.
이번 롤 리그들이 대체로 이변의 연속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변이 롤드컵에서 일어나지 말란법은 없는 법이라...
삼성 선수들의 저평가가 아쉽긴 하지만 저기에 베스트에 올라온 선수들이 거의 자국 리그에서 베스트 라인이거나
MVP를 받은 선수들인걸 보면 LCK를 정확하게 안보는 외국인이 평가했구나 그냥 이렇게 봐줄 수있죠.
삼성 선수들이 KT 선수들을 압도한건 결국 진출전 한번이니까요.
나진 퍼펙트 선수들이 진출전에서 전 팀을 압도하고 롤드컵에 갔었지만 롤드컵에선 고배를 마셨던 쓴기억도 있으니까요.
이제 삼성 선수들은 처음으로 해외 무대에서 첫선을 보이게 됩니다.
그럼 당연히 전에 해외대회에 나와서 기량을 뽐냈던 선수보다 저평가 될 수밖에 없어요.
하지만 선수들이 그런데 실망하지말고 자기 기량만 뽐낸다면 당연히 세계 최강은 LCK라는걸 증명할 수있겠죠.
아 물론 ETC에 마우스나 비시처지가 들어갔는데 큐베가 안들어간건 롤알못수준입니다.
카바라스
16/09/05 15:31
수정 아이콘
선발전에서 썸데이 솔킬만 5번냈죠. 라인스왑 패치후에 엄청난기량상승을 보여주고 있고 현재 폼만 따지면 세손가락 안에도 들지않을까 생각되네요
엘제나로
16/09/05 15:37
수정 아이콘
RNG가 EDG한테 전라인을 그냥 다 졌는데 루퍼가 3위고 마우스가 ETC에 들어간걸 보면 정규시즌때의 성적도 생각해서 뽑은걸로 보입니다.
삼성 큐베의 경우 정규시즌 후반에 기복이 너무 심하다 부침이 있다고 해설진들한테 계속 쓴소리를 듣다가
선발전 KT전에서 썸데이를 인생 처음으로 압도해봤다는 점도 있어요.
큐베가 엄청난 폼을 보여준건 KT 선발전 딱 한번이라 과연 이선수가 각성을 했는지 아니면 그날이 신내림을 받은 날인지
확신을 할 수가 없으니까요.
그걸 큐베 선수가 롤드컵에서 증명해주면 됩니다.
16/09/05 15:47
수정 아이콘
LPL 결승전에서 루퍼가 RNG에서 가장 잘해서 그런게 아닐까요? 무난히 이기는 팀에서 4,5 번째로 잘하는것 보다 지는팀에서 분전하면서 가장 잘하는게 좀 더 존재감을 어필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카바라스
16/09/05 15:54
수정 아이콘
제가 중국에 좀 박하긴하지만 현재폼만 두고봤을때 월클이라고 할수 있을만한 선수가 그렇게 많지않다고봐서요. 데프트나 클리어러브정도.. 좀 더 넓혀봐도 루퍼나 아테나 정도라고봅니다.
윤종신
16/09/05 21:28
수정 아이콘
보통 저런 거 선발기준이 자국 내에서의 활약이지 절대적 실력 비교가 아니죠.
유신아빠
16/09/06 13:17
수정 아이콘
엘피엘 결승전 못보신거죠? 알엔지는 루퍼만 잘했습니다.
엘제나로
16/09/06 13:43
수정 아이콘
루퍼가 잘했어도 마우스가 더 잘했죠.
1경기 갱플은 트페와 함께 운영의 핵심이었고 갱플이 초반부터 성장을 더 잘했었고요.
2경기는 그냥 에코 갱플 대결에서 루퍼가 졌습니다.
3경기때는 루퍼가 한타에서 잘하기도 하고 나르로 견제 잘하기도 했지만 마우스도 잘했고오.
루퍼가 못했다는게 아니라 마우스가 더 잘했다는겁니다.
르웰린견습생
16/09/05 15:28
수정 아이콘
스고수ㅠㅠ
그러지말자
16/09/05 15:31
수정 아이콘
작년 쿠의 롤을 올해 삼성이 맡게 될지도 모르겠군요. 하긴 평가가 워낙 낮아서 어지간해선 평가보다 못할수가 없을듯..
블랭크는.. 안봤으면 좋겠지만 아무래도 그건 힘들어보이니.. 그냥 나대지말고 조신히 묻어가기라도 잘했으면 좋겠네요.
VinnyDaddy
16/09/05 15:36
수정 아이콘
생각 1. 저 정도의 구멍이 된 []를 데리고 스프링 우승 MSI 우승 섬머 3위를 해낸 나머지 팀원들이 정말 대단한거구나
생각 2. 얼마나 SKT 트라우마가 심하면 저렇게 객관적으로 차이가 나도 인터뷰에서 피넛이 "SKT는 어떤 상황에서든 5:5"라는 표현을 할까
생각 3. 페이커라는 아웃라이어를 극복하고 마침내 대등한 싸움을 할 수 있는 플레이어가 여럿 생기는데 3년이 걸렸구나. 징하다.
생각 4. 어녕아ㅠㅠㅠㅠㅠㅠ 스테이플 센터 한번 더 가자 ㅠㅠㅠㅠㅠ
생각 5. []야 좀 잘 좀 하자
엘제나로
16/09/05 15:38
수정 아이콘
스프링중반-MSI때 선구는 그래도 평균 이상의 정글러여서 그랬죠...
지나가다...
16/09/05 15:51
수정 아이콘
스프링 포스트시즌이나 MSI 4강 결승 등 SKT가 이길 때는 그래도 괜찮게 했거든요..
제이슨므라즈
16/09/05 16:29
수정 아이콘
오히려 스프링중반부터 킨드너프전까지는 김동준이 킨드는 세계에서 제일잘하는거같다 라고 할정도로 킨드는 최상급, 나머지도 지금수준까진아니였습니다 ㅜㅜ
위원장
16/09/05 15:45
수정 아이콘
선발전 한번 쩔었다고 저기에 들어가면 안되죠. 헬퍼에게도 밀려서 못나올 때도 있었던 큐베인데요.
롤드컵 가서 평가 올리면 됩니다.
RaysBlue
16/09/05 15:55
수정 아이콘
선발전 때는 1주일 동안 찬용아 오늘은 말까도 되지 라고 할 정도로 하긴 했죠.

포시즌엔 좀 아니다 싶었지만
16/09/05 16:19
수정 아이콘
그냥 딱 라이트한 해외팬이 만든거네요. 해외 인지도가 삼성이 망급이라...

기준이 최근 퍼포먼스라면 큐베가 무조건 들어가야하고 16시즌을 전체적으로 놓고 본다면 레이스가 들어가야죠.

개인적으로 크라운도 비역슨 정도는 찍어누른다 생각하지만 뭐.. 요즘 TSM뽕이 북미에서 장난 아니라..크크
Igor.G.Ne
16/09/05 16:27
수정 아이콘
해외에서도 스크 정글의 유명세가 대단한 것 같군요
16/09/05 16:36
수정 아이콘
경기중에 정글몹 스틸당하면 hp2 남았다는 소리가 꼭 나옵니다. ㅠㅠ
16/09/05 18:06
수정 아이콘
그건 케이티 아닌가여 ㅠ
16/09/05 18:08
수정 아이콘
어 그렇네요. 스크랑 케이티랑 했깔렸네요. 헤헤
16/09/05 16:28
수정 아이콘
출처가 어디인지 모르겠는데, 그렇게 권위있는 글은 아닌것 같습니다. 레딧에 저런 원문은 아예 없구요. (적어도 메인 쓰레드에 올라올 정도로 핫한 글은 아니구요) 그냥 아무 게시판에 아무나 "객관적으로 꼽은 베스트 5 라인업 인정? 응 인정" 이 수준인것 같아요. 아니면 인벤러가 오랜만에 날조와 선동으로 승부를 봤거나...
피아니시모
16/09/05 18:35
수정 아이콘
네 저도 인벤에서 본거 그냥 퍼온거긴한데 말씀하신대로 딱히 권위있는 글은 아니고 팬들이 그 자리에서 대충 뽑은거 어서 갖고 온거 같더라고요 크크
돌고래씨
16/09/05 16:51
수정 아이콘
여기가 탑신병자의 나라입니까
탑은 죄다 한국인 크크크
16/09/06 13:23
수정 아이콘
시즌 2부터 강했다고 합니..
윤종신
16/09/05 21:29
수정 아이콘
큐베뽕 너무 심한데요.. 잘한 건 맞는데 한국시리즈 캐리 했다고 골글에 비비는 거 같네요..
16/09/06 13:23
수정 아이콘
월드시리즈 캐리한 후에 메이저 베스트5가 아니니까요.
월드시리즈 캐리 했으면, 메이저리그보다 기량이 떨어지는 리그들 다 포함하는 포지션별 베스트5에 비빌 수는 있다고 보는데요.
헤글러
16/09/06 13:22
수정 아이콘
저 시점에서 확정되지 않은 것은 맞지만 결과가 나온 지금 임팩트는 저기에 있을 자격이 충분해보이네요
16/09/06 13:24
수정 아이콘
샤오후 마타 폼이 좀 떨어졌다는 얘기는 들었는데, 마라샹궈 폼도 같이 하락했나요?
MSI 때 너무 잘해서 말이 안 나오던데.
응~아니야
16/09/06 13:31
수정 아이콘
EDG와의 결승전에서 순사한테 압살당했죠
엘제나로
16/09/06 13:46
수정 아이콘
Edg전까진 압도적이다가 결승에서 그만...
16/09/06 13:25
수정 아이콘
한국팀 주전중에는 룰러,큐브,블랭크 빼고 다있네요.
아무래도 외국팀 팬이라면 한국리그에 대해 접하는 정도가 적을 수 밖에 없다보니.. 라고는 해도 한국의 위엄이 느껴집니다
cienbuss
16/09/06 14:49
수정 아이콘
스코어...
16/09/06 15:11
수정 아이콘
까보면 알겠죠. 작년에 느낀 바는 LCK는 미드가 제일 후달리는구나 (메이플/비역슨/루키가 너무 잘함 덜덜) 근데 탑은 여전히 쩔어주고 정글이 엄청 까였음에도 불구하고 꽤 준수한 편이라고 생각했는데 올해는 어찌될지. 개인적으론 작년에 비해 정글러 수준은 엄청나게 올라갔고 미드는 더 이상 그렇게 후달리지 않고, 탑은 여전하다고 생각하네요. 오히려 간극이 제일 좁은게 원딜인데 그건 평균 얘기고 뱅/프가 다 와버리는 마당에 여기에 비빌 원딜은 데프트 하나 정도라 생각해서... 포기븐/덮립/즈벤/우지 등이 어느정도 해줄지 궁금합니다.
담배상품권
16/09/06 17:50
수정 아이콘
막상 그 쟁쟁한 미드들이 페이커/쿠로/나그네한테 다 꺾인건 함정...
16/09/06 18:30
수정 아이콘
페이커는 만나는 미드 족족 다 털었지만 나머지는 그러진 못했어요. 일단 점멸 늑대 상대로 타이거즈는 2전 전패... 그리고 메이플의 르블랑은 이게 페블랑인지 싶을 정도로 쩔었죠. 물론 이렇게만 말하면 쿠로가 좀 억울한게 메이플/페이커 제외하면 이 대회에서 미드 클라스 차이를 제대로 보여주긴 했습니다. 문제는 페이커/이지훈/쿠로 제외하면 한국에 그 당시 더 이상 내세울 미드라이너가 없었다는 것... 나그네는 정말 선발전 이후에 뭘 잘못먹었는지 KT의 엄청난 불안요소였고 비역슨 상대로는 1차전에서 라인전이 너무 터졌었죠. 다이애나 잡고 던진 경기도 KT가 이겼는데도 욕 오지게 먹었던 반면 비역슨 루키는 그 쓰레기같은 팀에서 거의 1:9 수준으로 게임하는 느낌의 경기를 꾸준히 제조하고 있고; 다들 정글 기근이라 생각했지만 제일 심각했던 라인이 미드였다고 생각합니다. 올해는 근데 보완이 많이 됐죠.
담배상품권
16/09/06 19:16
수정 아이콘
페이커/이지훈은 만나는 족족 다 털었죠. 사실 다른 지역도 미드가 에이스인건 매한가지라 명백한 1위는 페이커/폰/페이커로 쭉 지켜왔으나 다른 라인만큼 확연한 격차가 나지 않은것도 사실이죠. 시즌 2때는 오히려 세체미는 유럽에 있었고요. 그렇다고 후달릴만큼 약했냐면 그건 또 아니라서요. 각 나라당 세팀 출전하는 대회에서 1/2/3(페이커 이지훈 쿠로)등을 다 가지고 있는데 심각하다고 말하기는 어렵지 않나 싶네요. 당장 말렸다고 할만한게 나그네랑 메이플에게 꺾였던 쿠로인데 조별예선에서 한두판 말리는거야 으레 있던 일이죠. 당장 메이플/비역슨 외에 나그네와 쿠로가 뚜렷하게 개인기량에서 뒤쳐졌다고 할만한 게임이 있었나요? 적어도 반반은 했고 반반 이상해서 한국팀 만날때까지 승승장구했죠.
루키/비역슨이 못한다는게 아니라,그 둘이 페이커/쿠로/이지훈/나그네을 개인 기량으로 압도할만 했다? 전 동의 못하겠네요. 적어도 반반이고 오히려 압도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선수들이었죠.
윤종신
16/09/07 04:02
수정 아이콘
쿠로는 4강에서 3:0으로 완승했지만 페비벤에게 버거워했죠.
어차피 cs 몇 개 버려도 안 죽기만 하면 무조건 이긴다 라고 생각했을 수도 있겠지만요.
담배상품권
16/09/08 02:37
수정 아이콘
4강에서 쿠로 픽을 보면 1,2세트는 카사딘/베이가로 적어도 중반을 보는 픽이고 페비벤은 르블랑/아지르로 라인전 강캐를 픽했습니다. 쿠로는 미드 라인전에서 밀려서 후반픽을 고른게 아니라 후반까지 버틸 자신이 있어서 카사딘/베이가를 고른 것이고 이 수는 그대로 먹혔죠. 못하는 선수가 후반픽을 고르면 스무스하게 라인 터져서 망하지만 잘하는 선수는 버거워 보일 뿐 중반 이후부터 미쳐날뛰죠. 픽을 보면 쿠로가 페비벤에게 버거워보인건 딱 픽 상성차이만큼 버거워 보였을 뿐 게임 내적으로는 버거운게 아니라 픽의 목적을 그대로 수행해 중반 이후 페비벤 뿐만이 아니라 프나틱을 박살냈죠.
뭐 이래도 버거워했다고 생각하시면 더이상 댓글 달지 않겠습니다.
윤종신
16/09/08 11:54
수정 아이콘
룰루로 오리아나에게 개입 없이 10분도 되기 전에 cs를 20개나 지는 본 적이 없습니다.
아저게안죽네
16/09/09 01:45
수정 아이콘
애초에 쿠로가 라인전에서 상대를 압살하는 스타일도 아니고 롤이 라인전이 중요하긴 해도
그게 전부인 게임도 아닌데 라인전만으로 저평가하는 건 무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라인은 다르지만 라인전이 비교적 약한 데프트도 한타 능력으로 세체원 평가를 받았고
여포라는 별명을 가진 라인전 고수 엑페도 소드시절 운영과 텔포 활용 능력이 약해서 한계를 보였었죠.
쿠로의 한타와 팀에서 요구하는 합류전 능력은 데프트의 그것과 비교해도 전혀 손색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윤종신
16/09/09 02:34
수정 아이콘
쿠로 저평가가 아니라 쟁쟁한 미드 라이너들이 쿠로/나그네 에게 꺾였다길래요.
페비밴은 실제로 베이커 상대로 쪽도 못 쓰지만 이지훈 상대로는 우세햇다죠..
16/09/07 22:54
수정 아이콘
아저게안죽네님께 단 댓글로 갈음하겠습니다.
위원장
16/09/06 19:22
수정 아이콘
그 대단한 점멸늑대는 clg 페인게이밍에도 털렸죠. 단순 승패로 평가하면 skt 빼고는 다 먹히고 먹힙니다.
아저게안죽네
16/09/07 22:16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메이플 비역슨 루키는 다 리그가 다른데요... 페이커 이지훈 쿠로 셋만 있어도 충분히 클라스 증명하고도 남은 거죠.
16/09/07 22:51
수정 아이콘
뭐... 후달린다는 표현이 논란의 여지를 남기는 것 같은데 사실 그 표현은 약간 과장에 가깝고 다른 라인에 비해 압도적이진 않다 정도의 느낌으로 썼습니다. 탑의 경우는 어떤 지역의 에이스건 개의치 않고 마린/스맵/썸데가 다 씹어먹었고 지들 리그에서 정상급이라고 불리는 애들 전부 다 민망할 정도로 멀리 보냈습니다. 근데 거기에 본국에서 놀고 있는 듀크, 샤이 모두 해외 리그에서 비견 될만한 선수가 있었느냐 그것도 논쟁의 여지가 있는 영역이니까 정말 말도 안되게 강한거죠.

이걸 기준으로 보면 이지훈/페이커 제하면 내세울 수 있는게 쿠로 뿐이고 쿠로 조차도 타 라인을 압살하는 느낌은 아니며 LCK에서 준수한 활약을 하던 나그네가 조별리그부터 팀의 가장 큰 불안요소로 지목되는 느낌이라면 충분히 타 라인에 비해 빈약하다고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당시 제일 약하다고 지적 받던 한국 정글러들 중 수동적이라고 욕먹던 뱅기, 당시 타이거즈의 구멍이라고 생각했던 호진이 패배의 원흉이 된 경기는 없었고 오히려 더 똑똑한 정글링을 보여줬다고 생각하거든요. 스고수는 뭐 말할 것도 없고요. 생각해보면 이 롤드컵에서 쩔었던 정글러 나열해보라고 하면 해외 정글러들은 잘 생각이 안 납니다. 그냥 바로 뱅기, 스코어죠. 클리어러브, 카카오 등 기대했던 정글러들이 다 삽 푸는 모습 밖에 안 보여줬습니다.

바텀은 임프 PYL이 세체봇 포스 풍기면서 LGD를 우승 시켰지만 실상은 애로우 피카부가 밀리지도 않았고 괜히 라인 밀다가 계속 따이면서 패배의 원인이 됐죠. 뱅/울프는 뱅기가 마린을 엄청 봐줘서 바텀의 프레셔가 엄청 부족한 상황에서도 데프트/메이코에 전혀 안 밀렸고 그게 사실상 EDG와의 승부를 가른 부분이었고요. 데프트가 원딜 텔포 제이스 따위 하고 있는 동안 프레이는 애쉬로 게임 어떻게 터트리는지 제대로 보여줬고 고릴라는 이 시기 타이거즈의 에이스에 가까웠죠. 그래서 타 라인에 비해서 제일 클라스 차이를 입증 못한게 미드라는 뜻에서 후달린다고 표현했던 것인데 좀 과격한 표현인 것은 맞는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대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 단위로 보면 미드 풀이 가장 좋긴 하죠. 대만은 잘 안보지만 북미는 비역슨 빼고 그닥이고 중국도 그 당시 폰/루키 빼곤 그닥...
아저게안죽네
16/09/07 23:05
수정 아이콘
그 전 댓글보다는 공감이 가긴 하지만 여전히 미드에만 박한 평가를 내리시는 것 같습니다.
쿠로는 타 라이너를 압살하지 못했다는 부정적인 느낌의 평가인데 반해 애로우 피카부는 밀리지 않았다는 것만으로도
긍정적인 느낌의 평가를 하시는 것만 봐도 그렇습니다.
탑이야 뭐 말할 것도 없고 원딜의 경우 뱅 프레이를 제외하면 당시의 애로우는 준수하지만 월클급이라기엔 2%
부족했죠. 정글도 스마트한 정글링을 했다고 하시는데 스코어를 제외하면 압도적인 모습 역시 보이지 못했습니다.
기대치나 이런 것들을 배제하고 순수하게 보여준 기량만으로 본다면 탑 빼고 서폿 미드 원딜은 비슷했다고 봐야죠.
게롤트
16/09/06 16:05
수정 아이콘
락스가 전포지션에 다 있어서 뿌듯합니다. 하지만 정글 부분에 스코어가 없는 걸 보곤 아쉽...
허저비
16/09/06 16:41
수정 아이콘
이정도면 나름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데 부정적 의견이 많네요

LCK가 최고리그인건 맞겠지만 선수 개인기량만 따져서 딱히 말도 안된다 싶지는 않습니다
몽쉘통통
16/09/06 16:42
수정 아이콘
우리 삼성 높이 평가해주셔서 참 감사하긴한대...

그냥 실력으로 평가받고 그때가서 국뽕 들이 마실랍니다.

미리 설레발 쳤다가 조롱 한바가지 듣는게 더 부담된다구요!

탑5 이런걸로 제발 싸우지좀 마세요 ㅠㅠ
오클랜드에이스
16/09/06 18:53
수정 아이콘
피즈자랑하러오는 서문갓도 예비멤버에 계시군요
16/09/06 19:46
수정 아이콘
롤드컵 최고 죽음의 조 경우의 수는 YFW-SKT-RNG-C9네요;
이름없는자
16/09/07 01:30
수정 아이콘
이거 레딧 포스트 링크 좀 달아주실 수 있을까요?

검색해보는데 안 보이네요
피아니시모
16/09/07 01:31
수정 아이콘
ㅠㅠ저도 인벤에서 그냥 퍼왔떤거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9912 [오버워치] 오버워치 5000점 달성 사건 [35] zer014272 16/09/11 14272 0
59911 [LOL] 롤드컵에 사용될 6.18패치 에 대한 의견. [50] 솔마10603 16/09/11 10603 1
59910 [LOL] summoning insight ep. 76 [17] 파핀폐인7715 16/09/11 7715 21
59909 [LOL] 2016 월드 챔피언십 조추첨 완료 [66] 파핀폐인10158 16/09/11 10158 7
59908 [스타2] 오랜만에 써보는 결승전 후기 [9] 광개토태왕5706 16/09/11 5706 5
59907 [하스스톤] 고대신 카드(요그사론) 이야기 좀 해봅시다. [47] 샤르미에티미8189 16/09/11 8189 0
59904 [스타2] 즐거운 직관 후기입니다. [4] 보통블빠5680 16/09/10 5680 2
59903 [하스스톤] 하스스톤 복귀하면서 느낀점 + 꿀덱소개 [17] Otherwise8582 16/09/10 8582 1
59902 [기타] 북미 지역 e스포츠 협회가 설립되었습니다. [18] 성수6706 16/09/10 6706 2
59900 [오버워치] 아재의 마스터 달성기 [27] 다미9672 16/09/09 9672 7
59899 [LOL] 2016 롤드컵 진출팀 총정리! 유럽, 북미, 한국 편 [19] 가을야구하는엘지9065 16/09/09 9065 7
59898 [스타2] 확실하지 않으면 승부를 걸지 마라 [12] Sgt. Hammer7573 16/09/09 7573 5
59896 [기타] [종료] 험블번들에서 트로피코4가 공짜입니다! [49] ESBL6786 16/09/09 6786 3
59895 [LOL] 조별 예선 프리뷰 & 한국팀 간단 전망 [90] becker11234 16/09/09 11234 9
59894 [기타] PS4의 업그레이드 버전이 출시되었습니다. [55] RoseInn8218 16/09/08 8218 2
59893 [LOL] RNG 한국 전지훈련전 인터뷰번역(하) [19] Otaru10121 16/09/08 10121 8
59892 [기타] 케스파는 기자단운영을 할거라면 확실한방향을 정해서했으면 좋겠네요 [20] 지성파크7179 16/09/08 7179 8
59891 [하스스톤] 이번시즌 역시 TOP10 진입 성공했습니다.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98] 가렌9746 16/09/08 9746 4
59890 [스타2]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6 시즌2 결승전 현장 입장 및 이벤트 안내 SPOTV GAMES5818 16/09/08 5818 0
59889 [LOL] RNG 한국 전지훈련전 인터뷰번역(상) [32] Otaru10732 16/09/08 10732 20
59888 [LOL] 2016 롤드컵 진출팀 총정리! 중국, 대만, IWC 편 [23] 가을야구하는엘지7458 16/09/07 7458 4
59887 [기타] 문명조차도 잡지 못하는 AI의 멍청함. 싱글플레이의 한계는 있는가 [50] 이슬먹고살죠11590 16/09/07 11590 2
59886 [기타] [WOW] 지금까지의 군단 소감 [65] minyuhee12844 16/09/07 1284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